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2019년 ‘한국, 미국, 북한, 캐나다’ 새해 신년사 전격 분석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시사 | [김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2019년 ‘한국, 미국, 북한, 캐나다’ 새해 신년사 전격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01-10 15:26 조회3,267회 댓글0건

본문

 

 

2019년 기해년 새해가 밝았다. 새해를 기념하여 한국 북한 미국 캐나다 각국 정상들의 신년사를 들어보았다. 신년사가 가지는 의미는 상당히 중요하다. 2018년을 돌아보며 2019년에 한 나라가 정책 방향과 기조를 알아 볼 수 있는 알림판이 되기 때문이다. 각국의 리더들은 신년사로 자국의 정책방향이나 외교정책 기조를 알리는 데 사용하곤 하는데 2019년에는 각국에서는 어떠한 메시지가 있는지 확인해보자.

우선 대한민국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사는 중소기업 중앙회에서 이루어졌다.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신년사를 함으로서, 올해는 최악의 실업률을 타파하고자 일자리와 민생에 무게중심을 기울이겠다는 상징적 의미 또한 내포된 것으로 보여진다. 

우선, 2019년 신년사에 가장 핵심은 경제였다. 무려 90%이상을 경제문제에 할애하였는데 그중 직접적인 경제라는 단어 언급을 25회나 하였고 특히 기업이란 단어 또한 10회 언급하며 기업과 함께 성장하는 경제를 강조하였다. 작년에 경제 단어 언급이 고작 3회에 불과했다는 것 을 따져보면 올해의 정책 방향이 경제에 얼마나 쏠리고 있는지 그리고 경제가 우리사회의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다는 것을 쉽게 예측 할 수 있다. 작년 신년사에서 크게 바뀐 것은 두가지인데 우선 ‘소득주도성장’ 이라는 말이 올해에는 아예 빠졌고 예년 경제 정책의 기조와 큰 틀을 새롭게 바꾸겠다고 선언했다. 이는 곧 경제를 살릴 수 있는 해법으로 기업에 적극적인 투자와 규제완화를 하겠다는 의중으로 보인다. 

한 가지 특이한 점은 2018년엔 경제보단 한반도 평화와 촛불혁명 등 정치와 북한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이번엔 북한이라는 단어는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았고 이는 엄중한 경제 상황과 민심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 또한 문재인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그 어느 때보다 2019년 신년사에 경제 분야에 방점을 두고 많은 분량을 할애했다. 특히 자력갱생에 기반한 사회주의 경제 건설이라는 구호가 많이 나왔고 ‘자력갱생’을 키워드로 미국과 유엔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북제재를 거스르려는 의지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년도와 비교해 석탄생산 또한 크게 강조하였는데 이는 미국과의 협상이 장기화 될 것을 대비해 원료를 석유 대신 석탄으로 대체할 생각으로 보이며 대미 협상카드로 원자력 발전을 언급하였는데, 이는 핵에너지를 평화적으로 사용가능하다는 미국과의 협상카드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미국에 대한 연설에서는 한미관계를 흔들 수 있는 무리한 태도가 보였는데 예를 들어 한미연합군사훈련을 중단하라고 요구하는 것이나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을 아무 조건없이 재개하자고 하는 등, 마치 당연시 요구하고 우리는 무엇이든 수용하겠다고 말하는 듯한 뉘앙스에서 미국과 한국에게 협상테이블로 나오라는 압박을 하고 있다. 이는 한미간 철저한 대화와 이해관계 없이는 갈등이 발생 할 수 있는 민감한 영역이 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의견이다.

이에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이 신년사에 대한 답변을 트위터를 통해 밝혔는데, 그가 답변하고 싶었던 부분은 ‘김정은이 더 이상 핵을 만들지도, 핵실험을 하지도 않으며 핵을 다른 나라에 넘기지도 않을 것이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을 언제든 만날 준비가 되어있다 라고 한다.’라고 말하며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나 또한 김정은위원장을 만나는 것을 기다리고 있고 북한은 경제적으로 어마어마한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본인의 의견을 피력하기도 했다. (Kim Jong Un says North Korea will not make or test nuclear weapons, or give them to others he is ready to meet President Trump anytime… look forward to meeting with Chairman Kim … North Korea possesses great economic potential!)

