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하노이의 아침에서 맞이하는 제2차 북미정상회담.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시사 | [김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하노이의 아침에서 맞이하는 제2차 북미정상회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02-27 12:33 조회3,037회 댓글0건

본문

 

 

오는 2월 27일 하노이의 아침에서 열릴 북미 2차 회담에 대해 전 세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물론 1차 회담 만큼에 파격은 아니지만, 이번만큼은 보여 주기식 회담이 아닌 현실적인 결과가 뒷받침해주지 않을까 하는 바람이 들어가 있는 것 같다.

이 글 에서는 북미 정상회담 관련 각종 이슈에 대한 한국 언론과 미국언론의 온도 차이는 어떤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우선 장소에 대해 말하자면 베트남이 북미정상회담의 두 번 째 장소로 선정된 가장 큰 이유로는 베트남이 사회주의 국가(북한선호)이면서도 현재 개방경제체제(미국선호)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김정은 위원장이 선호하는 물리적인 거리가 북한과 가깝다는 점 그리고 1차 북미정상회담 또한 제3국가인 싱가폴에서 열렸었던 점도 간과 못하겠지만, 더 나아가 미국이 북한이 원했던 하노이를 선택하게 해준 것으로 미루어보아 대부분 전문가들은 미국이 2차 회담에 앞서서 북한을 더 배려한 선택이라 분석한다.

이에 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만남을 준비하는 과정과 예상을 한국 보수 언론매체인 중앙일보에서는 여러 각도로 조명하였다. 우선 “김정은 탄 특별열차, 방탄 기능에 소형헬기도 탑재"라는 제목을 달았고 주된 내용으로는 김정은이 ‘국제적 수준’과 ‘실용’을 강조해온 리더십 스타일과 어울리지 않게 비행기를 이용하지 않고 아버지, 할아버지 때와 같이 열차를 이용한다고 했다. “또한 트럼프 "김정은과 하노이 정상회담 위해 출국…비핵화 기대" “文 대통령, 남북경협 카드로 북ㆍ미 회담 중재역 빛볼까”“우린 결과를 봅니다”…하노이 북한식당, 김정은 질문에 웃음만” 이라는 다양한 각도의 제목과 내용을 담았고 그 중 인상깊은 제목 하나는 “반미'가 사라졌다고? '계산된 반미 실종 사건' 추적기” 라는 글이었다. 여기서의 핵심내용은 반미 진영과 좌파 진영에서 북•미 2차 정상회담을 앞두고 트럼프가 이번 회담에서 북한의 숙원인 종전 선언을 파격적으로 수용 해주길 기대하는 마음으로 트럼프를 굳이 자극하지 말자는 계산이 전제된 것 이라는 분석도 있었다.

이에 진보 언론매체인 한겨레에서는 김정은 위원장에 특별열차를 특별하게 조명하는 것이 느껴졌다. 여러 기사 중 “비행기 5시간 거리인데…김정은, 왜 사흘 간 열차 이동 택했나’ 제목에 기사를 달았다. 여기서는 중앙일보와는 다른 깊이의 각도로 “전폭 지원 받아 북중협력 강조, 광저우 시찰하면 개혁개방 메시지, 북-중-베트남 사회주의국가 협력메시지, 대외적 트럼프 압박•내부 단속 효과도 문대통령 구상과 일치 ‘철도 협력’ 의지” 라는 추가 내용을 담았다. 

또한 이번 북미정상회담의 대한 예상중 하나로 “청와대 “북-미 사이에 얼마든지 종전선언 합의 가능” 이라는 제목을 등장시켜 이번 하노이 선언이 성공적으로 끝이 날 경우 종전선언 까지도 가능하고 충분히 1차 북미정상회담 보다 더 성공적으로 끝날 수 있다는 의도가 느껴진다.

 

한편 이에 대해 미국 언론은 어떤 각도로 2차 북미정상회담을 보고 있고 어떤 조명으로 기사들을 실었는지 분석해보자.

