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엔 넬슨, 동양엔 이순신 … 해외서도 인식 확산 중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교육 | 서양엔 넬슨, 동양엔 이순신 … 해외서도 인식 확산 중

기자 입력15-01-04 02:43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이순신 브랜드’ 세계화, 충분히 가능한데 …

04005904.jpg


지난해 1700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 ‘명량’의 불길로 전 세계를 불타게 할 수 있을까. 이순신 장군이 ‘역사 한류’ ‘군사전략 한류’ ‘리더십 한류’의 중심에 서게 할 수 있을까.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이라면 누구나 귀국길에 이순신 장군 동상이나 거북선 모형을 사가게 할 수 있을까.

그럴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광화문에 있는 이순신 장군 동상은 파리의 에펠탑이나 뉴욕의 자유의 여신상 못지않게 강력한 우리 국가 상징이 될 수 있다. 로스앤젤레스타임스는 지난해 8월 17일 기사에서 이순신 장군 동상이 있는 광화문광장이 서울의 상징적 중심점(epicenter)라고 했다.

04005856.jpg

이순신 장군의 위대함에 대해서는 해외에서도 알 만한 사람들은 안다. 문제는 이순신 장군이라는 잠재력 만점인 국가 브랜드를 세계의 일반인에게 효과적으로 널리 홍보하는 것이다. 그 씨앗은 일찌감치 뿌려졌다. 영국 해군 제독이자 역사학자였던 G A 밸러드(1862~1948)는 자신이 지은 『바다가 일본 정치사에 미친 영향(The Influence of the Sea on the Political History of Japan)』(1921)에서 이렇게 기술하고 있다. “영국 입장에서 넬슨과 동등한 제독이 아시아에서 나왔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힘들지만··· 이순신 장군은 넬슨과 동급이라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이제 이순신 장군은 해외 신문에 나오는 ‘오늘 태어난 사람들’ 난에도 등장한다. 예컨대 지난해 뉴질랜드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이순신 장군은 미국 대통령 제임스 먼로, 수학자 쿠르트 괴델, 사담 후세인, 페넬로페 크루스, 제시카 알바와 같이 4월 28일생이다. 아마존에서 옥스퍼드 브랜드의 이순신 장군 망루 레고(LEGO)도 살 수 있다.

04005937.jpg
『해상 전투: 해전 3000년사(Battle at Sea: 3,000 Years of Naval Warfare)』의 내지들.


이순신 장군에 대해 해외 매체들이 빈번하게 다루게 만들려면 우선 서구의 주요 참고도서(reference book)와 전쟁사 등 전문 서적에 빠짐 없이 등장해야 한다. 점차 이순신 장군이 더 많이 등장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R G 그랜트가 지은 『해상 전투: 해전 3000년사(Battle at Sea: 3,000 Years of Naval Warfare)』(작은 사진)는 이순신 장군과 임진왜란을 6페이지에 걸쳐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커피테이블(coffeetable)’이다. 특히 미국 사람들은 거실에 있는 커피테이블에 올려 놓고 가끔 들여다 보는 커피테이블이라 불리는 삽화·사진이 많이 실린 도서를 좋아한다. 이순신 장군이 미국의 거실에 진출한 것이다.

이순신 장군은 또 세계 50대(大)이건 100대이건 글로벌 순위권 안에 들고 있다. 이미 글로벌 셀레브리티다. 한국전 종군기자 출신인 윌리엄 위어가 지은 『세상을 바꾼 50대 군사 지도자(50 Military Leaders Who Changed the World)』는 이순신 장군이 “아마도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제독”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위어는 그의 또 다른 저서인 『전쟁을 바꾼 50대 무기(50 Weapons That Changed Warfare)』에 거북선을 포함시켰다. 전쟁사의 가장 극적인 100대 장면을 소개한 『가장 위대한 전쟁 이야기(The Greatest War Stories)』는 거북선을 일컬어 “가장 놀라운 전함”이라고 기술했다. 『해전의 모든 것(Fighting Techniques of Naval Warfare)』에 따르면 한산도 해전은 세계 20대 해전 중 하나다.

