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영상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감기와 독감은 어떻게 다른가?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건강의학 | <손영상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감기와 독감은 어떻게 다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6-09-01 00:03 조회3,048회 댓글0건

본문

 

감기가 심하면 독감이라는 속설은 오류

독감 바이러스는 따로 있어 

 

 

지난 주에 폐염에 대해 공부했었습니다. 몇 년 전에 리치몬드병원에서 트레이닝을 받고 있을 때, 어느날 오후 방송이 나왔습니다. “한국말 할 수 있는 의료진은 응급실로 가 주세요” 분명 누군가 언어문제로 곤경에 있음이 분명했던 지라, 바로 내려갔습니다. 거기에는 어느 노 부부가 있었는데, 할아버지는 거의 의식이 없이 누워있고, 옆에 할머니는 정신없이 왔다갔다만 하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한국말로 말을 걸자, 그 할머니의 눈이 빛나는 것을 잊을 수 없습니다. 얘기인즉, 두분은 자식들이 힘을 모아 효도관광을 보내드린 것이었습니다. 동부의 가을 단풍, 나이아가라 폭포,,, 그런데, 매일 바뀌는 숙소때문에, 밤에는 자정이 넘어 잠자리에 들었지만, 다음 날 다른 이들에게 민폐가 안되려고 새벽 4시부터 짐을 다시 싸놓고.. 이런 매일 일정에 아마도 지쳤었던 모양입니다. 싫은 에어컨을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도 잘 몰라서 목감기에 걸리셨고, 설상가상 폭포에서 흠뻑 젖은 그날 밤에 열이나기 시작하였다는 겁니다. 하지만 남들에게 폐가 될까봐 아프단 말도 못하고 할머니가 물찜질로 열을 식히고 자는 둥 마는 둥 하다가,  드디어 귀국날, 벤쿠버 공항에서 비행기를 기다리던 중 할아버지가 의식을 잃고 쓰러지신거죠. 주변의 어느 외국인이 114를 콜하는 바람에, 가이드에게 얘기도 못하고, 얼떨껼에 구급차에 실려 가야 하는 상황에서, 할머니는 끝까지 할아버지 옷자락을 놓지 않고 따라 온 것입니다. 그런데, 달랑 두 분이 응급실에 도착하자, 아무도 무슨 영문인지 감을 잡을 수가 없게 되어 방송이 나왔던 것입니다.

결국, 그 할아버지는 바로 중환자실에 입원되고, 인공 호흡기까지 달게 되어 참으로 생사의 위기에 처해 있었지요. 다행이었던 것은 병원의 사회사업가가 할머니를 근처 모텔에 투숙 시켜 드리고, 저는 할머니가 병원에 매일 왔다갔다 하실 수 있도록 연습을 시켜 드리고, 모텔에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영어-한국말) 카드를 만들어 연결해 드렸지요. 다행이 여행사에서 사장님이 나오셔서 많은 도움이 되었던게 생각납니다. 이 스토리는 해피앤딩으로 끝이 났습니다. 우리나라 사람의 ‘정’이 양념으로 들어가서 더 흐믓한 이야기가 된 것 같습니다.  

이 스토리는 폐렴이 어떻게 발생하는가를 보여 줍니다. 연로한 나이에 이미 저하된 면역력을 기본으로, 비 정상적인 생활 리듬이 이를 더욱 악화시키고 감기(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호흡기계의 염증을 초래하고, 이것은 이차적으로 세균감염(폐렴)으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노인들 사망의 가장 많은 원인이 폐렴인 것은 이상하지 않습니다.

옛말에 노인들이 감기로 삼일을 눕게 되면 돌아가실 위험이 매우 높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감기는 별거 아닌 것 같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위험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상기도 염(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상기도라 함은 코에서 부터 시작해서, 인두, 후두 그리고 기도(Trachea)에 이르기 까지를 일컫습니다. 이곳에 감염이 일어난 경우, 특히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를 감기라고 합니다.

 

1. 증상

인두는 입을 벌리면 보이는 뒷쪽을 말하는데, 외부로 부터 몸속(기도, 식도)에 이르는 입구에 해당되는 곳이므로 임파조직(편도선, 아데노이드)이 풍부하고 외부에서 바이러스나 균이 들어오면 전투가 일어나는 격전지이므로 붓고, 달아오르고, 아프게되는 것입니다.

