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디 리 리포트] Chris Chan-A Viral Market: Impact of the Covid-19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시사 | [샌디 리 리포트] Chris Chan-A Viral Market: Impact of the Covid-19

페이지 정보

작성자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0-11-09 13:06 조회2,055회 댓글0건

본문

Chris Chan은 홍콩에서 공부하기 위해 밴쿠버로 왔습니다.

70 년대 후반 십대 시절, 그는 Simon Fraser University에서 경제학을 공부했습니다.

사이몬 프레이저 대학교에서는 컴퓨터MBA를 취득했습니다.

그는 경영 정보 시스템하고 IT로 일했습니다.

그는 캐나다로 돌아올 때까지 홍콩의 은행 업계에서 IT 임원으로 일했습니다.


27 년 전 그는 꿈을 이루었습니다. 아내와 함께 그는 현재 리치몬드에 30 개 이상의 에이전트를 둔 부동산 중개 회사를 포함하는 금융 투자 회사를 설립했습니다. 많은 이민자들처럼 그는 열심히 공부하고 열심히 일했습니다. 그는 엘리트 회사에서 좋은 직장을 얻었고 가능한 한 많이 배우고 떠나기를 원했습니다. 그는 개인 생활과 직업 생활의 균형을 원했고 지금은 성공했습니다.


Chan과 그의 아내는 밴쿠버의 잘 알려진 사회 복지 기관인 S.U.C.C.E.S.S.와 협력하여 밴쿠버 커뮤니티에 크게 참여하고 있습니다. Chris Chan은 밴쿠버 부동산 시장에서 엄청난 성장을 보였고 9/11과 2008 년 주식 시장 붕괴로 인한 혼란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Covid-19 대유행은 어떻게 비교됩니까? 미래 주택 시장과 일반 소비자에게 의미하는 바는 무엇입니까? 우리는 그와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그는 BCREA (BC Real Estate Agency)의 조사를 참고하여 시장을 설명했습니다. Chan의 경험과 그의 거시 경제학 지식은 그가 역사적 관점에서 사물을 분석하고 배치하는데 도움이됩니다. 그는 임대 시장이 부드러 우며 Covid-19 제한이 계속되는 한 계속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주택 소유 시장은 현재로서는 Covid-19  발병하기 전보다 회복되고 더 잘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 산업이 급격히 중단되었을 때 Covid-19 대유행이 시작될 때 어떤 일이 일어 났는지 보는 것은 불안했습니다. BCREA는 "부동산 산업은 인구 증가와 인구 통계에 달려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자연 인구 증가율 (출생에서 사망률을 뺀 비율)의 감소를 감안할 때 밴쿠버는 수년간 BC 주 연간 인구 증가율의 ⅔를 차지하는 이민의 혜택을 받았습니다.


하룻밤 사이 밴쿠버 지역에서 임대 주택을 필요로했던 수천 명의 사람들이 사라졌습니다. 평균 임대료는 밴쿠버 지역, 특히 1 베드룸 아파트에서 떨어졌습니다. 사람들이 가격이 떨어지면서 더 많은 공간을 찾음에 따라 2 베드룸 임대 시장은 천천히 회복되고 있습니다. 2019 년 말 공실률의 역사적 최저치가 수요 부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되었습니다. 대유행의 영향이 단기적이라면 렌탈 시장이 회복 될 것입니다. Chan에 따르면, 그것이 지속되고 이민 수준이 낮게 유지되면 부정적인 영향이 주택 소유 시장에 퍼질 수 있습니다. BCREA는 밴쿠버 아파트의 최소 40 %가 투자자 소유라고 추정합니다. 세금 (외국인 소유 및 비거주 부동산에 대한) 및 기타 규정의 변경으로 아파트 목록 공급이 증가했습니다. 지금까지 가격은 견고했습니다.


4 월과 6 월 사이의 소강 상태 이후, 7 월에 주택 판매는 봄철“격리”기간 동안 발생하지 않았던 판매로 인한 억눌린 수요와 사상 최저의 모기지 금리로 인해 증가하기 시작했습니다. 봉쇄 조치는 소비자 지출을 제한했으며, 이는 가계 저축률을 기록적인 높은 속도의 계약금으로 인상하는 비정상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올해 해외로 이주하는 것보다 더 많은 캐나다인이 고국으로 돌아 왔고, 데이터를 사용할 수있게 된 1990 년 이후 처음으로 "순이동률"이 발생했습니다. 이들 중 일부는 홍콩에 거주하는 캐나다인 300,000 명 이내였습니다. 섬의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그들 중 일부는 캐나다로 이주하거나 가족을 캐나다로 다시 이주시켜 밴쿠버에서 부동산을 임대하거나 구매해야합니다. 주로 온타리오와 앨버타에서 2016 년 이후 처음으로 "주간 이주"이 9 % 증가했습니다.