문서를 통한 이순신 공공 외교에서 아직 미흡한 것도 있다. 예컨대 『전쟁 철학자들: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군사 사상가들의 전개(Philosophers of War: The Evolution of History’s Greatest Military Thinkers)』라는 책을 보면 이순신 장군에 대해 별도 항목이 있기는 하지만 이순신 장군이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알 수 없음(unknown)’이라고 돼 있다.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원인 중 하나는 이순신 장군의 해상 전략을 수용한 데 있다고 상당수 역사가가 말하고 있는데도 말이다.

일반인을 위한 세계사 책이나 초·중·고·대학 교과서에도 이순신 장군은 많은 경우 빠져 있다. 수천 년 인류 역사를 몇 백 페이지로 압축한 역사책에 이순신 장군이 등장하는 것은 사실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순신 장군이 근대 이후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예컨대 옥스퍼드대 출판부에서 나온 『1450년에서 1700년까지의 세계(The World from 1450 to 1700)』를 보면 단 두 단락 분량이지만 나온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목표가 중국·인도·필리핀을 정복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순신 장군이 왜군을 한반도에서 저지하지 않았다면 아시아 역사가 완전히 달라졌을 것이라는 인식이 점차 공감을 얻고 있다.

이순신 장군을 우리나라 공공외교의 한 축으로 삼으려면 몇 가지 선결과제가 있다. 첫째, 거북선이 철갑선이냐 아니냐의 문제다. 80년대만 하더라도 외국 사람들에게 “한국이 구텐베르크보다 200년 앞서 금속활자를 만들었고 미국의 모니터(the Monitor)호보다 300년 앞서 철갑선을 만든 나라라는 것을 아십니까”라고 말하면 외국인들은 눈이 휘둥그레졌다. 하지만 이제 거북선이 철갑선이 아니라 목조 장갑함이라는 주장이 국내에서 대세다. 하지만 해외 문헌에서는 아직도 이순신 장군이 세계 최초 철갑선 설계자로 알려졌다. 만약 거북선이 철갑선이 아닌 게 확실하다면 이를 해외 출판사에 정직하게 알려 수정하게 만드는 게 올바른 길이다.

둘째, 이순신 장군과 거북선의 외국어 표기를 통일해야 한다. 현재 이순신 장군은 Yi Sun Shin, Yi Sun-shin, Yi Sun Sin으로 거북선은 Geobukseon, Kobukson 등으로 표기된다. 셋째, 윈윈(win-win) 전략을 모색해볼 만하다. 이순신 장군과 해외의 명장들을 한데 묶는 것이다. 이순신 장군의 세계사적 라이벌들을 한데 묶어 ‘세계 해전 영웅 기념관’이라든가 웹사이트를 민관 합동으로 만들면 어떨까. 이순신 장군의 라이벌은 넬슨(트라팔가르 해전), 프랜시스 드레이크(칼레 해전), 테미스토클레스(살라미스 해전), 돈 후안 데 아우스트리아(레판토 해전), 도고 헤이하치로(쓰시마 해전), 체스터 니미츠(미드웨이 해전) 등이다. 영국의 넬슨 페스티벌을 벤치마킹하고 우리나라 충무공 축제를 연계한다면 한·영 외교를 심화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해외에 이순신 전문가를 양성하는 국가적·사회적 노력도 필요하다. 하와이 퍼시픽대 마크 길버트 석좌교수는 ‘이순신 장군, 거북선과 근대 아시아의 역사’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코리아소사이어티(Korea Society)의 후원을 받아서다. 이러한 학술 지원 사업이 꾸준히 지속돼야 한다.

