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힘세설] 최명길을 변호한다 2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시사 | [한힘세설] 최명길을 변호한다 2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0-04-29 08:32 조회2,667회 댓글0건

본문

청주 대율리 최명길의 묘소 

 

최명길이 말했다.

 

“윤집이 상소에서 말한 대의大義는 나라의 존망을 헤아리지 않는 대의입니다. 이에 비해 제가 상소에서 말한 대의는 오로지 나라를 보전하기 위한 대의입니다.

 

신하가 되어 나랏일을 도모하면서 길게 보는 안목을 갖지 못하고 자신의 주장과 계책만을 고집하다가 나라를 망하게 했다면 그 일이 비록 바르더라도 죄를 피할 수 없습니다“ <최명길의 차자>

 

청 태종인 홍타이지가 1월초에 도착하고 강화도가 함락되자 남한산성은 더 이상 버틸 힘도 의지도 모두 상실하게 되었다. 최명길은 청군의 병영을 수차례 왕래하면서 군신의 예로서 청을 모시고 화친을 청하였다. 청이 요구하는 화친의 전제조건은 사실상 받아들이기 어려운 난제였으나 살아남기 위해서는 감수해야 한다고 여겼다.

 

“소방은 바다 한쪽 구석에 위치하여 오직 시서만 일삼고 군대는 신경 쓰지 않았습니다. 약한 나라가 강한 나라에 복종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인데 어찌 대국과 감히 서로 견주겠습니까?”로 시작하는 국서를 최명길이 직접 써 내려갔다.

 

이를 보고 김상헌이 화친을 청하는 국서를 찢고 통곡했다. 최명길은 그것을 주워 다시 맞추며 말했다. “국서를 찢는 사람이 없어서도 안 되지만, 국서를 주워 맞추는 사람도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김상헌을 위시한 척화파 신료들은 최명길을 의리와 명분을 저버리고 조선의 국시를 파괴한 간신이고 매국노라고 힐난했다. 최명길이 그들이 주장하듯이 함께 다 죽고 말면 그만 인 것을 나라를 구하고 임금과 백성을 살려 보겠다고 모진 굴욕을 참아가면서도 화친을 주도한 것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죽는 것은 사는 것보다 한결 쉬운 방법이다. 죽어서 나라와 백성이 살아야 하는데 나라와 백성이 살 길이 없다면 그 죽음은 무책임할 뿐이다.

 

1월 17일 청 태종 홍타이지가 항복을 하든지, 그렇지 않으면 한판 결전을 벌려 하늘의 심판을 받아보든지 결정하라고 강압하는 편지를 보내왔다. 더불어 홍타이지는 서생(척화신)들이 ‘문장 어구에 얽매여 편협한 사고에 빠져 있다“고 비난했다.

 

“지금 왕이 서생들의 말을 듣고 화호를 망침으로써 전쟁의 단서를 일으켰는데 이것은 내 탓이 아니고 모두 왕이 자초한 일일 뿐이라는 것은 하늘과 사람들이 명확하게 알고 있는 것이다.” 청은 조선의 내부 사정을 꿰뚫고 있었다. 더 이상 선택의 여지가 없는 날이 가까이 왔다.

 

1월 30일 마침내 최명길이 인조임금을 모시고 성문을 나가 삼전도에서 청 태종에게 항복의 예를 올리고 그날로 한강을 건너 한양 도성으로 돌아갔다. 청의 요구대로 왕세자와 화친을 극력 반대했던 삼학사-홍종인, 윤집, 오달제-를 청으로 보내기로 하였다. 일단 병자호란이라는 주체할 수 없던 국란은 이렇게 마무리 되었다.

 

최명길은 말했다. “내가 목숨이 아까워 화친을 주도하고 청에게 굴복했던 것이 아니다. 척화신들은 명과의 의리를 지키기 위해 조선이 망하거나 임금이 순국하는 것도 감수할 수 있다고 하지만 나는 동의할 수 없다. 조선의 신하라면 조선의 종사와 임금을 먼저 살리는 것이 순리가 아닌가.”

