"2000명 증원부터 철회하라"…결국 줄사표 던진 의대 교수들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월드뉴스 | "2000명 증원부터 철회하라"…결국 줄사표 던진 의대 교수들

남수현 기자 입력24-03-25 08:21 수정 24-03-25 08:21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25일 오전 서울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열린 ‘고려대학교 의료원 교수 총회’에서 교수들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대 증원을 둘러싼 의료계 반발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대화를 촉구했으나, 의대 교수들은 예정대로 사직서를 제출하고 근무시간 축소에 돌입했다. 양측은 ‘대화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증원 철회를 두고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는 모습이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25일 오전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의대 교수와 전공의들을 향해 “이제는 대화에 나서야 할 때”라면서 “의대 교수님들은 전공의들이 병원으로 돌아오도록 설득해주고, 전공의들과 함께 개혁 논의에 참여해달라”고 말했다.


전날 정부는 전공의 집단사직 발생 이후 처음으로 강경론을 굽히는 모습을 보였다. 윤석열 대통령은 24일 전국의대교수협의회(전의교협) 회장단과 만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요청에 따라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에 대한 면허정지 처분에 대해 “유연한 처리 방안을 모색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당초 정부는 26일부터 미복귀 전공의에 대한 면허정지 처분에 들어가겠다고 경고해왔다. 행정처분 유예에 대해 이날 복지부는 “당과 협의 중이며, 아직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전공의 행정처분에 대한 유연한 처리방안을 당과 협의해 나가겠다”면서도 “27년 만에 이뤄진 의대 정원 확대를 기반으로 의료개혁 과제를 반드시 완수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대학별 배분까지 마친 2000명 증원 수치에 대해서는 변화의 여지가 없다는 뜻을 내비친 것이다.


의대 교수들은 2000명 증원에 대한 재검토가 사태 해결의 선결조건임을 분명히 했다. 전국 40개 의과대학 가운데 39개 의대 교수들이 모인 전의교 김창수 회장은 이날 오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증원은 의대 교육의 파탄을 넘어 우리나라 의료체계를 붕괴시킬 것이 자명하다”며 “입학 정원과 정원 배정의 철회가 없는 한 이 위기는 해결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정부의) 입학정원의 일방적 결정으로 촉발된 교수들의 자발적인 사직과 누적된 피로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선택할 수밖에 없는 주 52시간 근무, 중환자 및 응급환자 진료를 위한 외래진료 축소는 금일부터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김 회장은 전날 윤 대통령이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의료인과 대화 협의체 구성을 지시한 것에 대해 “과거보다 진일보한 제안으로 생각한다”면서도 “문제는 제안의 구체성이나 다뤄야 하는 내용이 자세히 정리되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2000명이 아닌 의료계가 수용할 수 있는 숫자를 제시할지 여부에 대해선 “숫자를 정하긴 상당히 어렵다”면서도 “저는 증원 백지화가 곧 ‘0명’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과학적인 사실과 정확한 추계, 의대 교육 및 전공의 수련 여건을 반영한 결과가 나온다면 누구나 (증원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연세대 등 19개 의대 비상대책위원회가 모인 별도 단체인 전국의대교수비대위도 이날 따로 발표한 성명서에서 “우리는 파국을 막지 못한 책임을 통감하며 교수직을 던지고, 책임을 맡은 환자 진료를 마친 후 수련병원과 소속 대학을 떠날 것”이라며 “근거 없는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이날 고려대의료원 산하 3개 병원(안암·구로·안산)의 전임·임상교수들은 이날 오전 총회를 개최한 뒤 단체로 사직서를 제출했다. 연세대 의대 교수들도 이날 오후까지 모인 사직서를 의대 학장에게 일괄 제출했다.