이런 현상은 방어 작용의 일환으로 여기서 일차 방어가 잘 되면 그대로 1주만에 회복되는 것이 대부분 이지요. 이외에 코의 점막에 염증이 생겨 콧물이 나고, 이 콧물이 뒤로 넘어가면서 기침이 나올 수도 있고, 후두(성대가 있는 기도의 시작부)에 염증이 파급되어도 기침이 나오게 됩니다. 가래(Sputum)역시 상기도에서 나오는 점막의 분비물이 많아져서 생기는 것입니다.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 대부분 희(white)거나, 연한 노랑(light yellow)이지만, 몇일 지나면서 세균에 의해 진한 노랑(deep yellow)에서 녹색(green)을 띠게 되기도 합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꼭 폐렴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모든 바이러스성 감염에서 그렇듯이 열이 나기도 하고, 몸살(근육통, muscle pain)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2. 종류 (표 참조)

1) 감기(Common cold)

대표적으로 감기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로 가장 흔한 상기도염의 예가 되겠습니다. 극단의 나이(너무 어린 신생아나 고령), 면역 저하(에이즈, 항암제, 면역 억제제 투여하는 장기 이식후 등), 만성 질환(만성 기관지염, 당뇨 등) 등의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위험이 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시간이 해결해 줍니다. 즉, 1주정도 경과후 자연 회복되는 경과를 취합니다. 하지만, 감기 바이러스 이외에도 여러가지 바이러스들이 이런 상기도에 감염을 일으키기 때문에 면역 형성이 되지 않습니다.

 

2) 독감(독한 감기, Influenza, 단축해서 flu)

감기가 심하면 독감이 아니라, 독감 바이러스는 따로 있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특히 전염력이 강해서 유행성 경향을 띠며, 이런 양상은 몇년을 주기로 발생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독감 바이러스는 A, B, C형이 있는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A형입니다. 이는 이 바이러스는 자주 변종을 만들어 내서 영구적인 면역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매년 걸릴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 독감 바이러스는 그 표면에 특징적인 효소(표식자,  H또는 N)에 대한 반응에 따라 고유의 H와 N의 번호가 붙여지며, 이에 따른 조합에 따라 변종 바이러스의 이름이 결정됩니다. 예를 들면, 2004년의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H5N1, 2009년의 돼지독감 바이러스는 H1N1하는 식입니다. 이 H1N1바이러스는 가장 악질인데, 1918~20년에 거쳐 전 세계적으로 약 1억명의 목숨을 앗아간 스페인 독감, 1977~8년도의 러시아독감 모두 같은 H1N1이었습니다. 옛날 제가 어렸을 때 앓고 지나갔던 지독했던 홍콩독감 바이러스는 H3N2였습니다.

 

 (표) 감기와 독감의 비교

지난 주에 폐염에 대해 공부했었습니다. 몇 년 전에 리치몬드병원에서 트레이닝을 받고 있을 때, 어느날 오후 방송이 나왔습니다. “한국말 할 수 있는 의료진은 응급실로 가 주세요” 분명 누군가 언어문제로 곤경에 있음이 분명했던 지라, 바로 내려갔습니다. 거기에는 어느 노 부부가 있었는데, 할아버지는 거의 의식이 없이 누워있고, 옆에 할머니는 정신없이 왔다갔다만 하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한국말로 말을 걸자, 그 할머니의 눈이 빛나는 것을 잊을 수 없습니다. 얘기인즉, 두분은 자식들이 힘을 모아 효도관광을 보내드린 것이었습니다. 동부의 가을 단풍, 나이아가라 폭포,,, 그런데, 매일 바뀌는 숙소때문에, 밤에는 자정이 넘어 잠자리에 들었지만, 다음 날 다른 이들에게 민폐가 안되려고 새벽 4시부터 짐을 다시 싸놓고.. 이런 매일 일정에 아마도 지쳤었던 모양입니다. 싫은 에어컨을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도 잘 몰라서 목감기에 걸리셨고, 설상가상 폭포에서 흠뻑 젖은 그날 밤에 열이나기 시작하였다는 겁니다. 하지만 남들에게 폐가 될까봐 아프단 말도 못하고 할머니가 물찜질로 열을 식히고 자는 둥 마는 둥 하다가,  드디어 귀국날, 벤쿠버 공항에서 비행기를 기다리던 중 할아버지가 의식을 잃고 쓰러지신거죠. 주변의 어느 외국인이 114를 콜하는 바람에, 가이드에게 얘기도 못하고, 얼떨껼에 구급차에 실려 가야 하는 상황에서, 할머니는 끝까지 할아버지 옷자락을 놓지 않고 따라 온 것입니다. 그런데, 달랑 두 분이 응급실에 도착하자, 아무도 무슨 영문인지 감을 잡을 수가 없게 되어 방송이 나왔던 것입니다.

