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만약 소음인 체질이라면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건강의학 | 내가 만약 소음인 체질이라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6-06-09 13:09 조회9,992회 댓글0건

본문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자신의 체질에 맞춘 식사와 운동 습관 갖추면 건강  지킬 수 있어

 

체질감별 후에 체질식단표를 제시하면 그 반응은 다양하다. 중요한 지침으로 여기고 진지하게 음식을 가리겠다부터 꼭 이렇게 해야만 하는가 힘들어 하는 반응도 있다.

 

혹은 치료 기간 동안만 하는 것인가 묻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다 따르지는 못해도 나름대로 열심히 하겠다는 답변도 있다. 이 정도면 치료하는 입장에서 성공적이고 고무적이다. 결과적으로 말한다면 사람은 자신의 체질대로 음식을 가릴 때 건강에 유익하다.

 

이것이 필자의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 논리요 경험이요 소신이며 확신이다. 그래서 필자는 거의 체질대로 음식을 가리고 그 외 목욕법과 운동법을 따르고 있다. 그래도 아플 수 있고 병들 수 있고 오래 살지 못할 수도 있다. ‘人命은 在天이다’라는 오래 된 가르침도 있고. 그러나 아무리 생각해도 내 자신의 몸 구조와 기능에 맞게 영양공급을 해 주는 것이 필요하고 타당한것 같다. 그리고 건강히 장수하고픈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내가 만약 소음인 체질이라면, 나는 조금만 먹을 것이다. 밥 공기에 밥을 꾹꾹 눌러 담지 않을 것이요,  2/3 정도만 담아 천천히 그리고 꼭꼭 씹어 먹을 것이다. 조금 부족한 듯이 먹는다는 것이다. 가능한대로 소금기가 없는 김과 미역국, 그리고 너무 짜지 않게 된장국을 자주 먹을 것이다.

 

사과는 얼마나 소중한 과일인가. 그 중에서도 나는 부사를 먹을 것이다. 참 맛나다. 설탕보다 달고, 어떻게 표현하기가 무색하게 입에 짝짝 달라 붙는다. 오렌지나 귤도 좋다.

 

여름에 체력이 좀 떨어지는 것 같고 아울러 입맛도 없다면 삼계탕을 먹을 것이다. 크지 않는 닭 한 마리 (혹은 반 마리)에 인삼도 넣고, 황기도 넣고 밤에, 찹쌀에, 대추에, 마늘을 넣으면 진국이다.

 

매일은 아니더라도 질리지만 않는다면, 일주일에 한 두번은 먹을 수 있을 것 같다. 반면에 돼지고기와는 이별이다. 돼지고기는 생각만 해도 싫다. 삼겹살이 좋다고 하지만 나는 입에 안될 자신이 있다.

 

내 차가운 몸을 더 차갑게 하는 냉골 손님을 받아들일 이유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자꾸만 마음을 넓혀서 이 사람 저 사람하고 대화도 좀 하고 일주일에 너댓 번은 수영을 할 것이다.

 

내가 만약 태양인 체질이라면 나는 풀만 먹고 살겠다. (풀은 채소를 의미한다) 넓적한 그러면서 크지 않은 들통에 상추와 깻잎을 잘게 썰어 넣고 조금은 시큼하게 익은 배추김치에 베인 고춧가루를 흐르는 물에 씻어낸 후에 역시 모양이 있든 없든 썩둑썩둑 썰어 통에 넣는다.

 

오이가 있으면 썰어 넣을 것이요, 고사리도 좋다. 여기에 맛낸다고 고추장을 넣을 것은 전혀 없다. 비빔밥 인냥 소고기 몇 점 집어 넣을 것도 없다. 차라리 고추참치 깡통을 까서 그 기름을 흘려보낸 후 반 정도만 쓰면 될 것이요 여기에 들기름을 좀 뿌려주면, 이것이 훌륭한 산해진미가 아니면 무엇이라 하겠는가.

 

풀만 먹어 질리다 싶으면 나는 싱싱하고 상큼한 미나리가 곁들인 홍어회를 먹겠다. 그리고 국으로는 새우와 홍합이 조금씩 들어간 미역국이 일미가 될 것이 틀림없다. 그리고 입맛이 없다 싶으면, 파인애플, 바나나, 각종 베리를 물과 함께 갈아 마시면 될 것이다.