의대 교수들이 사직서를 내더라도 당장 의료현장을 비우는 것은 아니지만, 중증 환자들은 불안감을 호소했다. 한국백혈병환우회 등 9개 환자단체의 연대체인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날 발표한 성명서에서 “우리의 목숨은 의료계와 정부의 갈등으로 희생돼도 좋을 하찮은 목숨이 아니다”라며 “의료계와 정부 양측이 각자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서가 아닌, 환자중심의 의료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연합회는 지난달로 예정됐던 백혈병 수술 및 항암치료 등이 연기된 환자 피해 사례 31건을 소개하기도 했다.


정부는 비상진료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개원의들이 수련병원에서 한시적으로 의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다. 의료법상 개원의는 자신이 개설한 의료기관에서만 진료가 가능하지만, 보건의료 재난위기 ‘심각’ 단계 기간 동안에는 소속 의료기관이 아닌 곳에서도 진료가 가능토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날부터 약 60개 의료기관에 군의관 100명, 공보의 100명 등도 추가로 의료기관에 파견됐다. 정부 집계에 따르면 3월 셋째 주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한 전체 종합병원의 중환자실 입원환자는 평균 7152명이고, 이중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입원환자는 평균 2941명으로 전주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됐다.


남수현 기자 nam.soohyoun@joongang.co.kr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2,822건 59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월드뉴스 "1036명 사망, 백신·치료제 없다" 미주 덮친 올해 최악 전염병
지난 6일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발견한 뎅기열을 옮기는 모기 모습. EPA=연합뉴스지구 온난화로 모기떼가 미주 대륙을 습격하면서 미주 지역 뎅기열 확산세가 심각하다. 특히 브라질·파라과이 등 남미에서 환자가 속출하면서 올해 연간 감염자 수가 역대 최대를 기록
03-29
월드뉴스 "대체 뭘 먹는거야"…사람 다리 들고다니는 노숙자에 美발칵
미국에서 최근 한 노숙자가 열차 사고 사망자의 시신 일부를 들고 거리를 배회하는 모습. 사진 엑스 캡처미국에서 한 노숙자가 열차 사고로 숨진 사람의 시신 일부를 절단해 훔치는 사건이 발생했다.27일(현지시간) KBAK 등 현지 지역 언론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전 8시
03-29
월드뉴스 '컵라면 인증샷' 유행에 한라산이 운다…"제발 국물 남기지 마세요"
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는 한라산 자료사진. 뉴시스.제주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가 한라산의 청정 환경 보존을 위해 '라면 국물 남기지 않기 운동'을 전개하겠다고 29일 밝혔다. 최근 한라산 탐방객 사이에서 등반 중 컵라면을 먹는 '인증샷
03-29
밴쿠버 임대료 폭등에 연방정부 '집주인, 임대료 이력 공개'로 반격
트뤼도 총리, 새 주택 정책 '임차인 권리장전' 발표연방정부가 세입자들의 알 권리를 강화하기 위한  '캐나다 임차인 권리장전(Canadian Renters' Bill of Rights)'을 새롭게 제정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03-28
캐나다 캐나다 인구 4천100만 명 돌파
이민으로 급증하는 캐나다 인구지난 9개월간 인구 급증세캐나다의 인구가 4천100만 명을 넘어섰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월 1일부터 2024년 1월 1일까지 1,271,872명이 증가한 것으로 3.2%의 성장률을 나타냈다. 이는 1957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03-28
캐나다 오늘도 '속 타는 환자들'… 병원 치료대기 평균 28주
‘정형외과 치료의 날’에 대기시간 단축 필요 강조캐나다가 '정형외과  치료의 날'을 맞이하여 전국적으로 관절질환의 진료 및 치유 방안에 대한 인식을 높이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 날은 관절 치료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의 노고를
03-28
밴쿠버 트랜스링크, 7월부터 5~10센트 인상, 시민들 부담 가중
대중교통 혼잡 '단기대책' 묘수가 결국 '요금인상' 트랜스링크는 오는 7월부터 메트로 밴쿠버 지역의 대중교통 요금을 5~10센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번 요금 인상은 2024년 투자 계획의 일환으로, 밴쿠버, 써리, 랭리 지역에서의
