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한국은 태음인의 나라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건강의학 |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한국은 태음인의 나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11-01 16:29 조회3,996회 댓글0건

본문

한국 사람들 가운데는 단연코 음인이 많다. 그 중에서 태음인이 주를 이룬다. 사상의학 창시자인 이제마는 한 고을의 인구를 만 명으로 친다면 태음인이 5천 소음인은 2천이라고 하였다. 음인과 양인의 비율이 7:3이니, 한국을 ‘음인의 나라’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이제마가 본 태음인의 성향은 항상 고요 (靜: 정)하려고 하지 움직이려 (動: 동) 하지 않는다. 또한 항상 안을 지키려고 하지 밖으로 뛰어나고자 하지 않는다. 요즘말로 ‘나대지 않는’ 것이다. 그러하니, 사람이 점잖고 좀 우직해 보인다. 아닌게 아니라 태음인의 원 성향은 지구력이나 혹은 인내심이 다른 체질에 비해 좀 더 강하다 할 수 있다. 그래서 소를 이 체질에 비유하기도 한다. 은근과 끈기의 체질, 태음인. 조금 더 부연하면 태음인은 ‘居處 (거처)’에 능하다. 무슨 말인고 하면, 어떤 자리를 잡으면 웬만해선 그 자리를 벗어나려 하지 않고 자세 잡고 오랫동안 있기를 좋아한다는 뜻이다. 그래서 이 체질은 다분이 보수적이다. 전통을 중시하고 변동을 싫어한다. 말이 그다지 많지 않고 또한 몸을 놀리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예의를 갖춘다. 이제마는 태음인의 또 다른 성향으로 물욕이 강하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태음인을 향해 ‘물욕’을 조심하라고 경고하기를 마다하지 않는다. 어느 한 자리에 ‘딱’ 거처를 정하고 어랫동안 눌러 앉기를 좋아하는 태음인이 진중히, 정직히, 듬짐하게 그리고 우직스럽게 사무를 처리하면 公私 (공사) 모두에 있어 유익할 터인데, ‘물욕’이 툭 터져 나와 그 ‘거처’를 재물 모으는 곳으로 삼는다면 그 개인은 잠시 영화를 누릴 수 있을 지는 모르지만 언젠가는 화가 자신에게 미칠 것이고 국가적으로 재난이 아닐 수 없다. 

 

태음인과 상응하는 체질로 소양인이 있다. 장기의 구조만 가지고 논한다면 태음인의 상대는 소음인이다. 그러나 성향을 가지고 논한다면 태음인의 대는 소양인이다. 태음인이 항시 고요하려고 하는 반면 소양인은 늘 거동하려고 한다. 태음인이 여간해서 움직이려 하지 않는 반면 소양인은 늘 몸을 움직인다. 끊임없이 밖으로 나다니려 하는 것이다.

 

태음인을 가리켜 ‘구렁이’ 한 마리가 들어앉아 있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그 속마음을 읽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태음인은 여간해서 자신의 속을 내 보이지 않는다. 원래 성향이 과묵하고 진중해서 그럴 수 있고 또 다른 면에서는 물욕이 강해서 그럴 수도 있다. 반면에 소양인은 있는 속, 없는 속 다 들어낸다. 좋으면 좋다, 싫으면 싫다 얼굴에 그대로 드러난다. 삼팔광땡이 손안에 들어오면 그 얼굴에 그대로 나타난다. 그러나 태음인은 삼팔광땡이든 어제 거대한 복권에 당첨됬든, 그 얼굴이나 말에 별 변화가 없다. 누가 손해보기 쉽상일까? 소양인이다.

 

소양인의 성향을 설명하자면 물이 얕은 깨끗한 냇물을 언급하고 싶다. 바닥까지 다 들여다 보인다. 소양인에 해당하는 낱말을 선택할 때, ‘단순’이라고 하면 어떨까. 이는 긍정적인 그리고 부정적인 의미 모두를 포함한다.

