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재 가입과 복원의 차이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금융 |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재 가입과 복원의 차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3-16 09:27 조회5,666회 댓글0건

본문

 투자에 대한 이자는 후불이지만 생명보험의 보험료는 선불입니다. 그리고 생명보험의 보험료 유예기간(Grace Period)은 30일 입니다. 즉 보험료를 약속한 날짜에 못(안) 낼 경우 한 달은 봐 주지만, 그 이후에는 계약이 종료(Termination)됩니다. 예를 들어 보험료 자동 이체일이 매달 20일인데 부주의로 계좌에 잔고가 없어 그 날 빠져 나가지 못했다면, 생보사는 가입자(Owner)에게 다음 달 20일 전까지 낼 것을 통보하고 가입자가 그때까지 못(안) 내면 계약은 종료됩니다. 따라서 가입자는 주소의 이전이나 계좌 변경시 그 사실을 생보사에 반드시 알려야 하는 것입니다.     

 8년 전에 T생보사의 종신보험(Permanent Insurance)에 가입하고 보험료는 본인의 계좌에서 매달 자동이체로 내다가 개인사정으로 10여 개월 전에 그 계좌를 닫았었는데 T사에는 깜빡하고 연락을 못 했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얼마 전에 그 사실이 떠 올라 T사의 고객서비스(Customer Service)에 연락했더니 그동안 밀린 보험료와 이자만 내면 된다고 하기에 새 계좌에 대한 정보를 전화로 알려 주고 그 계좌에서 빼 가라고 했는데, 지금까지 빼 가지도 않고 아무런 연락이 없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된 것일까요? 

 생명보험은 보험료를 못(안) 내어서 계약이 종료되었더라도 2년 내에는 그 계약의 복원(Reinstatement)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T사 직원의 말대로 밀린 보험료와 이자를 내면 되는 것이 아니라 다시 건강진단에 통과되어야 하는데, 생보사가 이렇게 건강진단을 다시 요구하는 이유는 일방적으로(Unilaterally) 계약을 종료한 후, 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기에 복원을 요청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죽은 생명보험을 복원하려면 우선 가입한 생보사의 복원양식(Reinstatement Form)을 작성하여 가입자가 서명한 후 신청하면 생보사는 간호원을 보내어 피보험자의 건강진단을 다시 시행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복원의 여부를 그 생보사가 일방적으로 결정합니다. 따라서 복원이 거절될 수도 있지만 만약 복원이 허락되면 가입자는 그동안 밀린 보험료와 이자를 내므로 계약이 다시 유효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그렇게 까다롭게 할 바에야 오히려 다른 생보사에 다시 가입하는 것이 낳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 수 있지만 그것은 훨씬 손해인데, 왜냐하면 복원은 지난 8년 전의 보험료를 보장받지만 재 가입의 보험료는 현재의 나이로 다시 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강진단에 통과하여 밀린 보험료와 이자만 내고 원 계약대로 복원된다면 그것이 훨씬 더 유리합니다. 생명보험의 ‘보험료’는 가입시 확정되고, 그 확정된 계약의 조정이나 변경은 ‘말’이 아니라 반드시 ‘글’(Written)로 요청해야 합니다. 텀10(Term10)에 가입했다가 10년 후 인상된 첫 달의 보험료를 못(안) 내어 계약이 종료되었는데, 얼마 후에 남편이 암으로 사망하여 ‘보험금’을 못 받은 사연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 분은 억울한 생각에 생명보험을 부정적으로 성토하겠지만, 생명보험의 ‘보험료’는 선불이고 30일의 ‘보험료’ 유예기간이 지나면 계약이 종료되므로 그 후의 사망은 ‘보험금’이 지급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생명보험의 기본입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136건 2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슬라이스(Slice)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3807
35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생명보험 가입자의 의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3792
34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페어웨이 벙커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3784
33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가상 시나리오(1/2)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3777
32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저축성’ 생명보험에 대한 환상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3752
31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가장 심각한 중독은 술 중독!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3661
30 시사 [주호석 칼럼] 한국도 선진국이 될수 있을까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3650
29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보험료를 어떻게 평생 냅니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3627
28 시사 [주호석 칼럼] 아즈텍 제국 몰락의 교훈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3617
27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굿톤 그리고 작렬하는 몸짓 중국발 Zang Zuo 독주회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3571
26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가상 시나리오(2/2)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3560
25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장타(長打)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3545
24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찹쌀떡과 닭고기가 맞지 않아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3538
23 시사 [주호석 칼럼] 캐나다 가치와 이민자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 3520
22 시사 [주호석 칼럼] 재외 한국인 그리고 일본인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3515
21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2018 새해엔 네 꿈을 이루마!!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2 3512
20 시사 [주호석 칼럼] 노블레스 오블리주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3476
19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밴쿠버 한인 동포에 큰 감명을 안겨준 조성진 피아노 독주회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3417
18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생명보험의 명세서(Statement)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3410
17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fight or flee `싸울것인가 도망갈것인가?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3383
16 시사 [주호석 칼럼] 공(公)과 사(私)는 철저히 구별돼야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3378
15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콩쿨 매니아 선우예권 피아노 독주회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3374
14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수면과 관절염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3317
13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류머티스 관절염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313
12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루카스 미콜라지크 피아노에 바친다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9 3300
11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재즈기타의 전설 진 베르톤 치니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3 3270
10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골프장 안전사고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3213
9 시사 [주호석 칼럼] 청설모와의 신경전을 끝내며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1 3205
8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우리가 음악 에서 얻는것은 …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5 3008
7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채식주의자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905
6 시사 [주호석 칼럼] 두 얼굴을 가진 사람들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736
5 문화 [문학가 산책] 뿌리의 손톱 유병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3 2733
4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음악회 안가고 어떻게 연주하고 가르치나?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 2622
3 문화 [문학가 산책] 또 한번의 구월 김순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2506
2 문화 [문예정원] 가을을 위하여 강은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3 2436
1 문화 [문예정원] 만산홍엽(滿山紅葉) 정목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237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