빠르게 추적되는 은퇴 계획, 전염병을 극복하기 위해 집으로 돌아가는 사람들, 가상 교실로 인해 집으로 돌아가는 학생들이 모두 기여 요인입니다. 그러나 경고 신호가 있습니다. 여행 제한으로 인해 최근 몇 년 동안 줄어들고있는 이 지역의 외국인 구매자가 줄어 들었습니다.


올해는 2020 년 현재까지 BC 총 주택 구매의 1.6 %에 불과한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낮은 이민 률이 지속되면 심각 할 수 있습니다.밴쿠버의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즉, 캐나다는 올해 74,150 명의 영주권 후보자를 초청했으며 이는 기록상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또한 2021-2023 년에 대한 이민 목표를 높일 계획입니다. Chris Chan에게 전염병이든 아니든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계속할 것입니다. 삶의 변화는 사람들을 새 집을 사거나 빌릴 수있는 시장에 있게합니다. 자본이있는 투자자는 향후 개발을 위해 부동산 재고를 구매하고 건축업자는 계속해서 건설 할 것입니다. 유행성 제한이 해제되면 부동산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할 것입니다.


Chris Chan은 첫 구매자에게 "임대료를 1 년 이상 내면 다른 사람의 모기지를내는 것입니다. 계약금을 아끼고 가능한 한 빨리 집을 사야합니다."라고 조언합니다. 언뜻보기에 밴쿠버 부동산 시장에는 구매자 시장과 같은 것이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전염병이 우리에게 무언가를 가르쳐 주었다면 시장 가치가 영향을 받을뿐만 아니라 사고 파는 것도 입증되었습니다. 추세는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지만 구매 또는 판매를 고려할 때 외부 영향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것을 알면 부동산업자는 시장 가치를 만들거나 깰 수 있습니다.


COVID-19 : 인구 증가 및 주택 수요


요약 결과 :

    이민은 BC 주 인구 증가의 가장 중요한 원동력이며, 주요 근로 연령 및 가구 형성 인구 통계 내에서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유행병은 이민자의 급격한 감소를 가져 왔고, 결과적으로 BC는 2011 년 이후 분기 별 인구 증가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보고했습니다.


    단기적으로 낮은 인구 증가의 영향은 유학생과 새로운 영주권자의 현저한 감소로 인해 임대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소개


고용 성장 및 금리와 같은 비즈니스 사이클 요소가 단기적으로 주택 수요를 주도하는 반면, 장기 수요는 인구 증가와 인구 통계에 관한 것입니다. BC 주에서 인구 증가에 가장 중요한 기여자는 국제 이주 (이민)입니다. 지난 5 년 동안 이민은 BC 주 연간 인구 증가의 2/3를 차지했습니다. 인구 증가율 (출생에서 사망을 뺀 수치)의 자연적인 비율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민은 급속한 고령화 인구를 대체하고 노동력을 늘리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이민은 개인에게 새로운 기술, 혁신적인 아이디어 및 국제 네트워크를 제공함으로써 도시를 풍요롭게합니다.


이민의 중요한 구성 요소는 영주권자로 구성됩니다. 영주권자의 약 2/3가 일반적으로 숙련 된 노동자와 기업가로 구성된 경제 범주를 통해 BC 주에 입국합니다. 나머지 1/3은 가족 및 난민 범주를 통해 입원합니다. 이들 영주권자의 약 2/3가 현재 주요 근로 연령 및 가구 구성 인구 통계 (25 ~ 44 세)에 속하거나 향후 5 ~ 10 년 내에있을 것입니다.