03-28
캐나다 앨버타주 역대 최대 인구 증가… 총인구 480만명 넘어
BC주민  2만 2,400명, AB주로 이주국내 이주와 국제 이민으로 인구 급증앨버타주의 인구가 지난해 기록적인 수치로 증가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 기준 주 인구는 4백80만 명을 넘었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0만 2,324명이 증
03-28
밴쿠버 [중앙논평] 캐나다 인구 급증, 발전인가 부담인가
캐나다의 인구가 최근 4천100만 명을 돌파했다는 연방통계청의 발표는 중대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의 신호이다.캐나다 인구의 급증은 경제와 사회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인구 증가는 주로 임시 이민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캐나다 경제에 새로운 동력을 제공한
03-28
밴쿠버 병원들의 CT스캔 위기… 서비스 중단 속출
써리, 랭리 병원 CT스캔 문제 잇따라프레이저 보건 당국, 상황 경시하는 듯최근 BC 지역의 CT 스캔 서비스 중단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의료 기술자들 사이에서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프레이저 보건 당국은 이러한 상황을 경시하는 입장을 보
03-28
밴쿠버 세 번씩이나 털린 보석상점주 망연자실 "울고 싶다"
CTV캡처사우스써리 쇼핑몰서 10만 달러 이상 도난화이트락에 가까워 비교적 안전하다고 여겨지던 써리 남부에서까지 보석상이 털리는 등 범죄에 물들고 있다사우스서리 한 쇼핑몰에서 보석점을 운영하는 한 사업자가 세 번째 절도 사건으로 큰 충격을 받았다. 화이트락 주얼리의 앤
03-28
캐나다 코인 사기' 연루 '쿼드리가' 거래소 재산 압수
BC주정부, 거대 사기 거래소 재산 몰수로 강력 대응BC주정부는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업체로부터 사기 혐의를 받는 가상화폐 거래소, 쿼드리가(Quadriga Coin Exchange)의 공동 창립자 마이클 패트린 씨가 소유한 약 25만 달러 상당의 현금, 금괴
03-28
밴쿠버 재외동포청, 재외동포 청년 인턴십 사업 시행
13개국 21개 공관서 청년들, 6개월간 국정 참여 기회 제공재외동포청(청장 이기철)이 차세대 재외동포 청년들의 국정 참여 기회 확대 및 역량 강화를 목표로 '재외동포 청년 인턴 사업'을 신규로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 사업은 재외동포 청년들을 국가 차원
03-28
캐나다 앨버타주 '노동력 부족 해결' 이민자 수 확대 요구
'우크라이나 난민' 위해 이민 확대 정책앨버타주는 연방정부에 주정부 지명 프로그램을 통한 영주권 할당 수를 증가시켜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노동자들이 영주 시민권을 얻을 수 있는 길을 제공한다. 앨버타주의 2024년 할당량은 9,750명
03-28
밴쿠버 20년간 단짝 친구 두 여성, DNA 검사 '자매'로 밝혀져
두 여성의 운명적 재회, DNA를 통한 가족 찾기BC주에 거주하는 폴라 블랑샤드 씨는 15세 때 어머니와의 다투던 중 자신이 혈연 관계가 아닌 가정에서 자랐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녀가 자란 가족 중 혈연 관계에 있던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이후, 폴라는 자신의 친
03-28
밴쿠버 학생들의 '부적절한 행동' 용인한 교사, 정직 처분
교사의 교육적 역할 소홀에 따른 징계 조치 이루어져BC주의 한 학교에서 발생한 사건이 교육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해당 학교의 교사가 학생들의 '극도로 부적절한' 행동을 방치했다는 내용이 공개되어, 이 교사는 정직 처분을 받게 되었다. BC교사 규제위원회
03-28
밴쿠버 BC주, 스트라타 호텔은 단기임대 허용키로
일부 호텔과 모텔 임대 규정 완화BC주 정부가 최근 '단기 임대 숙박 시설 법액'을 통해 특정 스트라타 호텔과 모텔을 단기 임대 규제에서 예외로 인정하기로 결정했다. 이 법률은 주로 주거용 주택에 한정되던 단기 임대 규제에서 호텔과 모텔을 제외하
03-28
캐나다 요호 국립공원의 보물, 오하라 호수 '행운을 잡아라'
요호 국립공원 내 레이크 오하라 방문을 위한 일일버스 이용권을 얻기 위한 로또가 올 해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로또 참여 신청은 3월 31일 밤 11시 59분까지이며, 현재까지 8,400건의 신청이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파크스 캐나다의 제임스 이스트햄 공보 담당자
03-28
캐나다 부쩍 늘어난 보석 심리 건수, 그 속에 숨겨진 진실은?
