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Debating) 통해 배려와 통찰력 키울 수 있어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교육 | 토론(Debating) 통해 배려와 통찰력 키울 수 있어

온라인중앙일보 기자 입력16-01-27 16:22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30회 스탠포드 내셔널 토론대회에서 각광 나타낸 한인 2세들

BC Forensic League Society 소속, 우승 및 결선 참가 등 좋은 성적 거둬

 

 

 

토론(討論), 디베이팅(Debating)이라고 부른다. 사전 정의에 의하면 토론은 “어떤 문제에 대하여 여러 사람이 각각 의견을 말하며 논의함”이라고 규정한다. 다양한 구성원들이 함께 모여 사는 민주주의 제도를 가능케 하는 중요한 힘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압축 성장을 해 오던 한국 사회에서 ‘토론’은 다소 낯선 개념이다. 밴쿠버 한인 사회에서 종종 겪는 부모와 자식 세대와의 갈등도 그 근원에는 ‘토론’ 부재가 있다. 한국에서 오랜 삶을 살아 토론 문화에 낯선 부모 세대, 그리고 이곳에서 토론 문화에 익숙한 자녀 세대가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 캐나다를 비롯한 대부분의 선진 사회에서 ‘토론’은 학교 과정에서도 강조된다. 자신의 이야기를 논리적으로 주장하되, 상대방의 의견도 경청하는 자세가 '토론의 출발점'이다.

 

지난 16일(토)부터 18일(월)까지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열린 제 30회 '스탠포드 대학 내셔널 토론대회'에서 한인 2세대 소피아 김(Sophia Moonyoung Kim, Terry Fox Secondary, G-12, 코퀴틀람)과 임우진(Woojin Lim, Fraser Heights Secondary, G-10, 써리) 학생이 우승을 차지했다. 이번 대회는 BC Forensic League Society(이하 BCFL)에 소속된 한인 학생들이 다수 출전해 우승 및 4강을 포함해 결승 라운드에 진출해 밴쿠버 한인 2세대들의 우수성을 알렸다. 1987년부터 시작해 올해 30년을 맞이한 스탠포드 내셔널 대회는 디베이트 5개 종목과 스피치 8개 종목으로 분리해 개최되었다. 미국 전역과 캐나다, 한국과 중국 등 177개 학교에서 2천 5백 명이 참석한 세계 대회로 예선을 통과한 팀들이 결승 라운드를 개최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대회에서 캐나다가 우승한 것도 처음이다. 지난 21일(목), 랭리에 있는 BCFL 사무실을 찾아 대회 참가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데비드 정(David Jung) 원장을 만났다.

 

학생들과 이야기를 먼저 나누었다. 디베이트를 통해 무엇이 변화되었냐는 질문을 던졌다. 소피아 김 학생은 “자신감이 생긴 것이 큰 변화”라며 “세상에 대한 다양한 관심을 갖게 된 것도 큰 소득”이라고 말했다. 16강에 진출한 대니얼 서(Daniel Seo, Clayton Heights Secondary, G-10, 써리) 학생은 “친구들과 함께 토론하는 과정이 무엇보다 재미있다. 설득과 논리라는 과정을 통해 내 의견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도 흥미로웠다”며 “대회에 참가할 때 마다 내가 성장하는 느낌을 받는다”고 말했다. 32강에 진출한 헬렌 황(Helen Huang) 학생(MEI Secondary, G-9, 애보츠포드) 학생은 “디베이트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이 쉽지는 않다. 그러나 더 넓은 지식을 쌓고, 좋은 친구들을 만나는 등 더 많은 것을 얻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 BCFL 참가 학생 중 제일 나이가 어린 오연재(Rose Yeonjae Oh, St. Catherine Elementary, G-7, 랭리) 학생은 캐나다에 온 지 불과 1년 밖에 되지 않았다. 그러나 언어 장벽을 넘어 영어로 토론하는 이번 대회에서 32강 진출이라는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학생들과의 인터뷰가 끝난 후 두 어머니와 대화를 이어 나갔다. 정안나 교민(헬렌 황 어머니)은 “지인의 추천으로 2년 전부터 BCFL에 참석했다. 디베이트를 하면서 무엇보다도 스피치에 자신감을 갖게 되는 딸을 보면서 잘한 선택이라고 생각한다”며 “목표 있는 생활을 하다보니, 생활에 절제가 생기고 모든 것에 전력을 다하게 된다. 디베이트 과정은 다른 교민들에게도 권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이승연 교민(오연재 어머니)도 “작년에 밴쿠버에 정착했다. 짧은 시간에도 불구하고 좋은 성과를 내 준 딸이 자랑스럽다. 디베이트 과정을 통해 성장하는 딸의 모습을 보는 것이 즐겁다”고 말했다.

