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3 - 가르치는 사람의 역할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가입후 관리자의 승인을 받고 나서 글을 작성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이메일로 가입하신 이메일 주소를 알려 주시면 회원 등업을 해드리겠습니다.

info@joongang.ca

자유게시판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3 - 가르치는 사람의 역할

페이지 정보

작성자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0-06-29 12:03 조회876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3 - 가르치는 사람의 역할

   

이 내용은 민동필 박사가 학생 또는 부모들로부터 받는 공부 방법, 두뇌의 발달, 사고력을 키우는 방법 그리고 공부 방법과 사회문제 등에 관한 질문들에 답을 하는 내용입니다. 이와 비슷한 주제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는 분들은 min@PonderEd.ca로 연락주세요.

   

   

- 앞서 이야기를 해석해보면 가르치는 사람들의 역할이 단순히 지식을 전달해야 할 것이 아니라 지식이나 이론을 이용해서 왜 어떻게 그러한 이론이 나왔는지를 찾아가는 방법을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한다고 보이는데 맞나요?

   

◆ 예, 맞아요. 그래야 학생들이 목표 지향적 두뇌기능을 발휘할 수 있죠. 그리고 학생들이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키워야 시험성적도 올릴 수 있고요. 

   

- 앞에서도 잠깐 언급이 되었던 것 같은데, 시험성적과 목표 지향적 두뇌기능의 상관관계를 조금 더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 물론이죠. 설명을 이어가기 전에 먼저 질문을 해 볼게요. 시험이 어려운 이유가 어디에 있을까요? 

   

- 글쎄요. 알아야 할 것들이 많아서 아닐까요? 

   

◆ 일반적으로 그렇게 생각을 하죠. 요즘의 시험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 예전에 빠지지 않았던 시험과목에 상식시험이 있었는데 이 시험과목은 아는 것이 많아야 한다고 들었어요. 아직도 이러한 시험과목이 취업시험에 포함되어 있는지 모르겠지만 이러한 지식의 양과 정확도를 묻는 시험은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사고력을 측정하는 도구가 될 수 없어요. 

   

- 예. 그 부분은 이해가 가요. 이해를 통해 지식을 익히는 과정에는 ‘생각’이라는 것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셨죠. 오히려 이해를 하고나면 두뇌는 생각을 멈추기 때문에 생각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닌 생각 없이 주어진 일을 하는 노예도 같은 삶을 살도록 만든다고 하셨죠. 

   

◆ 그랬죠. 그래서 단순히 ‘한글을 창제한 사람은 누구인가?’와 같은 질문이나 ‘1+1=?’과 같이 답을 계산하는 문제들은 목표 지향적 두뇌기능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죠. 

   

- 하지만 학교에서 배울 때에는 대부분 이렇게 배우잖아요. 

   

◆ 그것이 학생들의 삶을 힘들게 하는 가장 큰 요소라고 볼 수 있어요. 스스로 생각하는 방법이 아닌 가르쳐 준 대로 이해하고 따라하도록 만들기 때문이죠. 

   

- 그렇다면 대부분 학교의 시험이나 심지어 취업시험에서도 이러한 지식을 묻는 경우가 많다고 보이는데 목표 지향적 두뇌기능을 키운다고 해서 지식의 양과 정확도를 묻는 시험에서 높은 성적을 낼 수 있을까요? 

   

◆ 꼭 그렇다고 볼 수는 없어요. 목표 지향적 두뇌를 기반으로 공부를 하다보면 많은 경우의 수를 다루기 때문에 지식도 함께 폭발적으로 늘 수는 있어요. 그렇다고 해서 지식의 양과 정확도를 묻는 시험의 성적을 올릴 수 있는 것은 아니죠. 왜냐하면 인류가 나아가는 과정에서 지식은 말 그대로 한 개인이 소화할 수 없을 정도로 폭발적으로 늘어가거든요. 

   

- 듣고 보니 그러네요. 고조선 시대에 살던 사람들이 다뤘던 지식의 양과 현재 학생들이 배우는 지식의 양은 비교도할 수 없을 테니까요. 그렇다면 목표 지향적 두뇌기능을 기반으로 하는 공부방법이 시험성적을 올릴 수 있다는 근거는 무엇인가요? 