이순신 공공외교는 우리 국민, 시민이 나서야 한다. 이순신 장군을 외국 사람들에게 설명할 때 필요한 용어들은 뭘까. 임진왜란은 Imjin War, Seven-Year War, Korean War이다. 백의종군은 “fighting in a white robe”이다. 철갑선은 iron-shelled ship, armored ship, ironclad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순신 장군을 한마디로 외국인에게 설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Admiral Yi Sun-shin was the Lord Nelson of Korean history(이순신 제독은 한국사의 넬슨이다)” 정도가 괜찮을 것 같다.


김환영 기자 Whanyung@joongang.co.kr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2,838건 1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캐나다 '캐나다 데이' 5년 만에 정상화… 국민 80%, "국가에 자부심 느낀다"
축소·취소 논란 벗어나 전국서 축제 재개최근 여론조사... 68%는 역사 긍정 평가캐나다의 국경일 '캐나다 데이'가 5년 만에 활기를 되찾고 있다. 2019년 이후 코로나19 팬데믹과 여러 사회적 이슈로 인해 공식 행사들이 축소되거나
06-29
밴쿠버 개인 파산 5년 만에 최고… 기업 파산도 급증
5월 하루 평균 393명 파산 신청... 전년 대비 11.3% 증가기업 파산도 급증, 팬데믹 이전 대비 67.6% 늘어CEBA 대출 상환 부담에 20만 개 이상 중소기업 추가 부채 발생캐나다인들의 가계부채가 급증하면서 파산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캐나다 파산&middo
06-29
캐나다 자유당 의원들, 트뤼도 총리 사퇴 압박
자료사진보궐선거 패배 후 당내 갈등 심화트뤼도 "다음 선거, 중요한 선택의 순간"당 모금행사서 지지 호소... 사퇴 요구엔 침묵자유당 내에서 쥐스탱 트뤼도 총리의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토론토 인근에서 열린 지역구 보궐선거에서 자유당이
06-29
캐나다 자유당 위기, 트뤼도 떠나도 해결 못한다
자료사진잠재적 후임자들 인기도 낮아... "당 전체 이미지 실추"31년 아성 무너진 보궐선거... "안전한 지역구 없다"여론조사 결과 68% "트뤼도 물러나야"쥐스탱 트뤼도 총리에 대한 사퇴 요구가 거세지는 가운데,
06-29
캐나다 일자리 1개당 실업자 2.3명으로 증가... 고용시장 냉각
전국 구인 공고 28% 급감... 57만5400개로 축소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후퇴... 3개월 연속 하락세통계청이 발표한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캐나다의 구인 공고가 급감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이는 노동시장 위축과 경제 약화의 신호로 해석된다.통계청은
06-29
캐나다 캐나다 국기의 적색과 백색, 기원과 의미… 다양한 해석 공존
전문가들 "모든 색의 조합" 해석... 국가 정체성 반영단풍잎 국기, 세계서 캐나다 대표 이미지로 자리매김스포츠 유니폼부터 국제 행사까지 활용... 자국민 자부심 고취캐나다를 대표하는 적색과 백색이 국민들의 애국심을 나타내는 상징색으로 확고히 자리잡았
06-29
밴쿠버 캐나다 데이 연휴, '여는 곳과 닫는 곳'