 

현재 BCFL 소속 한인 학생들은 스탠포드와 하버드, 예일 대학에서 개최하는 내셔널 대회를 포함해 지역대회에 출전,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또 모의법정 및 모의 UN 대회에서도 괄목할 성적을 거둬 지역사회에 큰 활기를 불어 넣고 있다. / 천세익 기자

 

 

DSCF4509[1].JPG

스탠포드 대학이 주최한 제 30회 내셔널 토론대회에서 수상한 BCFL 소속 한인 학생들이 자리를 함께 했다 <사진 설명: 첫 줄 왼쪽부터 시계 반대순서 Helen Huang(MEI,아보츠포드,9학년), Rose Oh(St,Catherine Elementary,랭리,7학년), Sophia Kim(Terry Fox Secondary,코퀴틀람,12학년), Jenny Jung(Brookswood Secondary,랭리,9학년), Annie Chang(Walnut Grove Secondary,랭리,10학년), Marianne Kim(Yale Secondary,아보츠포드,11학년), William Lee(Lord Tweedsmuir Secondary,써리,12학년), Alex Oh(Langley Christian School,랭리,9학년), Daniel Seo(Clayton Heights Secondary,써리,10학년), Woojin Lim(Fraser Heights Secondary,써리,10학년), Elena Wang(West Point Grey Academy,밴쿠버,8학년), Emily Kwon(R.E Mountain Secondary,랭리,10학년) >

 

-------------------

 

 

BCFL을 이끌고 있는 데비드 정(David Jung) 원장

 

Q> BC Forensic League Society(BCFL), 밴쿠버 한인들에게 다소 낯설다. 어떤 단체인가

BC주에 등록된 비영리 단체다. 한인들에게는 다소 생소하겠지만 토론은 이곳 캐나다 사회와 학교 등지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물론 캐나다도 미국에 비하면 토론 문화가 약한 편이다. 미국에서 토론 과정은 학교에서도 중요한 교과목 중 하나다. BCFL은 미국 디베이트 협회인 NCAA(National Communication Arts Association) 회원이기도 하다. 지난 2004년 밴쿠버로 정착한 후 학원 사업을 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토론 중요성을 깨닫고 디베이트 관련 자료를 축적, 2010년에 BCFL을 설립했다. 현재 BCFL에서는 G-5학년부터 G-12학년까지 50 여명의 학생들이 토론 과정을 공부하고 있다.

Q> 디베이트 대회는 어떤 형식으로 진행되나.

이번 대회는 전국 규모 대회다. 이 밖에 지역 대회도 수 십 차례 열리고 있다. 전국 대회에는 5명의 심판(Judge)이 참석해 토론 과정을 심사한다. 한 가지 주제를 놓고 A팀의 한 명이 찬성 입장을 발표하면, B팀의 한 명이 반대 논리를 펴야 한다. 그 이후 A팀의 또 다른 한 명이 상대방이 발표한 논리에 대한 허점을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45분 동안 진행되는데 현장에서 디베이트 대회를 지켜보면 손에 땀을 쥐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단 1초도 눈을 뗄 수 없을 정도로 불꽃 튀는 논쟁이 펼쳐지곤 한다.

Q> 보람도 있고 어려움도 있을 것 같다. 구체적인 설명을 부탁한다.

모든 일에는 어려움이 있다. 토론 단체 운영도 예외는 아니다. 기대 조건이 높은 학부모를 설득하는 것도 쉽지 않다. 디베이트 대회는 2인 1조로 나가게 된다. 그러다 보니, 파트너를 선정할 때 마다 신경전이 펼쳐지곤 한다. 디베이트 대회에서 팀 워크는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다, 그런데 자칫 자신만을 내세우게 되면 실패할 경우가 많다. ‘남 탓’ 만을 하기 때문이다. 학부모들에게 ‘길게 보자’는 말을 하곤 한다. 아이들이 진정한 리더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

반면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보람은 더 크다. 무엇보다 아이들이 변화하는 모습을 옆에서 지켜볼 때 가슴 뿌듯함을 느낀다. 파트너의 약한 면을 보완해주고 서로 배려하면서 경기에 임하는 아이들이 자랑스럽다. 디베이트는 단지 말(speaking)만 잘 하는 것은 아니다. 지식을 넓혀야 하고, 그것을 상대방에게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전체 상황을 읽고 해석할 수 있는 예측력도 생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상대방을 배려하면서 자신이 성장한다는 것이다.