 

최근 (지난 두 주 사이), 필자의 의원을 방문하는 환자들 가운데 유독 토양인이 많다. 토양인 체질의 증상이나 병의 공통분모는 거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 ‘열’이다. 그 중 배꼽 위의 상부쪽에 열이 몰려있고 그 중에서도 심장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심장에 열이 있다’는 진단 혹은 표현이 현대의학적으로 좀 이해하기 쉽지 않아도 한의학에서는 중요한 시각이요 표현이다. 상부의 열 혹은 심장의 열로 인해 인체 상하의 균형이 깨지고 이러한 양상이 오랫동안 이어지면 고혈압, 당뇨 혹은 중풍같은 병으로 진행될 수 있다. 그래서 이 체질에 이러한 질병이 많이 나타난다. 상부의 열 가운데 위장의 열이 있는데 토양인의 위열이 과항되면 위산과다와 식도성 역류염으로 진행되고, 이 역시 토양인 가운데 빈번하다. 

 

 

토양인의 건강관리의 가장 기본은 ‘열’을 다스리는데 (내리는데) 있다. 그런데 원래 성향이, 좋은 면에서는 명랑하고 좀 안 좋은 면에서는 (지나치게) 급한 것이 문제다.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고 내실을 기하기 보다는 주위 상황이나 다른 이들의 인생사에 더 관심을 갖고 그 쪽으로 더 마음을 쏟으려는 것도 문제다. 보는 것을 먼저 말로 토해낸 다음에 생각할 정도로 급한 경우가 많다. 한편 정의감이 강하여 불의를 보고 참지 못하여 즉각 지적하든지 그 불의에 개입하여 사태를 해결하려고 한다. 그래서 낭패 보는 경우가 있다. 한 자리에 오래 머무는 것을 싫어하며 움직여 활동하는 것을 좋아하고 일이 없으면 만든다. 자신을 외부적으로 지나치게 과시 혹은 치장하고자 하는 것도 문제다. 별 가진 것이 없는데 많이 가진 것 처럼 행세를 한다든지, 자기 분수를 넘어 지나치게 소비하는 허세 경향이 문제다. 이 모든 것이 상황이 좋지 않게 흘러가면, 늘 자리잡고 있는 심장과 위장의 열을 과항시켜 증상이나 병으로 진전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제마는 소양인을 향해 경고하기를 마지 않는다. “나대지 말라. 밖으로만 뛰어나가려 하지 말고 안을 돌아보고 내실을 기하라.” 소양인을 향한 육체적, 정신적인 건강을 위한 인생 金言이 아닐 수 없다. 

  

소양인은 내실을 기함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만큼만 소비하고 행세해야 한다. 그러면서 위와 심장의 열을 낮추는 식이를 해야 한다. 그 대표적인 것이 곡류로 보리와 팥 (쌀과 콩은 유익하지만 현미와 찹쌀은 해로우니 마땅히 빼야 한다.)이 있고 채소 중에는 오이나 상추가 좋다. 한편 감자, 고구마 (밤이나 땅콩) 등은 췌장과 위장의 열을 더욱 올리게 된다. 간혹 고구마를 먹었더니 속이 더부룩하고 변이 불쾌하며 개스가 연신 나온다는 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소양인에게 (그리고 태양인) 그러한 경우가 많다. 한편 고추, 파, 생강 등은 뜨거운 속성이 있어 소양인의 위장의 열을 더 올리니 마땅히 삼가야 한다. 인도 사람이 즐기는 카레 역시 뜨거운 성향이 강하여 소양인에게 맞지 않다. 

 

육류에 있어서는 돼지고기가 좋다. 그래서 돈까스, 햄 등의 돼지고기는 토양체질의 약한 신장을 강화시켜 아주 유익하다.반면에 닭고기는 위와 심장에 작용하여 열을 올리니 마땅히 삼가야 한다. 

과일에 있어서 역시 뜨거운 열을 식혀주는 참외, 수박 그리고 딸기 종류가 좋다. 하지만 열을 올리는 사과나 오렌지 그리고 귤은 해롭다. 