우선 미국의 대표적인 뉴스매체 뉴욕 타임즈에서는 ‘트럼프 미국대통령이 북한이 핵실험을 하지 않는 한 현 상황이 만족스럽다(Trump Says He Is Happy as Long as North Korea Halts Weapons Tests)’라는 제목과 더불어 트럼프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과의 대화에 기준을 낮추었다(Trump lowers the bar) (U.S. Team Lowers Expectations for Second Summit With North Korea's Kim)라는 뉘앙스의 기사들이 많이 달렸다. 주요 내용도 제목과 마찬가지로 미국의 이번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가 낮고 북한에 입장을 최대한 들어주는 듯한 이번 협상방식이 얼마나 좋은 결과를 가져올지에 대한 의심이 보인다. 그 외의 기사로는 계속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미중무역전쟁 관련 기사들 이었다. 우선 트럼프미국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미중무역전쟁을 휴전으로 이끌고 있다는 기사들이 보인다. (Trump Delays Tariff Hike on Chinese Goods Citing Trade Talk Progress) 그 배경으로는 시진핑중국주석이 북미정상회담에 좋은 도움을 주고 있다는 내용을 담았다.(Trump said … he would delay an increase in U.S. tariffs on Chinese goods thanks to "productive" trade talks Xi Jinping) 한국 언론과는 다르게 김정은 위원장의 철도 탑승의 대해서는 크게 언급을 하지 않았다. 단지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김정은이 빠른 길보단 더 오래 걸리는 길을 선택했다(Traveling to Meet Trump, Kim Jong-un Takes the Long Route) 중국에서 제공하는 비행기를 타지않고 김정은의 할아버지, 김일성처럼 기차를 타기로 결정했다는(Not wanting to take a Chinese plane… instead, in the same style as his grandfather) 중국에 호의를 약간 거절하는 듯한 뉘앙스 정도로 실었다. 

한편 폭스 뉴스에서는 뉴욕 타임즈와는 다르게 북미정상회담에 대해서 긍정적인 뉘앙스의 기사를 중점으로 뽑아냈다. 김정은이 이번에 북한을 비핵화로 이끌어낼 것인가?(Will Kim Jong Un agree to denuclearize North Korea?) 이번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무엇을 기대해볼 수 있을까?( What to expect when President Trump and Kim Jong Un meet for the second time)등의 주제로 기사 제목을 뽑았다. 추가로, 첫 번째 북미정상회담이 보이는 것에 비해 전혀 소득이 없었고, 마치 악몽과도 같았다는 내용에 기사가 실려 있었다. (Nightmare result of US-NKorea talks: Bad deal, little change) 이를 통해 볼 때 2차 북미정상회담은 실효성이 있어야 된다는 강력한 메시지가 잠재적으로 깔려있다고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한국 언론매체에서 ‘특별하게’ 보았던 김정은의 특별 열차에 관해서는 미국 언론매체인 뉴욕 타임즈와 폭스뉴스 두 주요 신문사에서 전혀 민감하게 다루지 않았다. 뉴욕 타임즈와 폭스뉴스에 차이점으로는 단지 이번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기대치가 다르다는 점이고 한국 언론과 비교하자면 미중 무역전쟁에 관한 이야기 등 중국에 대한 기사가 더 많이 쏟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종합해서 분석해보면, 제2차 북미정상회담에서는 제 1차 회담처럼 보여주기 식보다는 실용적이고 이행 가능한 약속들이 나올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미국에서 북한에 입장을 많이 봐주었다는 관측대로 북한 측에서 확실하게 달라진 모습을 ‘봐줄 수 있게’ 해주면 좋겠다. 어차피 비핵화와 종전선언으로 발을 옮겨갈 것이라면 시간을 지체하지 말고 한 발 자국씩 확실히 평화의 목표로 발을 디뎠으면 좋겠다. 