COVID-19가 이민에 미치는 영향 

2020 년 2 분기에, COVID-19 바이러스의 확산을 억제하기위한 여행 제한과 신청 처리 시간 지연으로 인해 BC는 2011 년 이후 분기 별 인구 증가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보고했습니다. 인구 증가의 가장 큰 요소 인 BC는 2020 년 2 분기에 30 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는데, 이는 주로 학업 허가가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이민의 모든 요소는 2019 년에 비해 2020 년 첫 8 개월 동안 크게 감소했습니다. 영주권자 (-40 %), 유학생 (-40 %), 임시 근로자 (-23 %). 연방 정부가 설정 한 연간 영주권 목표 (향후 3 년 동안 341,000에서 361,000까지 범위)와 BC 주가 일반적으로 매년받는 비율을 기준으로, 주정부는 영주권 입학 수준보다 28 %까지 떨어질 수 있습니다 ( -13,350). 작년 같은시기에 비해 올 여름 입학률이 낮다는 점을 감안할 때이 추정치는 낙관적 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것은 단기적으로 주택 시장에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임대 시장


즉시, 유학 허가증의 하락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유학생이 캐나다에 입국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여행 제한으로 인해 임대 시장에 부담을주었습니다. 전년 대비 학업 허가는 26,120 건 감소했으며, 이는이 학생들이 임대 시장에서 상당한 수요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주목할 만합니다. 한편, 임대 주택 재고의 소비자이기도 한 신규 영주권자는 현재까지 13,240 명 감소했습니다.


대유행이 시작된 이래 밴쿠버의 평균 임대료는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1 베드룸에서 지속되는 반면, 2 베드룸은 사람들이 집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특히 임대료가 하락한 이후 더 큰 단위를 요구함에 따라 백업 추세의 초기 징후를 보일 수 있습니다.


어느 정도 제한적으로 유학생 및 영주권자 감소의 영향은 기존 수요에 흡수 될 수 있습니다. 임대 공실률은 작년 말 많은 지역에서 거의 역사상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더욱이 여행 제한으로 인해 올해 순 이민은 데이터가 공개 된 1990 년 이후 처음으로 부정적입니다. 귀국하는 캐나다인의 수가 해외로 이주하는 캐나다인의 수를 초과하기 때문입니다. 즉, 사람들은 그대로 머물러 있습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그랬듯이 주택 재고가 확보되지 않았 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온타리오와 앨버타 주민이 BC 주로 이주함에 따라 2020 년 2 분기에 주 간 이주는 전년 대비 29 % (7,940) 증가했는데, 이는 2016 년 이후로 볼 수 없었던 성장 수준입니다. 이는 다양한 요인의 결과 일 수 있습니다. 급증한 은퇴 계획, 전염병에 맞서기 위해 집으로 돌아가는 사람들, 대부분의 교실에서 집으로 돌아 오는 학생들이 가상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소유권 시장 


임대 시장의 지속적인 약점은 주택 소유 시장, 특히 투자자 소유 주택에 잠재적 인 파급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BC 주 투자자 소유 주택의 최소 40 %는 일반적으로 밴쿠버 아파트 입니다. 올해 밴쿠버의 새 아파트 목록이 크게 증가했으며 이는 지역의 임대 시장이 약화 될 경우 투자자 소유 주택이 더 위험 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지금은 아파트 재판매 가격이 견고해졌습니다.


여행 제한은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외국인 투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올해의 구매 건수는 2020 년까지 BC 총 주택 구매의 1.6 %를 차지하는 최저 수준이지만, 주에서 외국인 구매자가 더 적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이민자 수가 감소하고 외국인 투자자의 활동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BC 주에서 주택 판매는 매우 강했습니다. 이러한 증가의 대부분은 봉쇄 조치로 인해 봄에 발생하지 않은 판매로 인한 억눌린 수요와 기록적으로 낮은 모기지 금리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봉쇄 조치는 또한 지출을 제한했으며, 이는 가계 저축률을 기록적으로 높고 빠르게 추적하는 지불금으로 높이는 비정상적인 효과를 가져 왔습니다.


결론

BC 주 인구 증가에 대한 이민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이주민이 전염병에 의해 오래 우울해질수록 주택 시장에 대한 궁극적 인 위험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BC 주에서 이민이 계속 우울해질 것이라고 믿을 이유는 없습니다. 연방 정부의 새로운 우선 순위를 제시하는 최근의 Trudeau의 연설은 캐나다가 2021-2023 년에 대한 이민 목표를 증가시킬 계획임을 나타냅니다. 또한 캐나다는 올해 74,150 명의 이민 후보자가 영주권 신청에 초청했습니다. 이는 기록상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BC주는 전 세계 많은 사람들에게 최고의 목적지이며 캐나다 이민자들의 두 번째로 많은 수혜국입니다. 더욱이 BC주의 직업 성장은 최근 몇 년 동안 특히 번성하는 기술 부문에서 강세를 보였으며 이는 BC를 유학생들의 지속적인 목적지로 만들 것입니다. 더욱이, 특히 메트로 밴쿠버 이외의 지역에서 COVID-19 유행병을 다루는 BC의 상대적 성공은 그 매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임대 및 투자자 콘도 시장은 단기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이민의 예상 반등은 COVID-19가 진정되면 수요가 회복 될 것임을 의미합니다.