  

 

한국인은 음인의 나라. 태음인이 주를 이루는 나라. 은근과 끈기에 익숙하고 예의 범절에 민감한 나라. 소같이 부지런하고 인내심이 강한 나라. 그런데 그 안에는 어쩌면 치명적인 약점인 ‘거처’와 ‘물욕’에 강한 면이 도사리고 있음을 보아야 한다. 한 곳에 자리깔고 오랫동안 자리보전하면서 사사로운 탐욕으로 재물을 취하기 쉬운 단점이 극복되지 못하고 툭 터져나온다면 어떻게 될까. 그런데 그것이 실상이었다. 지난 어느 시절 혹은 세대에. ‘거처’와 ‘물욕’에 취해 온갖 호사를 누리며 은밀히 나라의 곳간을 제집 것인냥 취한 인사들 가운데는 태음인으로 도배를 이룬 것은 아닐까. 그래서 이제마의 경고의 음성을 한 마디 더 덧붙이고 싶다. 태음인은 ‘견문’을 하라. 밖을 내다보고 자꾸만 밖으로 나가라는 것이다. 우물안 개구리와 같이 전통에 메이고 수구에 메이고 자신의 소견만 붙들지 말고 책도 더 읽고 여행도 하고 세상 도처를 두루두루 다니며 이것저것 보고 배우라는 것이다. 그러할 때 ‘거처’와 ‘물욕’을 극복할 수 있다. 그러할 때 늘 모으려고만 하는 성향을 극복하고 나누고 베풀 수 있다. 그러할 때 인체의 저장 창고같은 간의 기운이 더 과항되지 않아 피의 흐름이 좋아지고 건강에도 이를 수 있다. 그런데 참 아쉬운 것은 이것이다. 한국을 떠나 외국으로 나아가는 사람들 가운데 월등히 양인이 많다는 것. (필자의 견해다) 거처에 능한 태음인들이 외국으로, 외국으로 더 나아간다면 그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 더 유익할 것 같은데, 훌쩍 한국 땅을 떠나는 사람들 가운데 오히려 양인이 더 많다는 것은 그 기질적인 특성에 기인되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 어찌보면 참 아쉬운 일이 아닐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136건 1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6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죠닝(Zoning)이란?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8795
135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닭고기가 맞지 않습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8545
134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주정부승인 받은 후 문제가 생겼을 때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3 8329
133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법원경매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7657
132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노동 허가서 발급 후 “국경에서 워크퍼밋 받기”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7476
131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BC주의 주택 공시지가에 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6695
130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현금’(Cash Surrender Value) or ‘보험금’(Deat…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6692
129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범죄기록 오역만 바로잡아도...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6637
128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돈이되는 미등기전매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6567
127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고용한 리얼터에게 돈을 빌려 디파짓을 하려는데 - Quick Fix or Quick…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6501
126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누수로 인한 피해로부터 주택을 보호하려면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6495
125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밴쿠버 웨스트 지역의 금년 2월 주택 시장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6431
124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캐나다의 주택 소유권에 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6344
123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2018년 부동산 전망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6343
122 이민 [안세정 변호사의 이민법 안내] 범죄 기록이 있는데 캐나다 입국이나 체류가 가능한가요? 안세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6131
121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어드레스 셋업할 때 공의 위치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6097
120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부모초청, 1월말까지 접수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5 6096
119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이민국에 이의제기 하는 방법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5947
118 부동산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한국의 변액 유니버셜 보험과 다릅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5914
117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주택 매매 시 집을 보여 주면서 집 주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들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5870
116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한국에서 가입한 생명보험 어떻게 할까? (4/4)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5834
115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올바른 티(Tee) 높이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5812
114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Owner/Operator LMIA 에 대하여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5787
113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명랑골프는 좋은 매너로부터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5761
112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부동산과 우리 도시의 가까운 미래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5757
111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밴쿠버 지역의 2017년 상업용 부동산 매매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5753
110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재 가입과 복원의 차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5670
109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개방된 캐나다 이민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5 5625
108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태양인은 항상 숫컷이 되려고 하지 암컷이 되려고 하지 않는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5622
107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골프스윙은 회전운동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5588
106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2017년 부동산 결산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5578
105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EE 대기자 수 64,700여명으로 증가세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5535
104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BC 주정부 이민 프로그램의 장점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8 5528
103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Subject Removal, 조건해지 마음대로 써도 되나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5497
102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리얼터와 부동산 관리 전문사가 할 수 있는 업무에 대해서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5479
101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이민문호 확대를 환영하며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 5475
100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BC 주정부 이민신청시 주의할 점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9 5410
99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지난 해 LMIA 승인받은 한인은 2,033명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5393
98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18세 미만 미성년 자녀의 시민권 신청 비용 하향조정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6 5372
97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해가 바뀌면서 '깜빡'하는 숫자들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5343
96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한국에서 가입한 생명보험 어떻게 할까? (1/4)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5282
95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뜨거운 감자 '비트코인' - 비트코인으로 부동산 매입 가능한가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5196
94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BC PNP 신청시 주의할 점 II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9 5187
93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BC 정부의 주택 취득세 인상 발표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5181
92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북미음악평가 RCM 시험의 존재감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5161