 

8a8cbe94206e4545c32e1b3b61df6249_1536877738_4201.jpg
김 바울, Paul R Kim,  

칼럼리스트, 통번역사, SGIC통번역강사, 현대중국학회 소속

UBC대학교 인문학부 아시아학과 학사졸업 후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국제통상 및 국제협력학 석사 취득. 과정에서 외국계 의료기업 통번역 근무를 거쳐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의사협회 영어교육과 세미나 발표 등 경력 이어 2018년 회사 리사운드 설립, 대표이사로서 통번역 및 영어, 한국어 교육사업 강연 등 진행 중.

홈페이지: https://ithepaul.wixsite.com/resound

카카오톡 Kakaotalk: paulRkim 

이메일: ithepaul@me.com

ithepaul@me.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271건 3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1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2015년 환율전망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3391
70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해약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3384
69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저평가업종투자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3382
68 금융 [경태 박사의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인생설계] 고소득자의 은퇴 상속전략 - 경제적인 RRSP 대체수단과 은…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3367
67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순수보험료’와 ‘추가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2 3361
66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자동차 보험과 생명보험의 차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3344
65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연 5% 수익률 올리기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3335
64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제목: ‘멍’ 잡으려다 멍든 캐나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3329
63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장성’과 ‘저축성’의 차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3319
62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유가 39% 반등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3318
6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그 놈의 정’ 때문에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3 3314
60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후. 배드딜보다는 노딜.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294
59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2019년 ‘한국, 미국, 북한, 캐나다’ 새해 신년사 전…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3266
58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시에 해약환급금이 없는 이유–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3248
57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은 가장의 의무입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3232
56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험료는 서비스에 대한 비용입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3223
55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순수보험료’도 비용입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3205
54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1분기 경제리뷰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3195
53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섬이 아닌 반도로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3191
52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OFF the Record로 인해 캐-미에 NAFTA는 O…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3188
5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캐나다의 저축성 상품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3164
50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유니버살 라이프의 주 계약과 옵션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3155
49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RRSP 3월 2일까지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147
48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시의원의 입장에서 코로나 19 위기에 맞선 스티브 의 역할.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3143
47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2014년 Winner & Loser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3134
46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배당주 인기지속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3133
45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4분기는 강세장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3116
44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하반기 유가회복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3115
43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2003년 이라크 2019년 이란? 북한?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115
42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투자성향별 자산배분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3092
41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미달러, 중국, 원자재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3059
40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연말 경제 현황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3051
39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10월 ~ 5월 상승장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3041
열람중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하노이의 아침에서 맞이하는 제2차 북미정상회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3038
37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유니버살 라이프의 탄생과 구조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3019
36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금리, 유가, 루니 삼저(三低)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3006
35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1분기 유럽, 중국 약진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1 2997
34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단기조정 매수기회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2974
33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경제 및 주식 전망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0 2958
32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미국금리인상 다가와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936
3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놓치기 쉬운 유니버살 라이프의 함정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2931
30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캐나다 경제현황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2927
29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금리인상은 내년에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2914
28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가을은 매수기회?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910
27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또 다시 금리주목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904
26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보험료 해부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2871
25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국내보다 해외 투자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868
24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한일 초계기 갈등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2867
23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순환주 비중확대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848
22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QE종료와 주식시장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2839
2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험금’에 대한 ‘비용’(순수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738
20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2015년 추천업종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732
19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캐나다의 비과세 소득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2730
18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한미전작권합의(Wartime Operational Contr…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2698
17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바울 번역가의 외국언론과 한국언론 비교분석.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584
16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 일찍 가입할수록 유리한 이유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2458
15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다양한 가입 조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2445
14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순수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2412
13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레벨(Level)의 두 가지 다른 의미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2333
12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무서운 장기계약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 2327
1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지금까지 부었는데....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313
10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부담금’(Surrender Charge)이란?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243
9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죽은 생명보험 살리기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2232
8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험금’ or ‘해약환급금’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2231
7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유니버살 라이프의 ‘투자계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2226
6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공평하게 부과되는 ‘순수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2220
5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저축성 생명보험의 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2211
4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 가입시 주의사항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201
3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비교불가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2199
2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홀 라이프(Whole Life)의 혜택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191
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하기 전에 검토할 사항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 212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