 

BC Forensic League Society (604-514-9161)

E 204- 20159, 88 Ave Langley

 

DSCF4512[1].JPG

디베이트 과정에 참가한 학생들이 커 가는 모습에서 큰 보람을 느낀다는 BCFL 데비드 정 원장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6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교육 토론(Debating) 통해 배려와 통찰력 키울 수 있어
30회 스탠포드 내셔널 토론대회에서 각광 나타낸 한인 2세들 BC Forensic League Society 소속, 우승 및 결선 참가 등 좋은 성적 거둬       토론(討論), 디베이팅(Debating)이라고 부
01-27
교육 “눈으로 보는 습관 버리고 따라 말하고 소리내 읽자”
[CELPIP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셀핍 수업을 가르쳤던 50대 여성 학생 분한테 전화가 왔다.   얼마 전 셀핍 시험을 보았는데 목표점수
01-21
교육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아이 두뇌 발달의 관건
3~5세 때 부모나 교사가 잘 반응해 주면 아이의 기억 능력이 높아진다고 한다. 자녀를 똑똑한 아이로 키우고 싶은 건 모든 부모의 바람이다. 대부분 사람은 아이 지능을 높이는 데 부모의 지능이나 학력, 경제적 환경 등이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한다.
01-21
교육 “엄마, 순결이 뭐야” 묻는 아들, 뭐라고 말해야 하나
난감한 자녀 성교육 청소년 성 관련 사건·사고는 매년 증가 추세입니다. ‘아하!서울시립청소년성문화센터’의 면접 상담 통계를 살펴보면 2010년 49.6%였던 성폭행 관련 상담은 2014년 70.3%로 크게 늘었습니다
01-21
교육 비스트 손동운의 도전과 좌절 함께한 ‘울보 아빠’의 편지
[최고의 유산] 아이돌 그룹 ‘비스트’ 손동운의 아버지 손일락 교수       “가수 되고 싶다”는 아들 말에 충격 무조건 반대 않고 ‘꿈 이루
01-21
교육 도서관에서 많은 경험을 나누세요 !
[Jay의 재미있는 도서관 이야기]   오늘은 일상 생활에 큰 도움이 되는 사이트 소개를 드리고자 합니다.     커뮤니티 리소스 지도(Community Resources Map)   리소스 지도
01-14
교육 “시민권 위한 필요 영어점수, '중-하-하' 어렵지 않은 수준...”
[CELPIP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사실 그동안 셀핍(CELPIP)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영주권 신청을 위한 점수 제출용이 대부분이었다.
01-14
교육 별 헤는 밤, 동심 깨어나다
한때 밤하늘은 가장 커다란 놀이터였습니다. 수많은 별을 바라보면서 상상 놀이를 즐겼습니다. 어린 눈에는 둘리 친구 도우너의 고향 별 ‘깐따삐야’도 보였고, 어린 왕자가 살았던 소혹성 ‘B-612’도 비쳤습니다. 별자
01-08
교육 미국 대학, ?순위만 보지 말고 학교 정보 이해하라
  해마다 발표되는 미국 대학의 순위가 학교들의 줄 세우기를 한다고 비판하면서도 사람들은 관심있게 발표를 본다.   그런 순위 발표에 이름을 올리는 것이 옳지 않으므로 자신의 학교는 참여하지 않는다고 힘주어 주장했던 대학
01-04
교육 운동하는 아이들, 심각한 위험에 노출돼 있다
  프랭크 브루니 NYT 칼럼니스트   미국 콜로라도대의 질병학자 돈 콤스톡은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뇌진탕 연구 권위자다. 그에 따르면 운동 도중 머리를 심하게 부딪힌 운동선수가 제대로 치료도 받지 않고 경기에 복귀하
01-04
교육 '아인슈타인병' 앓던 소년, 컴퓨터공학도 된다
김홍식군과 어머니 정현주씨가 지난 22일 서울 장충고 도서실에 나란히 앉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컴퓨터 지식이 풍부한 홍식군은 많은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꿈이다.   아스퍼거 증후군. 내년 3
12-25
교육 '동아리 5개·논문 3개' 쌍둥이 자매 서울대 합격 비결
“동아리 5개·논문 3개, 시험 없는 달에 집중 준비했어요.”   한영외고 3학년 김현수(왼쪽), 김현지 쌍둥이 자매 일란성 쌍둥이 자매가 2016학년 서울대 수시 모집에 나란히 합격했다. 한영외고 3학
12-23
교육 [수능 만점자의 책상] 수학 한 문제에 40분…'천천히, 하지만 확실하게 공부했어…
서울 서문여고 3학년 최민주양 최민주양은 고3이 되면서 수학 학원을 그만두고 자습을 택했다. 최양은 “혼자 고민하다보니 내 실수 패턴과 약점을 알 수 있어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12-20