 

화친을 끝내 반대하던 김상헌은 자진을 하려다 실패하고 남한산성 북문을 통해서 고향으로 돌아갔다. 최명길은 사직을 보존하고 임금을 살렸지만 아무도 그를 긍정하고 찬탄하려는 자가 없었다. 전쟁을 끝내고 침략자는 조용히 물러갔지만 조선이 당한 치욕은 전무후무한 일이다. “모두가 그가 연 문을 통해 살아남았다. 그리고 살아남은 모두가 그를 비난했다.” <최명길 평전> 한명기

 

세상사람 모두를 살리고도 살아난 사람들로부터 한결같이 욕을 먹은 사람이 최명길이었다. 최명길은 왜소하고 병약한 사람이었다. 인조반정(1623년)에 참여하여 1등공신이 되고 출세 길이 열렸는데도 몸이 허약하고 병이 있어 벼슬을 사양할 지경이었다.

 

“신은 타고난 기질이 몹시 약하여 스무 살 뒤로 속병과 폐병을 앓아 문 닫고 바깥출입을 못 한 채 거의 죽을 뻔한 것이 7,8년입니다.” 1624년 사직소

 

최명길은 병자호란 이후 좌의정을 거처 영의정까지 오르게 되지만 늘 병을 이유로 사직소를 올리고 고향에서 은둔하였다. 예로부터 ‘가난한 선비의 아내’와 ‘약한 나라의 신하’는 항상 굴욕을 참고 자존을 숨긴 채 묵묵히 인종의 길을 걸어야 한다고 하였다. 최명길은 그런 길을 걸으며 후손에게까지도 손가락질 받는 가문이 되었으니 개인의 인욕지심-욕됨을 참는 마음-은 지극한 것이었다. 전쟁이 끝난 뒤에도 은밀하게 명과 내통했다는 죄를 받아 청의 심양으로 들어가 3년 동안의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1644년 청군은 산해관을 돌파하고 북경으로 들어가서 드디어 명을 멸하고 대청제국의 막을 올렸다. 다음 해 소현세자와 봉림대군, 김상헌과 함께 귀환한 뒤 두 해만에 병사하였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절체절명의 국가 위기의 순간에 목숨을 걸고 화친을 도모해서 조선을 살려냈다. 살아난 사람들은 두고두고 영화를 누리면서도 최명길에 대한 비난을 멈추지 않았다. 1664년 윤6월 ‘최명길의 아들 후상이 과거 급제했지만 병자호란 당시의 부친의 행적 때문에 벼슬길을 포기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아마 당시의 척화신들은 명나라가 오랑캐에게 설마 망하기야 하겠는가 하고 생각했던 듯하다. 이것은 그만큼 주변 사정에 어두웠다는 것을 실증하는 것이다. 만주 한 구석에서 일어난 북방 오랑캐가 백배도 더 되는 큰 땅의 명나라를 멸망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겼을 것이다. 아무리 큰 동물도 목줄을 따면 죽고 만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난공불락의 철벽같은 산해관의 문을 열어준 것도, 명나라의 수도인 북경을 일거에 점령해 준 것도 모두 여진족이 아니라 한인들이었다.

 

주변의 국제정세를 정확하게 파악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어려워도 해내야 자국이 취할 수 있는 방책을 세울 수 있다. 임진왜란 때 도움을 받고 평소 큰 나라로 모시던 명을 일시적으로 오랑캐에게 밀린다고 해서 배신한다면 차후에 명의 보복을 감당할 수 없다고 척화신들은 생각했다.

 

