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뛰면 여긴 날아간다…골드만삭스가 꼽은 '대박주' > 채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채널

기타 | 엔비디아 뛰면 여긴 날아간다…골드만삭스가 꼽은 '대박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중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5-22 10:53 조회77회 댓글0건

본문

① AI 성장, 흐름을 보면 수혜주도 보인다 

[일러스트=김지윤]

[일러스트=김지윤]

AI 수혜주는 핵심 기술을 가진 기업에서부터 동심원을 그리며 퍼집니다. AI 핵심 반도체를 만드는 엔비디아를 시작으로, 생성형 AI기술이 뛰어난 마이크로소프트(MS), AI 서버를 만드는 수퍼마이크로 같은 기업으로 주가 상승 랠리가 이어지는 걸 생각하면 됩니다. 앞으로 AI 테마의 동심원이 어디로 퍼져나갈지 지켜본다면 기회를 잡을 확률도 높아집니다. 이때 수혜 업종은 단기와 장기로 나눠 봐야합니다. 우선 골드만삭스가 꼽은 수혜기업 위주로 살펴봤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엔비디아 뛰면 여긴 날아간다, 다음 대박 알려줄 ‘동심원 법칙’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1793

② AI는 에너지를 타고…한국이 유리한 이유

데이터센터. 사진 게티이미지

데이터센터. 사진 게티이미지

미국에서 지금 가장 ‘핫한’ 기업인인 일론 머스크(테슬라)와 샘 올트먼(오픈AI)은 한목소리로 전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등에 전력이 물 흐르듯 공급되지 않으면 AI 기술이 ‘구현’될 수 없으니까요. 세계적인 ‘큰손’들도 에너지 산업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대가 바뀐 만큼, 기존 화석연료보다는 친환경 에너지 산업이 유망합니다. 원자력과 수소에너지, 스토리지(저장기기), 그리드(전력망), 배터리 스토리지 등이 꼽힙니다.

솔깃한 건 한국이 에너지 전환의 최대 수혜국으로 꼽힌다는 사실입니다. 미국과 유럽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상황에서 에너지 인프라 부품을 가장 잘 만드는 나라가 한국이기 때문이죠. AI와 친환경 테마가 맞물려 투자처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AI 덕에 한국 노다지 맞는다” 1500조 큰손이 찍은 이 산업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6192

③ AI와 찰떡궁합, ‘레고’ 닮은 이 원전  

AI 열풍을 현실로 만들어 줄 ‘값싼 에너지’ 분야에서 주목받는 게 소형모듈원자로(SMR·Small Modular Reactor)입니다. 기존 원전보다 작고 안전한 데다 조립하듯 필요한 곳에 쉽게 만들 수 있어 차세대 원전 기술로 꼽힙니다. AI의 핵심인 데이터센터와 가장 궁합이 잘 맞는 발전 수단으로 평가받습니다.

세계경제포럼은 SMR 시장이 연평균 30%씩 성장할 거라고 전망합니다. 챗GPT로 시작된 AI 열풍이 원자력, 특히 SMR로 이어질 수 있을까요? 흥미롭게도 SMR 생태계는 반도체와 비슷합니다. 여기에서 투자의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샘 올트먼 픽한 ‘동네 원전’, 그가 7월만 기다리는 이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9733

④ 너무 비싼데…저평가된 AI 종목이 있다고요?

[일러스트=김지윤]

[일러스트=김지윤]

베테랑 투자전문가들은 “AI 산업의 성장은 분명하지만, AI도 이제 오를 놈만 오른다”고 말합니다. 옥석 가리기가 시작됐다는 겁니다. 지난 한해 주목받았던 ‘M7(구글·애플·아마존·엔비디아·테슬라·마이크로소프트)’조차 주가만 보면 너무 올랐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죠. 올해부터는 AI에 좀 더 집중한 ‘AI5(마이크로소프트·엔비디아·AMD·TSMC·브로드컴)’란 집단도 회자됩니다.

투자자들은 AI란 대세를 따르면서 가급적 저평가된 종목을 찾아야합니다. 우선 인프라(반도체)를 시작으로 서비스(애플리케이션)에 이르는 생성형 AI의 생태계를 알고 그 안에 어떤 기업들이 있는지 알면 좋습니다. AI ‘큰형님’ 엔비디아와 구글이 투자하는 기업들, 투자지표상 저평가된 빅테크 기업은 어디인지,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시죠.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테슬라·애플은 이제 버려라…억만장자 166조 불려준 ‘이 종목’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29883

⑤ 유리기판이 뭐길래, 숨은 AI 수혜주

반도체 기판은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같은 칩이 전기 신호를 주고받도록 연결해주는 판입니다. 칩이 두뇌라면, 기판은 신경이자 뼈대이자 혈관이죠. 이 중에서도 유리기판이 뜨고 있습니다. AI 시대 고성능 반도체를 만드는 데 적합하기 때문이죠. 인텔과 AMD 등은 “유리기판은 차세대 반도체에 필수”라며 이미 시장 선점에 나섰습니다.

유리기판 관련 종목에서 중요한 건 글로벌 공급망에서 어느 부분을 담당하느냐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 코닝은 유리를 직접 만들고, 삼성전기는 기판 제조 기술이 뛰어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인텔·AMD, 굳이 사지마라…유리기판 수혜주는 여기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4809

이소아 기자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채널 목록

Total 4,292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