758783364_elsV5HpS_f0fbdcff814c1c1409fdbd4847e5fb4b8d708dc5.jpg


758783364_bw5K1J6L_c7f1b7417f73cdf409e85ecd0016cd5703f13533.jpg


758783364_qcGDkFnO_de97a6b990e2de95d127ef5253aca2cc37b1e6c1.jpg


758783364_xt6bvE5C_3c7a462088d24c6ab62771dcd1a805208e3c3a49.jpg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618건 6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8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같은 姓 (성), 다른 체질 다니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2746
117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추방 결정하는 입국 허가 청문회(Admissibility Hearings…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2746
116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1월부터 접수 시작하는 새로운 SINP 임시 프로그램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742
115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캐나다 경험 이민(Canadian Experience Class) 경력 …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2740
114 문화 구원에 이르는 길 (2/4) Elie Nessim, K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7 2737
113 역사 [한힘 세설] 한국의 다종교문화 한힘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6 2737
112 시사 [한힘세설] 소록도의 마리안느와 마가렛 우리 곁에 사랑이 머물던 시간 --- 한힘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2731
111 문화 6월의 청량한 콘서트 'AGAIN GOGO' 박은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6 2714
110 시사 [한힘세설] 레티샤 최 수녀님 한힘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702
109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정치에 입문하길 원하십니까? 조 클락 (전 캐나다 총리)의 말을 들어보십시요!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688
108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Admissibility Hearing 절차 (4)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2668
107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국경에서 영주권자와 외국인이 억류되면 받게 되는 구금 심리(Detenti…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2666
106 밴쿠버 (서병길 평통 협회장 오피니온) BC 신민당의 대마초 옹호의 역사 --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2663
105 시사 [김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김바울 번역가의 외국언론과 한국언론 비교분석.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655
104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뉴페스웨이 (New Pathway ) 중요 서류 요건 검토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652
103 시사 [오강남 박사의 심층종교] 믿음이면 다인가? 오강남 박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 2642
102 시사 [한힘세설] 최명길을 변호한다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2621
101 건강의학 [바른몸 by MK] 무릎에 관한 모든것 (통증, 무릎에서 딱딱 소리가 난다면) 이민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2620
100 문화 [문학가 산책] 가을이란다 유병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2601
99 문화 청년 철학 산책 - 서문 유진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2596
98 시사 [샌디 리 리포트] WorkBC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영어)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2595
97 시사 유월절 - The Passover-1 Elie Nessim, K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579
96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RCIC 자격증 있어야 유료 캐나다 이민 비자 컨설팅 할 수 있다!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2572
95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마틴 상원 의원 사무실은 코 비드 -19 위기 동안 캐나다 한인 커뮤니티와 활발한 인적네…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 2566
94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Admissibility Hearing 절차 (6) – 최종 결정 (withdr…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566
93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 일찍 가입할수록 유리한 이유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2545
92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MLA Rick Glumac : 고속 열차를 타고 "Shrek2"에서 시애틀까지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2542
91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알버타 vs. 사스카츄완 테크 이민 비교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2541
90 시사 [한힘세설] 상식의 허실 2 한힘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537
89 문화 12월의 단상 정용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535
88 시사 [한힘세설] 초콜릿 한힘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2529
87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Admissibility Hearing 절차 (5) - 사면 간주 (Deemed…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2520
86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지금까지 유일하게 승인받은 Temporary Resident Permit (TR…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507
85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순수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2506
84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다양한 가입 조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2504
83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4년반짜리 스터디퍼밋 (1) !!!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2499
82 밴쿠버 (서병길 평통 협회장 오피니온) BC 신민당의 대마초 옹호의 역사 서병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2497
81 밴쿠버 그리스적 사고 또는 히브리적 사고 Daniel, Chosen …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2480
80 시사 [늘산 칼럼] 마태가 보았을 때와 누가가 보았을 때 늘산 박병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479
79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정부 조달에 관한 캐나다 국방 장관 Harjit Sajjan : 정부에 판매 및 공급하…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76
78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다섯 가지 룰 (Five Rules)로 정리해보는 주정부 노미니 준수사항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 2475
77 시사 [외부투고] Pachinko를 읽고- New York Times bestseller book written … 최종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2470
76 시사 [샌디 리 리포트] Gordon Shank-Fibreglass to financial freedom: In…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442
75 시사 [샌디 리 리포트] 직장인을 위한 : WorkBC 보조 기술 서비스 (한글)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2422
74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CPC 리더 Erin O'Toole의 연말 기자 회견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2419
73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연방 EE 심각한 적체 원인과 해결책은 무엇인가?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408
72 문화 101회 문학사랑 신인작품상 신인작품상에 당선-전재민 전재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2401
71 문화 해와 달과 별의 서시 / 추석 박은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400
70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레벨(Level)의 두 가지 다른 의미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2394
69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무서운 장기계약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 2392
