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위암(Stomach Cancer, Gastric Cancer)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건강의학 |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위암(Stomach Cancer, Gastric Cancer)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1-18 11:11 조회4,256회 댓글0건

본문

 

한국인에게서 가장 발병 흔한 암 중 하나, 예방이 가장 좋은 처방

자주 햇볕 쪼이고, 숙면 취하는 등 생활 습관 개선하면 효과 있어

 

 

 

 

위장병 중에서 가장 무섭고, 한국인 발병 암 중에서 가장 흔한 위암을 먼저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위암은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암으로 오랬동안 자리를 지켜오고있습니다.

위암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일본이나 중국에도 매우 흔합니다.

 

<증상>

위암 증상은 뚜렷치 않을 뿐 아니라 급성 위염이나 궤양과 증상이 혼동되곤 합니다. 증상 기술을 정확히 할 때 의사가 위암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아래 증상들은 코에 걸면 코에 걸리는 일반적인 소화기 증상이므로 본인의 증상을 여기에 맞추면 곤란하겠지요. 가장 정확한 판단은 오로지 정확한 증상의 설명을 의사에게 하는 것으로 가능합니다.

1) 소화불량

2) 식욕부진

3) 이유없는 체중 감소

4) 복통, 복부 불쾌감

5) 어지럼증

6) 피로, 전신 쇄약

 

<원인>

1) 감염

헬리코박터라는 세균의 감염은 위암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여기에 감염되었다고 해서 위암이 꼭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2) 흡연

담배가 꼭 폐암에만 국한된 것은 절대 아님을 명심하세요. 사실은 전신의 모든 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위암은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흡연자의 경우 흡연량에 따라 40%에서 많게는 82%까지 위험율을 높힙니다. 금연이 절대 필요한 이유입니다.

3) 음식

음식 하면 무엇을 먹느냐를 먼저 떠올리는데, 어떻게 먹느냐도 중요합니다. 일본의 경우 예로 부터 세계적으로 장수국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2차 세계대전 폐망 이후 위암환자가 급속히 증가해 세계에서 위암 발생이 가장 높은 국가로 알려지게 되었던 적이 있습니다. 이는 젊은이들이 시간을 다투어 열심히 일을 하면서 앉지도 않고 역 앞에서 씹을 틈도 없이 마시듯이 먹는 식습관 때문이었던 것입니다. 즉, 오래 씹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지를 보여준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음식은 자극적인 것들, 특히 짠 음식(특히 소금에 절인 음식)이 위암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그밖에 훈제한 음식이나 가공육(쏘세지, 햄, 베이컨 등)도 관련이 있습니다.

4) 만성 위염

만성위염의 대표적인 원인이 과식임을 볼 때, 너무 지나치게 많이 먹는 것은 위의 부담을 주기 때문에 당연히 피해야 하겠습니다.

 

<진단>

1) 문진

모든 병의 진단에 있어서 정확한 문진과 신체검사를 통해 70% 이상을 찾아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바쁜 진료 일정과 의사-환자 간의 신뢰 부족, 그리고 진료와 결부된 금전적인 요소 때문에 가장 기본적인 것이 간과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환자가 먼저 인터넷 등에서 증상을 가지고 병을 진단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의사에게 자신의 증상을 걸러서 이야기 한다면 의사로 하여금 올바른 판단을 못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은 당연하지요. 가장 중요한 것은 솔직, 정확한 기술임을 잊지 마세요. 그리고, 의사의 설명을 듣고 난 후에도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위암인 것이 틀림없는 이유"를 이야기 할 기회는 있습니다.

2) 신체 검사

3) 혈액검사 : 빈혈 소견이나 검사실에서 임김을 불어서 하는 헬리코박터균의 검사가 포함됩니다.

4) 대변검사 : 위의 염증이나 궤양, 또는 암이 있을 경우 미세하나마 출혈이 있게 되면 대변에 적혈구가 나오게 됩니다. 물론 눈으로는 확인이 안되는 미세 출혈이지요. 이런 경우에도 매우 정확히 찾아내는 대변검사는 신뢰할 만 합니다.

5) 엑스레이 조영검사 : 지금은 잘 시행되고 있지 않지만, 옛날에 제가 의대를 다닐 때에는 조영제를 삼키고 이리저리 각도를 달리해 가면서 위장을 촬영하는 위장 조영술이 흔했흡니다.