BC주 공개 보석 심리 자료, 예상과 다른 결과BC 검찰청이 지난 26일 BC주에서 발생한 보석 심리 건수에 대한 추가 자료를 발표했다. 이 자료는 2022년 11월부터 2023년 12월 사이에 이루어진 4천800여건의 보석 심리를 다루고 있으며, 6개의 불연속적인 2
03-28
캐나다 도시를 점령하는 새로운 동물들, 그 이유는?
가까운 미래,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칠 동물들의 변화2100년이 되면 창밖을 바라보거나 산책을 하다 만나는 동물들이 지금과는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기후 변화로 인해 많은 야생 동물들이 이동하면서 캐나다 도시들에는 새로운 '기후 난민' 동물들이 유입될 것이
03-28
캐나다 앨버타주, 첫 상업용 수소 주유소 개장
"5년 내 수소 자동차 5천 대 목표"앨버타주가 탄소 배출 없는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중대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지난 27일 이 지역 최초의 상업용 수소 주유소가 니스쿠의 블랙잭스 로드하우스에서 그 모습을 드러냈다. 이곳은 앨버타주와 서부 캐나다 전역
03-28
월드뉴스 여성 피부로 만든 '하버드 책'…책 속에서 발견된 메모 섬뜩
프랑스인 아르센 우세가 1879년에 쓴 『영혼의 운명에 대하여(Des Destinees de L’Ame)』. 책을 선물받은 프랑스 의사 루도빅 불랑은 자신이 일하던 병원에서 사망한 환자의 피부로 책 표지를 만들었다. 사진 NYT하버드대학교가 사람의 피부로 만
03-28
밴쿠버 '로맨스 스캠' 부터 '돼지도살'까지…1년간 사기 피해액 1천600만 달러
RCMP, 온라인 사기에 대한 경각심 강조2023년 초부터 현재까지 리치몬드 시민들이 '로맨스 스캠'과 투자 계획을 결합한 복잡한 온라인 사기에 피해자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해 이러한 유형의 사기로 총 87건이 신고되었으며,
03-27
캐나다 '무너진 신뢰, 국세청의 추락' 부정수급으로 232명 해임
코로나19 긴급대응혜택비 수령 600여명 조사캐나다 국세청(CRA)은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중 긴급대응혜택(CERB)을 부적절하게 청구하고 수령한 혐의로 인해 해고된 직원 수가 계속 증가하여 현재 총 232명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2월에 보고된 185명
03-27
밴쿠버 식당업계의 악몽 ‘코로나보다 무서운 인플레이션’
매출 감소와 비용 상승에 업계 고전캐나다 식당업계가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식당 음식과 술값이 각각 5.1%, 5.3% 상승하며 전국적인 매출이 7.9억 달러로 1.9% 감소했다고 한다. 특히 정찬식당이 6
03-27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