91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주택매입절차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5 5137
90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생명보험사가 판매를 선호하는 효자상품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5113
89 부동산 [이용욱의 부동산 레이더] 단독주택 못지 않은 타운하우스 인기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5052
88 부동산 [이용욱의 부동산 레이더] 주택거래량 감소 '눈치보기?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6 5042
87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보험료가 오르는 캐나다 생명보험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5020
86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연말 연시 휴일 기간 중 리스팅을 해도 좋을까?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5007
85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풍수 조건에 맞도록 침실을 꾸미려면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4990
84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집을 선택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들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4989
83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BC주의 이민자 인구 유입 동향 및 이민자의 학군 선호도가 밴쿠버 주택 시장에 미치…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4982
82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외국인 근로자를 채용한 고용주가 주의할 점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4867
81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 2018년 캐나다 예상 이민자동향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4866
80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 생명보험의 ‘순수보험료’ 부과 원리 -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4864
79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2018년 익스프레스 엔트리 이민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4847
78 시사 [주호석 칼럼] 이민에 대한 뜨거운 관심이 보여주는 것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4802
77 부동산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이런 중개인은 조심하세요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4802
76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10월 부동산동향 – 공급부족에도 불구하고 거래량 높아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4774
75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2018년 부모초청 추첨시작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6 4731
74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이민법 사면사건 전문 -소갯말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4716
73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리스팅 하기 전에 고려해 볼만한 효과적 단독주택 단장 방법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4703
72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주정부와 Express Entry 이민동향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4694
71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주택 가격의 하락이 BC 주의 경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5 4633
70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위산과다와 위하수증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4587
69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보험금’(Death Benefit)과 ‘해약환급금’(Cash Surre…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4578
68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셔츠 첫 단추 끼우기 – 어드레스 셋업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4516
67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소변 때문에 밤에 잠을 잘 수 없어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4492
66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부모초청의 제한된 숫자와 증가하는 이민자 수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4485
65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실전적 스윙, 3/4스윙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4460
64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보험금’에 대한 ‘순수보험료’는 저축이 아닙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4439
63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개정 시행되는 캐나다 시민권법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4409
62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유니버살 라이프’(Universal Life)의 함정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4407
61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생명보험의 분류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4382
60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2월 부동산 동향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4327
59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2월 21일부터 취득세 인상 & 외국인 추가 취득세 지역도 확대 적용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4246
58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명품 스타인 웨이를 꿈꾼다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4235
57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한국에서 가입한 생명보험 어떻게 할까? (3/4)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6 4191
56 부동산 [이용욱의 부동산 레이더] 단독주택 못지 않은 타운하우스 인기(2)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4162
55 시사 [주호석 칼럼] 머슴이 어떻게 압니까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9 4158
54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주정부이민프로그램의 점수 동향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4142
53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워터해저드(Water Hazard)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4115
52 시사 [주호석 칼럼] 전(前) 대통령 구속 유감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4087
51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라운드 시작전 워밍업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4084
50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스트레칭의 생활화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4074
49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청각을 잃은 스메타나의 생애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4033
48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한국에서 가입한 생명보험 어떻게 할까? (2/4)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4011
열람중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한국은 태음인의 나라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3997
46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남의 문제가 아닙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3989
45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생명보험 바르게 알자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3988
44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생명보험의 ‘보험료와 납부기간’은 말로 보장되지 않습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3964
43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유니버살 라이프의 다양한 ‘순수보험료’ 조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3931
42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달인은 음색도 다르고 악기도 바꾼다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 3929
41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익스프레스 엔트리 신청시 주의할 점 댓글1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5 3915
40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저축성' 정기보험의 함정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1 3875
39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샌드벙커 안에서의 골프규칙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3865
38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잘못된 믿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3853
37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공자의 修己 (수기), 이제마의 知人(지인)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3827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