해양과 대륙의 세력이 충돌하는 지점에 조선이 있다. 어느 한쪽이 강대한 세력으로 발전하면 반드시 위협을 받게 되어 있다. 그러면 강대한 국방력을 갖추고 늘 대항할 수 있는 준비태세를 가져야 하는 데 조선의 국력은 이를 가능하게 하지 않는다. 가장 치명적인 조건은 국토가 협소하고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진 반도라는 점과 농사를 기본으로 하는 농경국가이기 때문이다. 젊은이들이 모두 병정이 되고 나면 농사를 지을 사람이 없고 농사를 짓지 못하면 외적이 침입해서 망하는 것이 아니라 백성이 굶어서 망하게 된다. 병자호란의 치욕을 씻기 위해 효종 대에 북벌정책을 썼지만 역부족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강대국 사이에서 나라를 살리고 유지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전략을 펼 수 있는 사람이 이 시대의 영웅이다. 그나마 조선이 위기에 처했을 때 정확한 안목을 가지고 수많은 사람들의 반대를 물리치고 나라를 살린 최명길은 이 시대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인물이다. 남한산성에는 청과의 화친을 극력 반대하던 삼학사를 기리는 사당이 있다. 그들의 충절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끝까지 싸우다가 다 죽자던 사람들은 오늘날까지도 찬사를 받고 있고, 병약한 몸으로 목숨을 아끼지 아니하고 화친을 주도하여 나라와 백성을 구한 최명길은 외로이 청주 대율리 소박한 묘소에 잠들어 있다. 밴쿠버의 한 서생이 최명길의 영혼이나마 조용히 위로하고 싶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618건 6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8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캐나다 경험 이민(Canadian Experience Class) 경력 …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2783
117 역사 [한힘 세설] 한국의 다종교문화 한힘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6 2782
116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1월부터 접수 시작하는 새로운 SINP 임시 프로그램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781
115 시사 [김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한미전작권합의(Wartime Operational Contr…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2777
114 문화 구원에 이르는 길 (2/4) Elie Nessim, K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7 2776
113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같은 姓 (성), 다른 체질 다니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2775
112 시사 [한힘세설] 소록도의 마리안느와 마가렛 우리 곁에 사랑이 머물던 시간 --- 한힘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2769
111 문화 6월의 청량한 콘서트 'AGAIN GOGO' 박은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6 2747
110 시사 [한힘세설] 레티샤 최 수녀님 한힘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727
109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정치에 입문하길 원하십니까? 조 클락 (전 캐나다 총리)의 말을 들어보십시요!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722
108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뉴페스웨이 (New Pathway ) 중요 서류 요건 검토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714
107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국경에서 영주권자와 외국인이 억류되면 받게 되는 구금 심리(Detenti…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2710
106 시사 [김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김바울 번역가의 외국언론과 한국언론 비교분석.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709
105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Admissibility Hearing 절차 (4)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2708
104 밴쿠버 (서병길 평통 협회장 오피니온) BC 신민당의 대마초 옹호의 역사 --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2695
103 시사 [오강남 박사의 심층종교] 믿음이면 다인가? 오강남 박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 2671
열람중 시사 [한힘세설] 최명길을 변호한다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2668
101 건강의학 [바른몸 by MK] 무릎에 관한 모든것 (통증, 무릎에서 딱딱 소리가 난다면) 이민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2648
100 문화 [문학가 산책] 가을이란다 유병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2642
99 시사 [샌디 리 리포트] WorkBC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영어)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2632
98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RCIC 자격증 있어야 유료 캐나다 이민 비자 컨설팅 할 수 있다!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2623
97 문화 청년 철학 산책 - 서문 유진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2623
96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Admissibility Hearing 절차 (6) – 최종 결정 (withdr…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622
95 시사 유월절 - The Passover-1 Elie Nessim, K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608
94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마틴 상원 의원 사무실은 코 비드 -19 위기 동안 캐나다 한인 커뮤니티와 활발한 인적네…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 2602
93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알버타 vs. 사스카츄완 테크 이민 비교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2598
92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 일찍 가입할수록 유리한 이유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2588
91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MLA Rick Glumac : 고속 열차를 타고 "Shrek2"에서 시애틀까지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2587
90 문화 12월의 단상 정용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571
89 시사 [한힘세설] 상식의 허실 2 한힘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568
88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Admissibility Hearing 절차 (5) - 사면 간주 (Deemed…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2568
87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지금까지 유일하게 승인받은 Temporary Resident Permit (TR…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555
86 시사 [한힘세설] 초콜릿 한힘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2555
85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순수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2552
84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4년반짜리 스터디퍼밋 (1) !!!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2541
83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다양한 가입 조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2541
82 밴쿠버 (서병길 평통 협회장 오피니온) BC 신민당의 대마초 옹호의 역사 서병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2528
81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정부 조달에 관한 캐나다 국방 장관 Harjit Sajjan : 정부에 판매 및 공급하…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514
80 밴쿠버 그리스적 사고 또는 히브리적 사고 Daniel, Chosen …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2512
79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다섯 가지 룰 (Five Rules)로 정리해보는 주정부 노미니 준수사항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 2511
78 시사 [늘산 칼럼] 마태가 보았을 때와 누가가 보았을 때 늘산 박병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509
77 시사 [외부투고] Pachinko를 읽고- New York Times bestseller book written … 최종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2509
76 시사 [샌디 리 리포트] Gordon Shank-Fibreglass to financial freedom: In…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469
75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연방 EE 심각한 적체 원인과 해결책은 무엇인가?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454
74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CPC 리더 Erin O'Toole의 연말 기자 회견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2451
73 시사 [샌디 리 리포트] 직장인을 위한 : WorkBC 보조 기술 서비스 (한글)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2449
72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레벨(Level)의 두 가지 다른 의미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2440