 

이렇게 매일, 그리고 평생 먹을 자신이 있다. 그 香과 味 (향, 미)에서 만인의 손길을 끄는 커피 한 모금이라도, 달달한 빵 한 조각과 우유, 그리고 피자는 전혀 입에 대지 않겠다. 그리고 해변가를 걸을 것이다.

 

몸 찌푸듯 하다고 해서 사우나탕이나 온천욕은 들어가지 않고, 뜨거운 여름부터 시작해서  차가운 물에 샤워하는 법을 배우고 익혀 겨울에라도 그리 하려 한다. 나의 몸과 정신이 그와 같은 것들을 하도록 타고 났기 때문이다.

 

내가 만약 소양인 체질로 태어났다면, 나는 닭고기를 전혀 먹지 않을 것이다. 근육 키우기에 좋다고 하는 닭가슴살도 전혀 입에 대지 않을 것이다. 사과도 안 먹을 자신이 있다.

 

“하루 하나의 사과는 병을 물리친다”는 저 멀리 남의 나라 고사쯤으로 여길 것이다. 감자와 고구마는 아무리 맛나더라도 입에 대지 않을 것이요, 아침 저녁 식단에 놓이는 김에 손이 가지 않을 것이며 미역국도 입에 대지 않을 자신이 있다.

 

아무리 기력이 떨어진다고 해도 인삼(홍삼)은 입에 대지 않을 것이요 인삼이나 인삼주가 선물로 들어온다면 정중히 거절할 것이다.

 

그러면 뭐 먹고 사나. 좋은 야채가 지천에 널려 있다. 오이, 당근, 호박, 배추, 무 등 일일이 나열할 수 없을 정도로 무궁무진하다. 여기에 먹을 만한 해산물도 좀 많은가. 기운이 좀 달릴 것 같으면 돼지고기 보쌈이 일품 정식이다.

 

그런데 고춧가루가 범벅이 된 양념은 저만치 치워 놓고, 굴에 묻어 있는 고추 양념을 적당히 벗겨낸 후 새우젖과 함께 마늘을 넣어 먹을 것이다. 몸이 덥고 갈증이 날 것 같으면 수박 한 통을 반으로 쪼개고, 그 반 조각을 또 반으로 썰어서 주위에 아무도 없으면 수저로 아이스크림 떠먹듯이 그렇게 먹으련다.

 

혹,누가 보면 어떠하랴. 참외도 좋고 자두도 좋고 배도 좋고 감도 좋고 참 좋은 것 많다. 이렇게 좋을 과일이 많은데 굳이 사과, 오렌지, 망고 그리고 귤에 손이 갈 것은 무어란 말인가.

 

내가 만약 태음인 체질이라면 나는 갈비를 즐겨 먹을 것이다. 고기 많이 먹으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지고 또 혈압이 높아진다고 주위에서 좀 염려스러워 하고 만류하더라도, 나는 소고기나 갈비를 즐길 것이다. 그것은 내 몸은 소고기가 들어올 때 적절한 선에서 콜레스테롤치와 혈압이 조절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육고기만 먹으면 병이 안 온다고 장담할 수 없다. 그래서 무를 먹는다. 매일 먹는다. 식탁에 무김치가 올라오지 않으면 장에 가서 무를 손수 사다가 우적우적 씹어 먹을 것이다.

 

이 체질에 무만큼좋은 야채가 또 있을까? 간암으로 몇 개월 더 살지 못한다는 사형선고를 받았던 장군이 매일 무 하나를 먹었더니 간암이 녹아버리고 깨끗이 완치되었다는 간증도 있는 것을 보면 이 체질에 무는 실로 보약 중에서도 상보약이다. 무 먹으면 충분하지, 배추는 왜 먹나. 그래서 나는 배추를 먹지 않을 것이다.

 

고기와 같이 쌈을 싸먹는 상추도 저 만치 치워버릴 것이다. 그리고 수박을 먹고 배와 복숭아 같은 맛난 과일도 먹는다. 그리고 운동을 한다. 산에도 올라가서 호흡을 크게 그리고 오래 들이마신 후 빨리 내 뱉을 것이다.

 

그러면폐에 온갖 신선한 공기가 들어오고 그러면 간에 있는 열기운 (피로물질과 스테레스)이 스르르 가라 앉는다. 체중이 좀 나갈 것 같으면 근육을 위해 아령도 들고 역기도 들고 사우나에도 들어가고 뜨거운 탕에 들어가, “아, 시원하다”라는 말을 음미할 것이다. 한 가지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진중히 앉아서 이런 저런 분야의 독서를 하는 것이다.