결국, 그 할아버지는 바로 중환자실에 입원되고, 인공 호흡기까지 달게 되어 참으로 생사의 위기에 처해 있었지요. 다행이었던 것은 병원의 사회사업가가 할머니를 근처 모텔에 투숙 시켜 드리고, 저는 할머니가 병원에 매일 왔다갔다 하실 수 있도록 연습을 시켜 드리고, 모텔에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영어-한국말) 카드를 만들어 연결해 드렸지요. 다행이 여행사에서 사장님이 나오셔서 많은 도움이 되었던게 생각납니다. 이 스토리는 해피앤딩으로 끝이 났습니다. 우리나라 사람의 ‘정’이 양념으로 들어가서 더 흐믓한 이야기가 된 것 같습니다.  

이 스토리는 폐렴이 어떻게 발생하는가를 보여 줍니다. 연로한 나이에 이미 저하된 면역력을 기본으로, 비 정상적인 생활 리듬이 이를 더욱 악화시키고 감기(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호흡기계의 염증을 초래하고, 이것은 이차적으로 세균감염(폐렴)으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노인들 사망의 가장 많은 원인이 폐렴인 것은 이상하지 않습니다.

옛말에 노인들이 감기로 삼일을 눕게 되면 돌아가실 위험이 매우 높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감기는 별거 아닌 것 같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위험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상기도 염(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상기도라 함은 코에서 부터 시작해서, 인두, 후두 그리고 기도(Trachea)에 이르기 까지를 일컫습니다. 이곳에 감염이 일어난 경우, 특히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를 감기라고 합니다.

 

1. 증상

인두는 입을 벌리면 보이는 뒷쪽을 말하는데, 외부로 부터 몸속(기도, 식도)에 이르는 입구에 해당되는 곳이므로 임파조직(편도선, 아데노이드)이 풍부하고 외부에서 바이러스나 균이 들어오면 전투가 일어나는 격전지이므로 붓고, 달아오르고, 아프게되는 것입니다.

이런 현상은 방어 작용의 일환으로 여기서 일차 방어가 잘 되면 그대로 1주만에 회복되는 것이 대부분 이지요. 이외에 코의 점막에 염증이 생겨 콧물이 나고, 이 콧물이 뒤로 넘어가면서 기침이 나올 수도 있고, 후두(성대가 있는 기도의 시작부)에 염증이 파급되어도 기침이 나오게 됩니다. 가래(Sputum)역시 상기도에서 나오는 점막의 분비물이 많아져서 생기는 것입니다.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 대부분 희(white)거나, 연한 노랑(light yellow)이지만, 몇일 지나면서 세균에 의해 진한 노랑(deep yellow)에서 녹색(green)을 띠게 되기도 합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꼭 폐렴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모든 바이러스성 감염에서 그렇듯이 열이 나기도 하고, 몸살(근육통, muscle pain)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2. 종류 (표 참조)

1) 감기(Common cold)

대표적으로 감기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로 가장 흔한 상기도염의 예가 되겠습니다. 극단의 나이(너무 어린 신생아나 고령), 면역 저하(에이즈, 항암제, 면역 억제제 투여하는 장기 이식후 등), 만성 질환(만성 기관지염, 당뇨 등) 등의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위험이 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시간이 해결해 줍니다. 즉, 1주정도 경과후 자연 회복되는 경과를 취합니다. 하지만, 감기 바이러스 이외에도 여러가지 바이러스들이 이런 상기도에 감염을 일으키기 때문에 면역 형성이 되지 않습니다.

 

2) 독감(독한 감기, Influenza, 단축해서 flu)

감기가 심하면 독감이 아니라, 독감 바이러스는 따로 있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특히 전염력이 강해서 유행성 경향을 띠며, 이런 양상은 몇년을 주기로 발생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독감 바이러스는 A, B, C형이 있는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A형입니다. 이는 이 바이러스는 자주 변종을 만들어 내서 영구적인 면역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매년 걸릴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 독감 바이러스는 그 표면에 특징적인 효소(표식자,  H또는 N)에 대한 반응에 따라 고유의 H와 N의 번호가 붙여지며, 이에 따른 조합에 따라 변종 바이러스의 이름이 결정됩니다. 예를 들면, 2004년의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H5N1, 2009년의 돼지독감 바이러스는 H1N1하는 식입니다. 이 H1N1바이러스는 가장 악질인데, 1918~20년에 거쳐 전 세계적으로 약 1억명의 목숨을 앗아간 스페인 독감, 1977~8년도의 러시아독감 모두 같은 H1N1이었습니다. 옛날 제가 어렸을 때 앓고 지나갔던 지독했던 홍콩독감 바이러스는 H3N2였습니다.