6) 위 내시경 : 위암 진단의 꽃이라고 할 만큼 결정적인 검사가 됩니다. 특히 이상 소견을 확인할 경우 바로 조직검사를 시행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검사입니다. 일본의 경우 국가적으로 위암의 조기 진단을 위해 많은 투자를 했습니다. 그 결과 요새 사용하는 대부분의 내시경들이 일본제가 많습니다. 아무리 기술이 발달해도 내시경 굵기는 여전히 굵습니다. 그래서 식도에서 위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위산의 역류를 방지하는 괄약근을 억지로 넓히고 들어가야만 합니다. 이런 이유로 무작정 자주하는 위 내시경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입니다.

 

<치료>

1) 수술

모든 암에서 마찬가지로 가장 근본적이고 긍극적인 치료는 수술로 암을 완전히 절제해 내는 것입니다. 위장의 경우 거의 대부분 수술이 가능하지만, 주변으로 침범이 되었거나 멀리 다른 장기로 전이가 된 경우에는 수술이 오히려 생명을 단축시키고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도 있기 때문에 금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위암을 조기에 발견하면서 내시경으로 위장의 안쪽에서 위 점막을 도려내는 수술도 하지만, 장.단점이 있고 널리 보편화 된 것은 아닙니다.

2) 항암제

항암제라 하면, 유전자 변이로 무분별하게 증식하는 암세포를 겨냥해서 세포분열을 억제하거나 핵산(유전자의 요소)의 생성을 저해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화학제를 총칭합니다.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대개는 몇가지 약품을 조합해서 복합적으로 사용합니다. 물론 정상 세포에도 같은 영향을 미치므로 많은 부작용이 따르는 것은 당연합니다. 암이 진행된 경우 수술 전에 항암제 치료를 하여 암 덩어리 크기를 줄이고 수술을 하면 수술의 범위가 적어지고 회복에 도움을 주므로 이런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더 흔하게는 수술 후에 혹시 남아있을 조직이나 암세포 재발달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물론, 수술이 불가능할 경우 생명을 연장시킬 목적으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현대 의학의 또하나 발전은 암의 세포 성격을 나누어서 암 세포에만 작용하는 화학제를 개발하고 있는데, 이를 표적치료라고 합니다. 만일 어떤 인자에 양성으로 나온다면 이런 약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다른 신체에 끼치는 해가 적으므로 치료 부작용이 적어 생존기간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증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3) 방사선 요법

방사선은 고용량에서 세포의 괴사나 분열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암의 치료에 쓰인곤 합니다. 그러나 주변 장기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단지 수술이나 항암치료의 보조요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후>

위암의 예후는 동.서양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서양의 경우 위암이 비교적 드믈기 때문에 조기발견이 잘 안되는 경향이 있고, 나이가 70세 넘어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동양에서는 예후가 그리 나쁘지는 않습니다. 예후를 판정하는데는 병의 진행정도를 구분하는 병기(Disease Stage)를 따지게 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오래 전 부터 사용해 온 TNM( Tumor-lymph Node-Metastasis) system을 가장 흔히 사용합니다.

Tumor(종양)- 암 덩어리가 얼마나 주변에 깊숙히 퍼졌는가 입니다. 가장 초기로는 점막에 국한된 경우 부터 점막하 지지조직, 근육층, 그리고 가장 바깥의 장막(Serosa)를 넘어선 경우 까지 나누게 됩니다.

Node(임파선 결절)- 위 부근의 임파선이 많이 존재하는데, CT 촬영이나 수술 중 제거한 임파선의 암세포 전이 여부를 지도로 그려서(mapping) 암의 확산 정도를 구분합니다.

M(원격 전이)- 이런 경우에는 무조건 4기에 해당되며 대부분 수술이 적용되지 않고 완화요법을 하게 됩니다.

 

<예방>

암은 무조건 예방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생명과 삶에 직결되면서 가장 높은 사망의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간혹 사람들은 이를 등한시하고, 내시경으로 1-2년에 한번씩 확인하는 것으로 안심 하는 경우를 보게 됩니다. 내시경은 암을 예방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확실히 인식해야 합니다. 따로 암에 대해 다룰 때에 나오겠지만, 건강 생활을 하므로 암의 공포에서 자유로워지는 길이 최선의 길임을 기억하세요. 위암 예방법을 간단히 요약하자면,다음과 같습니다.

1. 암세포 발생을 부추기는 인자 제거

흡연, 과음, 불규칙한 식사, 과식(위가 늘어나면서 점막이 얇아지는 위축성 위염은 위암의 직접원인), 자극적인 음식(측히 짠음식, 절인 음식이 위암의 원인)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대로 야채나 과일에서 최근에 발견되고 있는 갖가지 항암 성분들을 생각하면, 이것들을 상용하는 것은 바람직합니다.