이처럼 미국은 한국과 북한처럼 신년사를 공식석상에서 밝히지는 않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에서 밝힌 내용이나 폭스뉴스를 통해 인터뷰 한 것을 모아보면, ‘2019년 모든 이들에게 새해 인사를 하고싶다. 나를 싫어하는 사람들과 가짜 뉴스들 또한 포함해서 말이다! 올해에도 정말 많은 놀라운 일들이 미국에 일어날 것이고 우리는 단지 발 뻗고 누워서 지켜보기만 하면 된다!’(Happy new year to everyone, including the haters and the fake news media! 2019 will be a fantastic year…just calm down and enjoy the ride, great things are happening for our country!)라고 하면서 일종의 향후 전개될 일에 대한 암시와 기대를 전하기도 했다. 

또한 그는 덧붙이길 2018년에 승리자들은 미국인들이다 라고 말하며 특유의 ‘American First’적 성향을 보여주었다. 나아가 나는 미국인들이 부담해야할 세금을 줄였으며 일자리들은 많아졌고 미국인의 삶은 더 풍성해졌다고 인터뷰하며 본인의 업적을 피력하기도 했다. (The winners were "the American people" because he got them tax cuts, jobs … I am really more interested in the winners, and the winners are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한편 이웃나라 캐나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 또한 신년사를 발표했는데 그의 신년사의 중점적인 메시지는 총 3가지로 분류 할 수 있었다. 일자리, 새로운 나프타 딜, 그리고 자연보호였다. 우선 첫째로 언급한 일자리는 2019년 통계를 분석해 보았을 때, 약 40년 동안 캐나다의 역사 중 현재 가장 낮은 실업률을 달성하였고 2015년보다 80만 명 이상이 일자리를 취득했다는 취지의 내용이다.  (the lowest unemployment rate in over 40 years. Wages are up and, today, 800,000 more people are working than in 2015.)

두 번째로는, 최근 미국과 멕시코가 함께한 New NAFTA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는데 그는 “이번에 새롭게 채결한 New NAFTA는 캐나다인에게 더 좋은 일자리와 더 넓은 곳에서 번영하고 누릴 수 있는 거래였다.”라고 말했다. (Together, we negotiated a new NAFTA – and got a good deal for Canada – so that Canadians can count on well-paying jobs, and our businesses can count on the access they need to expand and thrive)

마지막으로 캐나다가 앞장서서 자연환경을 지키는 것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우리는 바다 위에 오염된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일을 시작할 것이고 대기오염을 야기하는 행위에 또한 세금을 매겨서 지구온난화에 대응해 나갈 것이다”(We also launched the Ocean Plastics Charter, a historic initiative to eradicate plastic pollution and protect our oceans…It will also no longer be free to pollute anywhere in Canada, as we put a price on pollution to cut emissions and fight climate change).

종합해서 분석해보면, 각 나라정상들이 새해 신년사를 발표한 장소와 대상은 각기 달랐지만 모두가 경제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은 명확해 보인다. 또한 한국과 북한 미국 캐나다가 단지 각자의 나라만 신경 쓰면 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에게 메시지를 주고 있고 표면적메시지 안에 있는 잠재적 메시지까지 서로 연결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4국뿐 만이 아니라  모두가 상생 할 수 있는 방법을 잘 찾아 세계에도 항구적 평화가 오기를 기원한다.

 

 

8a8cbe94206e4545c32e1b3b61df6249_1536877738_4201.jpg
김 바울, Paul R Kim,  

칼럼리스트, 통번역사, SGIC통번역강사, 현대중국학회 소속

UBC대학교 인문학부 아시아학과 학사졸업 후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국제통상 및 국제협력학 석사 취득. 과정에서 외국계 의료기업 통번역 근무를 거쳐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의사협회 영어교육과 세미나 발표 등 경력 이어 2018년 회사 리사운드 설립, 대표이사로서 통번역 및 영어, 한국어 교육사업 강연 등 진행 중.