 

 (표) 감기와 독감의 비교-====표 넣어 주세요/

 

 

다음 주에는 감기나 독감이 왜, 추운때에 호발하는지, 그리고 몸을 차게 하면 정말 잘 걸리는지를 과학적 실험을 근거로 설명하겠습니다. 아울러, 위의 표를 잘 기억해 두세요. 어떻게 감기나 독감을 예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상기도염 (1).pdf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1,837건 11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37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슬라이스(Slice)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3893
836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알버타 컬리지, 대학 졸업자 사업가 이민 (IGEIS)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3891
835 부동산 [부동산 칼럼] 렌트를 하면서 집주인과 임대인이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사항들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891
834 부동산 [부동산 칼럼] 집을 팔고 살 것인가? 아니면 사고 팔 것 인가?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3891
833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Admissibility Hearing 절차 (3)-약식명령문 번역본에 폭행이 …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3890
832 금융 [채무 칼럼] 파산비용 요인 4 - 과거 파산기록 유무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 3889
831 금융 저금리시대 절세투자전략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6 3889
830 금융 개인파산시 드는 비용은?(Costs and Fees for Bankruptcy in Canada)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3886
829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생명보험 가입자의 의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3886
828 금융 [SUNNIE JUNG과 함께 하는 채무 칼럼] 파산면책 (Bankruptcy Discharge)이란?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5 3885
827 이민 [이민칼럼] '익스프레스 엔트리' 이민 신청서류 목록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3884
826 부동산 [부동산 칼럼] 서부로 서부로...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3883
825 이민 [이민칼럼] 변경된 동반자녀 이민규정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3877
824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사람은 육체와 정신 그리고...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3870
823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대장을 보호해 주세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3869
822 이민 [이민 칼럼] E.E 연방선발점수와 대서양(Atlantic) 파일럿 이민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0 3866
821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워크샵 무엇에 목말라하고 있나?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3856
820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말이 됩니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3854
819 부동산 [최재동 부동산 칼럼] 부동산 한해를 돌아보며,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854
818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페어웨이 벙커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3850
817 부동산 (조동욱-부동산) UBC 인근 지역의 개발 계획 확정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3850
816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감기? 죽을 병도 아닌데 뭐 한 번 앓고 넘어가면 되지.'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3849
815 건강의학 [캐나다 간호사 되는 법] 2. “실무평가시 재교육 기간을 단축하려면” 박정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3848
814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네 사람 중 한명은 암으로 사망할 것이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3848
813 금융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3848
812 이민 [이민 칼럼] 국제학생 졸업 후 이민정책은 개선 되어야 한다.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3846
811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가상 시나리오(1/2)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3846
810 부동산 [이용욱 부동산 칼럼]봄에 팔고 가을에 사라 - 주택시장 조정양상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3842
809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겨울철 창문의 응축 수 및 곰팡이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3842
808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비뇨기계 (1)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3838
807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 맨 - 집 주변 배수조 바닥 청소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3 3836
806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맨 - 지붕 표면 관리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3835
805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좋은 임팩이란?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3835
804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육식도 안 먹고 해물도 먹지 않습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5 3834
803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UBC 까지 연결되는 지하철과 UBC 지역의 새로운 주거 단지 개발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5 3832
802 부동산 [부동산 칼럼] 렌트를 하면서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들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3830
801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수양인 아들, 금양인 아빠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3829
800 금융 [김정아의 투자의 맥(脈)] 주식시장 과도상승?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5 3829
799 이민 [이민칼럼] BC 주정부 사업승계이민에 대해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3827
798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갑상선암과 관절염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3826
797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저축성’ 생명보험에 대한 환상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3823
796 부동산 [부동산 칼럼]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금리 동결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3821
795 금융 [김경태 박사의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인생 설계] 법인의 유산동결과 은퇴전략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3821
794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대장암 치료, 예방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3818
793 부동산 [부동산 칼럼] BC주의 주택 공시지가에 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3818
792 금융 [채무 칼럼] 좋은 빚도 있나요 ? - 좋은 빚과 나쁜 빚(5)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9 3815
791 이민 [이민 칼럼] 재정비 되는 외국인 고용 (LMIA) 프로그램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3814
790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밀가루, 육식, 커피; 삼중고 三重苦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 3814
789 부동산 [이용욱 부동산 칼럼] 밴쿠버 주택시장 '숨 고르기'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 3812