68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지금까지 부었는데....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378
67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메디컬검사로 인한 입국 불가(Medical Inadmissibility…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2370
66 문화 산행사고로 사망한분의 입관식에 다녀와서 전재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2366
65 캐나다 [샌디 리 리포트] BC 및 캐나다 예산 2021 : 이번에 전국 보육 프로그램이 가능합니까?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2352
64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알버타 농촌 사업가 이민 전격 도입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2340
63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험금’ or ‘해약환급금’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2322
62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부담금’(Surrender Charge)이란?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320
61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유니버살 라이프의 ‘투자계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2301
60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새로워진 대서양 이민 프로그램의 특징과 자격 요건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295
59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공평하게 부과되는 ‘순수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2293
58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빅토리아 리 박사 : 세계적인 유행병에서 "프레이저 패밀리"를 이끌고 있습니다.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2290
57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죽은 생명보험 살리기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2290
56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저축성 생명보험의 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2271
55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 가입시 주의사항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267
54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홀 라이프(Whole Life)의 혜택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62
53 시사 [샌디 리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은 소송으로 선거 결과를 뒤집을 수 있을까요?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2261
52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비교불가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2259
51 문화 [문예정원] 가을의 상형문자 이상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2243
50 시사 평화통일을 위한 화해와 상생의 정신 - "화이부동(和而不同)"을 중심으로 오강남 박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2226
49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이민항소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2216
48 밴쿠버 [외부원고] 비씨주의 무료 법률 서비스들은 어려움 가운데에서도 변함없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Jimmy Y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212
47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하기 전에 검토할 사항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 2180
46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캐나다의 Covid -19 호텔 검역은 종료되어야합니다.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2130
45 문화 골프 도(道)? 오강남 박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2078
44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주정부 이민과 연방 이민 비교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060
열람중 시사 [샌디 리 리포트] Chris Chan-A Viral Market: Impact of the Covid-…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056
42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구금 심의 (Detention Review)와 입국 허가 청문회 (Ad…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2053
41 변호사 [비즈니스를 위한 법적 상식] Covid-19 백신과 일터 홍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032
40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캐나다의 혁신성과 창의성이 돋보이는 하이브리드 이민 프로그램 (EMPP…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2032
39 문화 [늘산 칼럼] 교회가 얼마나 성경에서 멀어졌는가? 늘산 박병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6 2015
38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캐나다 안에서 난민 신청하기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1968
37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Pfizer와 Moderna Covid-19 백신 "터널 끝의 빛" 대한 희망을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1943
36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이민 항소, 추방 명령, 구금 심의, 난민 지위 전문 변호하는 RCIC-…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933
35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알버타 주정부 이민 AAIP는 권장할 만한 캐나다 이민 프로그램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930
34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자진 신고와 ‘외국 입국 체류 허가용 범죄 수사 경력 회보서’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1918
33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Two things small businesses could do in May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893
32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캐나다 이민의 정석 – 쉽고 안전한 길로 가자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1850
31 시사 윗물이 맑아야 -국민 상위 시대 오강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817
30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인재 전달 : 학생과 비즈니스 파트너십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1648
29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밴쿠버 웨스트 지역의 금년 1월 주택 시장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1529
28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밴쿠버 웨스트 지역의 작년 12월 주택 시장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1510
27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캐나다의 주택 소유권에 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501
26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BC 주의 재산세 납부 연기 프로그램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1483
25 시사 한인위상 최종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439
24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세입자 보험의 필요성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1400
23 문화 [오강남 박사의 길벗 교양강좌 지상중계] 코로나 이후 종교는 어떻게 변화하게 될까?-1 오강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1330
22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부동산 임대에 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1311
21 문화 [오강남 박사의 길벗 교양강좌 지상중계] 코로나 이후 종교는 어떻게 변화하게 될까?-2 오강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 1293
20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집을 팔고 살 것인가? 아니면 사고 팔 것 인가?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5 1285
19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스트라타의 주차 공간 및 창고의 소유권에 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122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