   

◆ 시험 자체가 바뀌고 있기 때문이에요. 

   

- 시험이 바뀐다고요? 

   

◆ 예. 아직 많은 선생님들이나 교수들이 지식의 양과 정확도를 묻는 시험문제로 학생들의 수학능력을 평가하고는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전체적인 흐름은 학생들의 사고력을 측정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어요. 그래서 시험문제도 진화하고 있죠. 

   

- 어떻게 진화하고 있나요? 

   

◆ 조건이 주어졌을 때 그 조건을 분석한 후 가장 논리적인 답을 찾는 방향 또는 당사자의 사고과정을 볼 수 있는 논술시험이요. 

   

- 그 말은 시험문제 자체가 학생들의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없으면 답을 찾기 어려운 형태로 바뀌어 가고 있다는 뜻이군요. 그렇다면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하고 있나요? 

   

◆ 아니요. 바로 그 부분이 학생들의 삶을 힘들게 만드는 또 하나의 요소죠. 선생님들이나 교수들이 학생들로 하여금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가르치지는 못하면서 시험문제로 그 능력을 측정하려고 하니까요. 

   

- 한 마디로 교육의 현 기능은 학생들의 두뇌능력을 측정만 할 수 있지 두뇌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가르치지는 못한다는 뜻이군요. 

   

◆ 드물지만 가르치는 사람들이 학생들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이 있어요. 학생들이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자신들의 사고과정을 보여주거나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죠. 

   

- 자신들의 사고과정을 보여준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나요?

   

◆ 예를 들면 교수들이 발표하는 연구논문이죠. 논문에는 왜 이러한 연구를 시작했는지 그 이유를 시작으로 얻고자 하는 결과를 예측하고 (목표 또는 목적), 어떻게 연구를 디자인 했으며 (방법), 어떠한 식으로 데이터를 모았는지 그리고 모은 데이터의 분석과 그 분석을 바탕으로 결론을 내린 후 앞으로의 연구는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 방향을 제시하는 과정 모두를 포함하죠. 

   

- 말 그대로 목표 지향적 두뇌의 사고과정이 다 포함된 것이 논문이라는 뜻이군요. 연구의 과정도 그러할 테고요. 

   

◆ 예, 맞아요. 그리고 이러한 능력이 뛰어난 교수들이 상위권 학교들에 많고 따라서 학생들은 이러한 교수들의 접근법을 보고 배울 수 있죠. 나아가 이러한 두뇌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교수들이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으니 학생들이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보고 배울 확률이 높아지죠. 

   

- 그래서 사회가 상위권 대학을 선호하는 것이군요. 

   

◆ 하지만 여기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어요. 상위권 대학에 가더라도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키울 수 있는 것은 학생의 몫이라는 거죠. 그리고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키워 자신의 길을 만들어 가는 학생들은 드물고 대부분 자신들이 졸업한 학교의 이름에 의존해 삶을 살아간다는 현실이죠. 

   