 

필자는 90년대 중반에 체질을 안 후 체질에 맞추어 살려고 하고 있다. 잘 안될 때도 있지만 가급적 그리 살려고 하여 이제는 많이 익숙해져서, 체질에 안 맞는 것을 안 먹고 못하더라도 조금도 아쉽지 않다.

 

아! 세상 사람 모두가 이렇게 하면 좋겠다. 누구나 체질에 맞게살 수 있고 자신의 체질을 즐길 수 있다. 그러면 건강이 따라온다. 그리고 건강 회복이 빨라진다. 

 

khd.gif

권호동(다니엘 한의원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1,837건 2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37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땀을 흘려야 할 사람, 흘리지 말아야 할 사람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6932
1736 이민 [이민 칼럼] LMIA 수속 지체 현상 개선되어야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2 6930
1735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변경된 시민권 제도와 이민소식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6 6894
1734 건강의학 [체질칼럼]보리차를 마셔보세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 6893
1733 변호사 [캐나다 법률 여행] 비즈니스 거래할 때 검토해야 할 사항들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6887
1732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브릿징 오픈 취업비자 (Bridging Open Work Permit)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6881
1731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맨 - 지붕 덮개 종류 별 특성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6861
1730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혈중알콜농도 0.08 미만 음주운전 기록과 Criminality 이슈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6860
1729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맨(13) - 변기 물탱크 부품 교체 및 수리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6839
1728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부동산의 해외자산 신고시 유의사항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6812
1727 이민 [이민 칼럼] 취업비자 영주권 취득 쉬워져야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9 6804
1726 이민 [이민 칼럼] ​ 심각한 PR 카드 수속지체 현상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6774
1725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미숫가루에 음양이 있습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6765
1724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신청조건이 쉬운 서스캐처원 주정부이민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6761
1723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2019년 부모, 조부모 초청 이민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6759
1722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실내 벽 크랙 보수(Wall Crack Repair) 및 터치 업 페인팅(To…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6745
1721 이민 [이민 칼럼] '장애자녀' 또는 '장애 부모' 초청 이민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3 6740
1720 이민 [이민칼럼] Express Entry 정리 와 이민신청 가능한 방법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6740
1719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변경 실시될 시민권 요약, 그리고 캐나다 비자 사무실 유형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1 6734
1718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지붕 덮개 종류, 특성, 시공 및 보수(1)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6723
1717 이민 [이민칼럼] 캐나다 이민역사 150년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 6720
1716 이민 [이민 칼럼] LMIA심사와 고용주 조사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30 6710
1715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한국의 암보험과 캐나다 중병보험의 차이점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6700
1714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공소권 없음 결정 사소한 접촉사고 영주권 신청 장애?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6699
1713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BC주의 주택 공시지가에 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6686
1712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범죄경력과 캐나다이민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6682
1711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현금’(Cash Surrender Value) or ‘보험금’(Deat…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6677
1710 건강의학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원플레인 스윙(One Plane Swing)?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6674
1709 금융 [김경태 박사의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인생설계} RESP의 오해와 실수들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6638
1708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범죄기록 오역만 바로잡아도...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6620
1707 이민 [이민칼럼-이경봉] 말소된 영주권갱신과 절차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6592
1706 부동산 [조동욱 부동산 칼럼] 집 주인이 직접 지은 집 매매하기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6592
1705 부동산 [주택관리] 각종 난방의 장단점, 과연 무엇일까 ?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6579
1704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돈이되는 미등기전매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6564
1703 건강의학 커피, 생강차, 구기자차 그리고 모과차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6527
1702 이민 [이민칼럼] 6월 중 이민부 동향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6500
1701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누수로 인한 피해로부터 주택을 보호하려면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6488
1700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고용한 리얼터에게 돈을 빌려 디파짓을 하려는데 - Quick Fix or Quick…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6488
1699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위하수증 - 생각을 줄이세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9 6425
1698 이민 [이민칼럼] EE 및 PNP 선발점수 상승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6424
1697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밴쿠버 웨스트 지역의 금년 2월 주택 시장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6423
1696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새로운 실내 카펫 깔기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6415
1695 부동산 [최재동 부동산 칼럼] 커머셜 부동산의 가치 평가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6393
1694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캐나다 생명보험 상품의 종류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6372
1693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오너/운영자(Owner/Operator) LMIA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6360
1692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2018년 부동산 전망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6338
1691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캐나다의 주택 소유권에 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6337
1690 부동산 연기 감지기(Smoke Detector)와 일산화 탄소 감지기(CO Detector)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9 6336
1689 이민 [이민칼럼] 배우자 초청서류 신청 시 캐나다 안(Inside)과 밖(Outside)의 차이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6332