2. 암세포의 발생을 억제하고, 도말하는 면역체제 강화

아마도 이 방법이 모든 암을 망라해서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첫째, 햇빛을 매일 꾸준히 쏘이는 것입니다. 햇빛은 항암에 관련된 면역세포를 활성화 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입니다. 둘째, 운동은 뇌에서 알파파를 생성하고, 좋은 신경 호르몬을 분비케 해서 면역력을 강화합니다. 마지막으로, 숙면입니다. 모든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수백만개의 암 세포를 매일 밤 찾아 걸러내 주는 면역 체계는 밤 10시 부터 새벽 3시 사이에 가장 활발합니다. 그 시간에 숙면을 하고 있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또 최근에는 멜라토닌이 이런 이유로 항암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참고로, 이것을 알약으로 먹는 것은 전혀 쓸모 없습니다.)

 

 

 

그림) 우리나라 암 사망의 주요 원인인 5대 암 발생율 (복지부 통계, 2016)

위암.pdf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825건 3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25 변호사 개인 인권 보호하는 무죄 추정 원칙, 어떤 것일까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4276
624 이민 [이민칼럼] 캐나다 이민역사 150년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 6831
623 이민 [이민 칼럼] 신속한 온라인 비자 연장 수속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 5207
622 금융 불확실성시대의 재정투자 자산관리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 3637
621 부동산 [주택관리]- 집안 물 샘 보수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5706
620 금융 [ 채무 칼럼] 캐나다에서 가장 싸게 파산하는 방법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4408
619 부동산 밴쿠버 주택시장 열기 한풀 꺾이나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3050
618 부동산 밴쿠버 지역의 2016년 1/4분기 상업용 부동산 매매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3540
617 건강의학 신장(kidney)의 오묘한 세계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3218
616 건강의학 “당신은 소양인인데 어찌 그리 부정적이며 어둡습니까?”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3054
615 변호사 캐나다 헌법, 어떻게 제정되었나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5946
614 부동산 전기 차단기(Circuit Breaker) 리셋(Reset) 방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 10562
613 금융 [채무 칼럼] 파산비용 요인 4 - 과거 파산기록 유무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 3884
612 부동산 하반기 주택시장, '우생마사(牛生馬死)'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 4057
611 부동산 [부동산 칼럼] 계약금 (Deposit) 문답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 6157
610 변호사 합의 이혼, 어떤 경우에 할 수 있나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13229
609 건강의학 태양볕이 너무 뜨거워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3651
608 이민 [이민 칼럼] 올 가을 이후 EE 합격점수 떨어질 듯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7 4647
607 금융 영국의 EU탈퇴사태와 투자자산관리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7 3655
606 부동산 전기 접지(Grounding)와 전선 연결( Wiring)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0363
605 금융 잉여수입(Surplus Income) 이란 ?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5112
604 부동산 아파트 전성시대 다시오나?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3559
603 부동산 여름철을 맞이하면서 한번쯤 고려해 볼만한 주택 점검 사항들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3226
602 건강의학 메밀은 위장을 식혀 줍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4792
601 건강의학 간암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3204
600 변호사 알아 두면 유용한 리걸 에이드 제도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4055
599 금융 새정부 정책과 은퇴상속자산관리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0 3514
598 이민 [이민 칼럼] 신속해질 배우자 초청이민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0 4056
597 건강의학 [ '건강하게 삽시다'] 간염(Hepatitis)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6 3706
596 건강의학 “若敬淑女色得中道” (약경숙녀색득중도) "色에도 道가 있습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6 2864
595 변호사 소액 소송, 어떻게 진행되나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6 7106
594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맨 -안전하게 나무 자르는 방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8749
593 부동산 밴쿠버 집값, 서고동저(西高東低)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3284
592 부동산 토지에 대한 높은 수요가 1분기 커머셜 부동산 거래 주도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3732
591 금융 개인파산시 드는 비용은?(Costs and Fees for Bankruptcy in Canada)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3881
590 이민 [이민 칼럼] 금년들어 이민 증가세로 돌아서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3 4602
589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맨 - 빗물 홈통 관리 및 청소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 5846
588 금융 면제재산과 청산가치보장의 원칙(2)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 3445
587 부동산 "산이 높으면 골도 깊다"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 3552
586 부동산 주택 임대 시 체크해야 할 사항들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 3355
585 건강의학 간 질환, 어떤 것이 있을까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9 2776
584 변호사 형사 사건 연루되면 체류 자격 영향 미쳐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9 5094
583 건강의학 내가 만약 소음인 체질이라면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9 10072
582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외국인 노동자들의 명과 암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6 5266
581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맨 - 지붕 누수 및 빗물 새기 쉬운 곳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4682
580 부동산 물들어 올때 노 저어라 - 어떡하나, '사? 팔아?'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4211
579 금융 면제재산과 청산가치보장의 원칙(1)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3476
578 부동산 5월 부동산 동향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3599