788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에 일찍 가입할수록 유리한 이유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9 3811
787 금융 캐나다 국세청은 세금체납자의 세금을 감면해 줄까요? (2)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3810
786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실내 및 실외용 목재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7 3809
785 시사 [김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승인’ 논란 답변 뒤에 감추어진 질문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7 3809
784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동절기 골프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3808
783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제4차 산업혁명시대 경쟁력 우위 요건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3807
782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유니버살 라이프의 ‘보험료와 납부기간’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3805
781 부동산 [최재동 부동산칼럼] 이사하기 전에 준비할 것들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3805
780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방광염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805
779 역사 [한힘세설] 논어강독(論語講讀) 13- 修己以敬 修己以安人 修己以安百姓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3804
778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음주 운전과 캐너비스(마리화나) 관련 처벌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3803
777 역사 [한힘세설]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직지심체요절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3802
776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소화성 궤양(1)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3801
775 건강의학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이상적인 스윙과 현실적인 스윙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3799
774 부동산 [유상원 리얼터의 부동산 이야기] Multiple offers 유상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3795
773 문화 [서동임 포르테 피아노] 오페라 투란도트의 4대 수수께끼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3791
772 금융 [김정아의 투자의 맥(脈)] 5월에 팔고 떠나라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5 3789
771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2021년 유망 캐나다 이민 산업과 직종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6 3787
770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재산세 납부 연기 프로그램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8 3786
769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전환은 빠를수록 좋습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3785
768 금융 [김정아의 투자의 맥(脈)] 헬스, 기술, 소비 추천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9 3784
767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본질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3783
766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임대소득 신고(Rental income)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1 3783
765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음식을 따로 따로 떠서 드세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780
764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장성’과 저축성’의 차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6 3779
763 건강의학 [UBC 한인 약대생이 알려주는 의학정보] 독감 김형준, 김용신, 강규원, …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3777
762 역사 [한힘세설] 중고서점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3777
761 역사 [한힘세설] 논어강독(論語講讀) 10. 足食 足兵 民信之矣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3776
760 변호사 [마이클 골든 변호사의 알면 알수록 득이 되는 법 이야기] 교차로 (intersections) 사고 마이클 골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3775
759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낚지 볶음이 아니라 낚지 무침이네요 !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3774
758 금융 [김정아의 투자의 맥(脈)] 저베타 고배당 주식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3769
757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날아다니는 재즈 임프로바이제이션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3769
756 역사 [한힘세설] 논어강독(論語講讀) 12- 以直報怨 以德報德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3766
755 부동산 [유상원 리얼터의 알기 쉬운 부동산 이야기] 리얼터가 손님 부동산 팔며 돈버는 방법 유상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3765
754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새 정부의 난민정책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3758
753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칼럼] 밴쿠버 웨스트 지역의 단독주택 가격 동향(2007 년 ~2014 년)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3757
752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밴쿠버 웨스트 지역의 금년 5월 주택 시장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757
751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부동산 매각손실의 처리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3756
750 부동산 ​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밴쿠버 웨스트 지역의 금년 2월 주택 시장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3755
749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맨 - Sliding Door 보수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6 3753
748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주의! 보험료가 매년 오르는 생명보험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3753
747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제산제를 끊어도 속이 편하네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0 3752
746 부동산 [부동산 칼럼] '재산세 납부 연기 프로그램'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2 3752
745 금융 [SUNNIE JUNG과 함께 하는 채무 칼럼] 캐나다에서 신용카드 채무 청산 방법(2)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0 3744
744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가장 심각한 중독은 술 중독!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3742
743 부동산 외국인 부동산취득세 15% 시행 그 이후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3742
742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렌트를 하면서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들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3741
741 부동산 주택시장 ‘여름 한파(寒波)’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3739
740 시사 [주호석 칼럼] 한국도 선진국이 될수 있을까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3738
739 건강의학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2019년에 새로 시행될 골프규칙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3736
738 부동산 토지에 대한 높은 수요가 1분기 커머셜 부동산 거래 주도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373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