1688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사면(Rehabilitation) 신청의 요건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6325
1687 변호사 BC주 아동 보호 법, 어떤 것들이 있을까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6301
1686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실내 카펫트 주름 펴기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6278
1685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정화조(셉틱 탱크: Septic Tank) -1 회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6276
1684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우리 집 전선은 구리 인가 알루미늄 인가?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6269
1683 이민 [이민칼럼] 익스프레스 엔트리 선발 점수 하향세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6269
1682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어떤 전공, 직업이 적성에 맞을까?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8 6260
1681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우드와 롱아이언 그리고 하이브리드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6252
1680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전기 아웃렛 보수 및 퓨즈 교체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6250
1679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싱크대 및세면대 배수관 막힘 보수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6238
1678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외국인 부동산 취득세가 밴쿠버 주택 시장에 미친 영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6221
1677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허울좋은 ‘저축성’ 생명보험의 실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6219
1676 이민 [이민 칼럼] 신분유지 및 복권신청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 6203
1675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음주운전 법정형 상향조정 형법개정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6200
1674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부동산가격! 포트코퀴틀람과 코퀴틀람이 가장 많이 올라.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6197
1673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취업 후 이민--- 알버타주 ECE 자격증 전환과 취업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2 6178
1672 건강의학 [권호동 체질칼럼] 당근과 비타민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6171
1671 부동산 [부동산 칼럼] 최근 발표된 부동산 취득세 변경안 및 관련 사안들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9 6161
1670 이민 [이민 칼럼] 외국인 노동자를 보는 캐나다 내 시선과 평가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6141
1669 이민 [안세정 변호사의 이민법 안내] 범죄 기록이 있는데 캐나다 입국이나 체류가 가능한가요? 안세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6125
1668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10년 경과 범죄기록 중 사면신청 필요없는 경우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6115
1667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BC PNP 외곽지역 사업이민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6107
1666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어드레스 셋업할 때 공의 위치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6090
1665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부모초청, 1월말까지 접수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5 6080
1664 금융 [남궁재 회계사의 부동산 칼럼] 주거주지 용도변경(임대목적에서 주거주지로)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6068
1663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현미는 음인의 곡류입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6067
1662 부동산 [부동산 칼럼] 계약금 (Deposit) 문답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 6045
1661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재미로 보는 단독주택 가격 예상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6040
1660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부부싸움으로 강제 추방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6029
1659 부동산 [조동욱 부동산 칼럼] 밴쿠버는 풍수적으로 어떤 곳일까?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6013
1658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관성 모멘트(MOI)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5999
1657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거래량 줄고 재고량 늘어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5990
1656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현미와 사과가 다 좋은 것은 아닙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 5989
1655 금융 [김순오 회계사의 세무칼럼] 사업 소득 관련 절세 방안 김순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5982
1654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우리동네 개발계획(2) – 브렌트우드타운센터 길모어스테이션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5974
1653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신규 이민자들을 위한 주택 마련 가이드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5969
1652 이민 [이민칼럼-이경봉] 방문비자, 슈퍼비자, 그리고 부모님 초청이민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5962
1651 건강의학 [체질칼럼] 해독 쥬스의 허와 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1 5956
1650 변호사 이혼시 재산과 빚 분할에 관한 법률 상식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5954
1649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이민국에 이의제기 하는 방법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5936
1648 부동산 [이용욱의 부동산 칼럼] 단독주택 '주춤' 공동주택 '껑충'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5931
1647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마켓 업데이트- 수요가 공급을 초과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5924
1646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한국 부동산의 증여와 세금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5916
1645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LMIA 수속기간 지체될 듯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5911
1644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영주권 포기절차 개정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5906
1643 부동산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한국의 변액 유니버셜 보험과 다릅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5905
1642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난방시리즈 5 - 난방 닥트 내부는 꼭 크리닝 해야 하는가?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3 5870
1641 변호사 캐나다 헌법, 어떻게 제정되었나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5866
1640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주택 매매 시 집을 보여 주면서 집 주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들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5861
1639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부동산 임대사업의 형태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5837
1638 역사 [한힘세설] 명심보감(明心寶鑑) 1- 착한 사람에게는 하늘이 복으로써 갚아준다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583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