71 문화 101회 문학사랑 신인작품상 신인작품상에 당선-전재민 전재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2434
70 문화 해와 달과 별의 서시 / 추석 박은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429
69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무서운 장기계약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 2429
68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메디컬검사로 인한 입국 불가(Medical Inadmissibility…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2425
67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지금까지 부었는데....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420
66 문화 산행사고로 사망한분의 입관식에 다녀와서 전재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2398
65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알버타 농촌 사업가 이민 전격 도입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2394
64 캐나다 [샌디 리 리포트] BC 및 캐나다 예산 2021 : 이번에 전국 보육 프로그램이 가능합니까?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2379
63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부담금’(Surrender Charge)이란?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362
62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험금’ or ‘해약환급금’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2356
61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공평하게 부과되는 ‘순수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2341
60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유니버살 라이프의 ‘투자계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2341
59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새로워진 대서양 이민 프로그램의 특징과 자격 요건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336
58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죽은 생명보험 살리기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2329
57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빅토리아 리 박사 : 세계적인 유행병에서 "프레이저 패밀리"를 이끌고 있습니다.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2328
56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홀 라이프(Whole Life)의 혜택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316
55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비교불가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2306
54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저축성 생명보험의 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2304
53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 가입시 주의사항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303
52 시사 [샌디 리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은 소송으로 선거 결과를 뒤집을 수 있을까요?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2281
51 문화 [문예정원] 가을의 상형문자 이상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2264
50 시사 평화통일을 위한 화해와 상생의 정신 - "화이부동(和而不同)"을 중심으로 오강남 박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2262
49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이민항소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2262
48 밴쿠버 [외부원고] 비씨주의 무료 법률 서비스들은 어려움 가운데에서도 변함없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Jimmy Y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228
47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하기 전에 검토할 사항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 2219
46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캐나다의 Covid -19 호텔 검역은 종료되어야합니다.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2162
45 문화 골프 도(道)? 오강남 박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2108
44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주정부 이민과 연방 이민 비교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100
43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구금 심의 (Detention Review)와 입국 허가 청문회 (Ad…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2091
42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캐나다의 혁신성과 창의성이 돋보이는 하이브리드 이민 프로그램 (EMPP…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2080
41 시사 [샌디 리 리포트] Chris Chan-A Viral Market: Impact of the Covid-…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078
40 변호사 [비즈니스를 위한 법적 상식] Covid-19 백신과 일터 홍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067
39 문화 [늘산 칼럼] 교회가 얼마나 성경에서 멀어졌는가? 늘산 박병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6 2059
38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캐나다 안에서 난민 신청하기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2007
37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알버타 주정부 이민 AAIP는 권장할 만한 캐나다 이민 프로그램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995
36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이민 항소, 추방 명령, 구금 심의, 난민 지위 전문 변호하는 RCIC-…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988
35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Pfizer와 Moderna Covid-19 백신 "터널 끝의 빛" 대한 희망을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1969
34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자진 신고와 ‘외국 입국 체류 허가용 범죄 수사 경력 회보서’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1958
33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Two things small businesses could do in May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925
32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캐나다 이민의 정석 – 쉽고 안전한 길로 가자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1887
31 시사 윗물이 맑아야 -국민 상위 시대 오강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842
30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인재 전달 : 학생과 비즈니스 파트너십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1679
29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밴쿠버 웨스트 지역의 금년 1월 주택 시장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1557
28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밴쿠버 웨스트 지역의 작년 12월 주택 시장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1544
27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캐나다의 주택 소유권에 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532
26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BC 주의 재산세 납부 연기 프로그램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1511
25 시사 한인위상 최종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467
24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세입자 보험의 필요성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1435
23 문화 [오강남 박사의 길벗 교양강좌 지상중계] 코로나 이후 종교는 어떻게 변화하게 될까?-1 오강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1364
22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부동산 임대에 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1337
21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집을 팔고 살 것인가? 아니면 사고 팔 것 인가?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5 1327
20 문화 [오강남 박사의 길벗 교양강좌 지상중계] 코로나 이후 종교는 어떻게 변화하게 될까?-2 오강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 1320
19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스트라타의 주차 공간 및 창고의 소유권에 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1262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