577 건강의학 간(4)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2 2994
576 건강의학 과자를 한 가마니 가져왔네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2 3404
575 변호사 배우자에게 학대받는 초청 이민, 참으면 안돼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2 4210
574 이민 [이민 칼럼] EE 신청후 거절되는 경우도 많아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8323
573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맨 - 지붕 표면 관리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3828
572 부동산 매물이 없다. 불 붙은 타운 하우스 시장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3702
571 부동산 밴쿠버 웨스트 지역의 4월 주택 시장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3495
570 변호사 BC주 아동 보호 법, 어떤 것들이 있을까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6375
569 건강의학 간(3)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3224
568 부동산 우드 쉐이크 지붕 및 보수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3321
567 금융 [채무 칼럼] 개인회생 자주 하는 질문 Q9~Q10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3498
566 부동산 It ain't over till it's over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4325
565 부동산 BC주 부동산 계속적인 기록경신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3268
564 건강의학 간 (2)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2957
563 변호사 이혼 소송, 정확하게 알고 진행해야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7773
562 건강의학 불임도 체질이 있습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3306
561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영주권은 어떻게 받나?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10201
560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나는 우리 집 핸디맨(17) -아스팔트 슁글 지붕 보수 및 시공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4502
559 금융 [SUNNIE JUNG과 함께 하는 채무 칼럼] 개인회생 자주 하는 질문 Q7 ~ Q8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2819
558 부동산 [조동욱 부동산 칼럼] 밴쿠버 빈 집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세요 ?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4220
557 건강의학 간(liver) 질환에 대한 모든 것(1)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2345
556 건강의학 [체질 칼럼] 운동,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하세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3491
555 부동산 [이용욱 부동산 칼럼] “통계는 비키니 같은 것”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3587
554 금융 [김경태 박사의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인생 설계] 안전한 자산증식과 증여상속전략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3930
553 부동산 아스팔트 슁글 문제 및 보수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5844
552 금융 개인회생 자주 하는 질문 Q5 ~ Q6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3186
551 부동산 Silly Market Crazy Price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901
550 부동산 [부동산 칼럼] 밴쿠버 부동산시장 동향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3193
549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중풍 (8)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2920
548 건강의학 소음인은 쉬어가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4591
547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난민정책의 이모저모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4811
546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맨- 지붕 표면 관리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5216
545 금융 개인회생 관련 제일 궁금한 'Q & A' 정리(2)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4759
544 부동산 [부동산 칼럼] 밴쿠버 주택 시장의 바이어들은?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3190
543 건강의학 [체질 칼럼] 설렁탕의 짝은 배추가 아니라 무입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3998
542 이민 [이민 칼럼] BC 주정부이민 2차 선발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4464
541 금융 개인회생 관련 제일 궁금한 'Q & A' 정리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2 3515
540 부동산 [부동산 칼럼] BC주 부동산 동향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2 2974
539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맨 - 지붕 덮개 종류 별 특성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6971
538 이민 [이민 칼럼] 개선되는 캐나다 이민정책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8 4232
537 금융 캐나다 국세청은 세금체납자의 세금을 감면해 줄까요? (2)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3805
536 부동산 [부동산 칼럼] 밴쿠버 지역의 2015년 상업용 부동산 매매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3193
535 금융 제로 금리와 은퇴자의 딜레머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3507
534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맨(13) - 변기 물탱크 부품 교체 및 수리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6928
533 건강의학 [체질칼럼] 술(酒) 조심하세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661
532 이민 [이민 칼럼] 익스프레스 엔트리 승인된 한인은 605명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4883
531 부동산 [부동산 칼럼] 오버 프라이싱 vs. 언더 프라이싱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3946
530 금융 캐나다 국세청은 세금체납자의 세금을 감면해 줄까요? (1)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3530
529 부동산 취미로 만든 텃밭을 돈 안들이고 기름지게 만드는 방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0432
528 이민 [이민 칼럼] 국제학생 졸업 후 이민정책은 개선 되어야 한다.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3844
527 금융 불법채권추심 대처방안 - 온라인 민원 및 문의 전화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3674
526 부동산 [부동산 칼럼] 개인 세금 신고 시 공제 가능한 이사 비용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451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