 408253482_GE24zxd9_cc2442b86ff3b8705c0f082820a33066ea4f2690.png

===================================================

민동필 박사는 미국 워싱턴주의 Washington State University에서 생화학/생물물리학 박사학위를 받고 뉴욕의 코넬대학 의과대학 (Weill Cornell Medical School)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쳤으며 콜럼비아 대학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있었다. 이후 캐나다로 이민 오면서 캐나다 국립 연구원에서 연구를 하며 동시에 혈우병 치료제에 관한 연구를 몬트리올에 위치한 콩코디아 대학의 겸임교수로 있으면서 진행했다. 이후 밴쿠버로 이주한 후 고기능 자폐아들의 교육을 위해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년간 진행해 왔고 그 결과 학생 및 일반인들이 할 수 있는 공부 방법으로 확장하여 최근 ‘사고의 전개과정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라는 새로운 공부 방법을 만들어 세상에 내어 놓았다. 새로운 공부 방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http://www.PonderEd.ca 에서 볼 수 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365건 13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행복이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814
644 민동필 박사의 무료 유튜브 생물학 강의 라이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884
643 권력을 휘두르는 모든 지식인들에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862
64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2 (칭찬과 벌을 통한 교육은 배우는 사람을 노…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784
641 Steven Academy 가을 학기 시간표 <2020. 8.1 ~ 12.19> StevenAcadem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 873
640 2020 예술인협회~ 베토벤 탄생 250주년 7.24(금) 5시 Zoom 좌담회 vka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961
63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1 (감정)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761
638 유튜브 강의: 목표 지향적 공부방법 예 1 - 뉴스의 활용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012
637 지도자의 자질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 974
열람중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3 - 가르치는 사람의 역할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877
635 평택 포레스트 하이츠 구매 문의 ‘뜨겁다’ 밴쿠버 중앙일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880
634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 감정적 두뇌와 논리적 두뇌의 차이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1287
633 '6.25 70주년 나라사랑 통일기원 기도회'의 건 밴쿠버 중앙일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914
63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2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853
631 시험성적을 올리는 공부방법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876
630 PonderEd 강의: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 2부 - 공부 방법의 개요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1206
629 인종을 차별하는 이들에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940
62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 공부에 미치는 영향 1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833
627 PonderEd 강의: 목표 지향적 두뇌기능 1부 - 배경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010
626 JTV 강의 - 자폐 아이들은 동물이 아니라 사람입니다!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057
625 온라인 수업이 어려운 이유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 1206
6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쉽지만 쉽지 않은 영재의 두뇌능력, 그 이유는?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844
623 당신은 신을 믿나요?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998
622 당신이 꼭 알아야 할 지식을 배우는 공부의 실체!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948
62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영재는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으로 이룰 수 있어!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899
620 유튜브 강의 - 사고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경계를 볼 수 있어야!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987
619 JTV 강의 - 아이가 천재적 사고력을 지닐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2부 (2/2)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1081
618 ♫[온라인 지도 가능] 기타 레슨 ♫ JBLHFam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877
617 JTV 강의 - 아이가 천재적 사고력을 지닐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1부 (1/2)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1199
616 위안부 관련 뉴스를 보고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904
615 5월 29일 학부모 간담회 취소합니다.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850
61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2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857
613 당신과 당신의 아이들이 받는 교육이 당신과 당신의 아이들을 노예로 만들고 있습니다!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866
612 흠.. 박다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908
61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1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868
6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2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811
609 죄의식의 뿌리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1050
608 JTV 강의 - 칭찬과 체벌 2부 (2/2)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1166
607 미움의 씨앗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1396
606 JTV 강의 - 칭찬과 체벌 1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1091
605 고기를 먹는 사람을 싫어하는 이들에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1011
6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1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914
603 I am looking for My Daughter(Jessica) Tig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1 1104
602 인생의 스승을 찾는 이들에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1 1017
601 무료 Taxation(임대/양도소득, 상속/증여소득, 개인/법인소득...등에 대한) Consulting Tig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949
600 승진에 목마른 이들에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848
59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사람과 집착 1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851
598 JTV 강의 - 자녀와의 의사소통 - 근거와 논리 (이유)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4 991
597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낸 이들에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2 908
596 JTV 강의 - 흑백의 이분법적 접근법이 자녀의 미래에 미치는 영향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1148
595 공부가 어려운 이유 – 이론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997
59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과 선택의 차이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862
593 에세이 과제, 논문 첨삭/작성/레슨 jbjb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900
592 논문 컨설팅 안내 (4월 예약 할인 중) jbjb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930
591 학생 및 학부모를 위한 간담회 광고 (5월 29일)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6 959
590 재발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880
58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박사방 사건과 교육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874
588 JTV 자녀교육 강의 - 자녀의 미래를 위해 부모가 봐야하는 인간 사회의 실체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1155
587 IT업계 직업/전공 준비를 위한 온라인 세미나 (Software Engineer, UX Designer, B… Techwond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9 1113
586 인간의 사회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9 89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