교육 '중학교 올라가면 화장 시작해요' 립틴트·아이섀도에 제일 관심 많아
“중학교 올라가면 화장 시작해요” 립틴트·아이섀도에 제일 관심 많아  “아빠, 나 중학생이야.” 어린 딸의 입술에 칠해진 빨간색 틴트를 본 아버지. “너 화장했냐&rd
12-20
교육 한국에서 언론인들이 코퀴틀람 도서관을 찾아 왔어요 !
[Jay의 재미있는 도서관 이야기]    지난 3일(목), 한국에서 온 두 명의 언론인들이 파인트리에 위치한 코퀴틀람 도서관을 방문했습니다. 경향신문 장은교 기자, 그리고 김정근 사진 부장입니다. 두 기자는 내년 경향신문이 기획중인 &lsq
12-17
교육 2016학년도 수능 영어, 8년來 두번째로 어려워
지난달 12일 치러진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어영역 난이도는 최근 8년동안 치러진 수능에서 두 번째로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렉사일(L) 읽기 체계 개발사 메타메트릭스는 지난 2009학년도 수능부터 2016학년도 수능까지의 영어영역 난이도
12-17
교육 내일은 세계유산, 한양도성 이야기
‘서울 한양도성’은 현재 2017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여러 특징과 가치로 한양도성은 전 세계에 서울을 알리는 우리나라의 큰 자산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러나 한양도성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12-17
교육 돈 더 벌줄 알았지만…'대학원이 남겨준 건 빚더미'
장기 전략 없이 학위 취득했다가 막대한 학자금 대출액에 시달리는 미국 젊은층 갈수록 늘어난다   패트리스 리에게 대학원의 유혹은 너무나도 강렬했다. 학부 시절 정치학에 흥미를 느낀 그녀는 보스턴대학에서 정치학 석사 과정으로 진학했다. 전공은
12-12
교육 자릿초반, 물림상, 낮것상…모두 임금님 수라상
푸짐하게 차려진 밥상을 보면 어르신들이 늘 하시는 말씀이 있다. “상다리 부러지겠다. 임금님 수라상이네!” 그렇다면 여기서 ‘수라상’은 과연 언제, 어떤 음식이,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차려졌을까? 식품공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한
12-07
교육 가는 데만 8달··· -63℃ 화성에서 뭐 먹고 살지
인기 예능 프로그램 ‘삼시세끼’의 무대는 서해의 작은 섬 만재도입니다. 주인공 차줌마와 참바다는 뱃멀미를 참아가며 목포항에서 다섯 시간을 걸려 만재도에 도착하죠. 그리고 여기, 우주판 삼시세끼 이야기가 있습니다.  
12-06
교육 한국어 연수 및 학부, 석박사 과정 장학 학생 도전해보세요 !
심전국제교류재단과 강남대학교가 재정상 이유로 학업을 계속 하지 못하는 외국인 학생들을 초청, 어학연수 및 학부과 석 박사 과정 장학생 제도를 운영한다.   이 제도는 특히 외국 국적을 갖고 있는 한국계 교민들에게도 적용된다. 장학금
12-04
교육 레스토랑 인턴은 지문과의 싸움이더라
영셰프 은승빈 사회적기업 오가니제이션요리에서 운영하는 청소년 요리대안학교에 다니던 중 색다른 요리를 경험해 보고 싶어서 프랑스 레스토랑에서 인턴을 했다.?내가 만든 음식을 누군가와 나누는 즐거움을 알았다. 현재는 2년 간의 정규과정을 마치고, 졸업을 앞
12-04
교육 연말연시 맞아 다양한 행사가 열려요 !
[Jay의 도서관 이야기]   코퀴틀람 도서관에서는 연말 연시를 맞아 다양하고 풍성한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어른들을 위한 프로그램가 더불어 가족이 함께 참가할 수 있는 강좌도 많다. 아이들과  함께 알찬 시간을 보내는 것은 어떨까.
12-03
교육 LA 65세도 … 뇌병변 장애 18세도 … 난 오늘 꿈에 접속한다
경기도 파주 한민고 1학년 이수민(16)양은 시사다큐멘터리 프로듀서(PD)가 꿈이다. “지루하지 않고 영화처럼 재미있는 다큐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그래서 요즘 이화여대 류철균 교수의 ‘영화 스토리텔링의 이해&rsq
12-03
교육 스탠퍼드부터 하버드까지, 발로 캐낸 미국 명문대 이야기
모든 학생의 드림 플레이스, 미국 명문대. 기회도 많고 새로운 세상을 경험할 수 있는 무대이지만 잘 알지 못해 시작하기도 전부터 꿈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많다. 그래서 동탄국제고지부가 지난 10월 약 2주간 미국 대학들을 직접 발로 뛰며 들여다보았다. 하버드(Har
12-0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