홈페이지: https://ithepaul.wixsite.com/resound

카카오톡 Kakaotalk: paulRkim 

이메일: ithepaul@me.com

ithepaul@me.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271건 3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1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2015년 환율전망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3393
70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해약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3385
69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저평가업종투자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3383
68 금융 [경태 박사의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인생설계] 고소득자의 은퇴 상속전략 - 경제적인 RRSP 대체수단과 은…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3368
67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순수보험료’와 ‘추가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2 3363
66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자동차 보험과 생명보험의 차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3345
65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연 5% 수익률 올리기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3336
64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제목: ‘멍’ 잡으려다 멍든 캐나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3329
63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장성’과 ‘저축성’의 차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3322
62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유가 39% 반등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3319
6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그 놈의 정’ 때문에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3 3316
60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후. 배드딜보다는 노딜.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294
열람중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2019년 ‘한국, 미국, 북한, 캐나다’ 새해 신년사 전…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3268
58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시에 해약환급금이 없는 이유–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3250
57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은 가장의 의무입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3233
56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험료는 서비스에 대한 비용입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3224
55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순수보험료’도 비용입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3206
54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1분기 경제리뷰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3197
53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섬이 아닌 반도로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3192
52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OFF the Record로 인해 캐-미에 NAFTA는 O…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3190
5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캐나다의 저축성 상품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3166
50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유니버살 라이프의 주 계약과 옵션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3156
49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RRSP 3월 2일까지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147
48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시의원의 입장에서 코로나 19 위기에 맞선 스티브 의 역할.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3144
47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배당주 인기지속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3135
46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2014년 Winner & Loser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3134
45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4분기는 강세장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3117
44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2003년 이라크 2019년 이란? 북한?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117
43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하반기 유가회복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3116
42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투자성향별 자산배분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3092
41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미달러, 중국, 원자재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3061
40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연말 경제 현황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3051
39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10월 ~ 5월 상승장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3043
38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하노이의 아침에서 맞이하는 제2차 북미정상회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3038
37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유니버살 라이프의 탄생과 구조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3021
36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금리, 유가, 루니 삼저(三低)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3007
35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1분기 유럽, 중국 약진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1 2999
34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단기조정 매수기회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2975
33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경제 및 주식 전망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0 2960
32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미국금리인상 다가와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937
3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놓치기 쉬운 유니버살 라이프의 함정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2931
30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캐나다 경제현황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2929
29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금리인상은 내년에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2914
28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가을은 매수기회?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910
27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또 다시 금리주목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904
26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보험료 해부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2871
25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한일 초계기 갈등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2869
24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국내보다 해외 투자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868
23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순환주 비중확대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848
22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QE종료와 주식시장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2841
2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험금’에 대한 ‘비용’(순수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740
20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캐나다의 비과세 소득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2736
19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2015년 추천업종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734
18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한미전작권합의(Wartime Operational Contr…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2698
17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바울 번역가의 외국언론과 한국언론 비교분석.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585
16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 일찍 가입할수록 유리한 이유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2459
15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다양한 가입 조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2447
14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순수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2413
13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레벨(Level)의 두 가지 다른 의미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2335
12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무서운 장기계약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 2328
1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지금까지 부었는데....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314
10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부담금’(Surrender Charge)이란?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243
9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죽은 생명보험 살리기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2234
8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험금’ or ‘해약환급금’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2232
7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유니버살 라이프의 ‘투자계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2226
6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공평하게 부과되는 ‘순수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2221
5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저축성 생명보험의 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2212
4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비교불가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2202
3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 가입시 주의사항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201
2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홀 라이프(Whole Life)의 혜택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192
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하기 전에 검토할 사항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 212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