대형 쇼핑몰 11시-19시 단축 운영... 관광지는 정상 영업은행·관공서 휴무, 대중교통 휴일 시간표로 운행오는 7월 1일 캐나다 데이를 맞아 메트로 밴쿠버 지역의 영업 및 운영 형태가 크게 변화한다. 대부분의 사업장과 직장이 휴무에 들어가지만,
06-29
밴쿠버 건국 157주년, 트라이시티 3개 도시 축제 열기 고조
코퀴틀람·포트 코퀴틀람·포트 무디서 다채로운 행사와 불꽃놀이코퀴틀람 타운 센터 파크에 3만 명 운집 예상7월 1일 팬케이크 아침으로 시작해 밤 불꽃놀이로 마무트라이시티 지역이 캐나다 건국 157주년을 맞아 화려한 축제를 준비하고 있다. 코퀴틀람
06-29
밴쿠버 메트로 밴쿠버 전역서 대규모 축제 준비... 대부분 무료 입장
7월 1일 다채로운 행사... 불꽃놀이부터 원주민 문화 체험까지메트로 밴쿠버 지역이 캐나다의 157번째 생일을 맞아 축제 분위기에 휩싸인다. 7월 1일 캐나다 데이를 맞아 지역 곳곳에서 다양한 행사가 펼쳐질 예정이다. 축제와 공연, 영화 상영, 불꽃놀이 등 흥
06-29
캐나다 캐나다 피자의 지역별 매력, 세계인 입맛 사로잡아
전국 각지 독특한 레시피로 현지 특색 살린 피자 인기윈저에서 밴쿠버까지, 다채로운 캐나다 피자 여행그리스 이민자부터 현지 셰프까지, 혁신적 피자 문화 창조캐나다의 피자는 지역마다 독특한 개성을 자랑한다. 리자이나식 두껍고 네모난 피자(Lazysia-style thick
06-29
캐나다 'PC 체다 할라페뇨 소시지' 이물질 발견, 1kg 제품 전량 회수
연한 색상 플라스틱 혼입 가능성... 유통기한 2024년 7월 25일까지 해당로블로 컴퍼니스(Loblaw Companies Ltd.)가 자사 브랜드 PC(President's Choice) 체다 할라페뇨 소시지 제품에서 '연한 색상의 플라스틱'이
06-29
캐나다 美워싱턴주 주민 "BC 방문객들 운전 매너 개선 시급"
현지 주민 "교통법규 지켜달라" 호소... 사고 우려 커시애틀 관광청 "작년 170만 명 방문, 지역 경제 활성화"최근 BC주 거주자들의 미국 여행이 증가하면서, 워싱턴주 주민들 사이에서 BC 방문객들의 운전 실력에 대한 우려의 목소
06-29
밴쿠버 BC페리, 캐나다 데이 연휴 대비 대기시간 최대 3시간 예상
남부 BC 전역 여행객 대이동... 트와센-스와츠 베이 구간 가장 붐벼토요일 소나기 후 일요일-월요일 맑음... 낮 최고기온 20도 초반 캐나다 데이 연휴를 앞두고 28일 아침부터 BC주 남부 전역에서 여행객들의 대이동이 시작됐다. BC페리는 이날 트와센 터미
06-29
밴쿠버 '헤이즐 트렘배스 초등학교 화재' 8개월 지났지만 재건 계획 불투명
"우리 아이들의 학교를 돌려달라" 포트 코퀴틀람 주민 목소리 높여포트 코퀴틀람 초등학생들 20분 거리 통학 불편포트 코퀴틀람의 학부모들이 화재로 소실된 헤이즐 트렘배스 초등학교(Hazel Trembath Elementary) 재건을 위해 주정부에 압력
06-29
캐나다 오늘, 지구와 달 사이로 260m 크기 거대 소행성 통과
상상도'2024 MK', 29일 29만km 거리 근접발견 10일 만에 지구 스치는 소행성전문가들 "2001년 이후 가장 큰 근접 통과"29일 거대한 소행성이 지구 근처를 지나갈 예정이다. '2024 MK'로 명명된 이 소행
06-29
캐나다 웨스트젯 정비사 파업 강행, 노동부 중재 명령 무시
연방 정부 개입 하루 만에 파업... 항공사 "순수한 보복" 강력 비난웨스트젯 파업에 휴가철 여행객 불안... 추가 결항 우려웨스트젯(WestJet) 정비사들이 연방 노동부 장관의 구속력 있는 중재 명령을 무시하고 파업에 돌입했다. 시무스 오
06-28
캐나다 암 치료 위해 국경 넘는 BC주민들… 1년간 640명, 美서 방사선 치료
주정부, 연간 3400만 달러 투입... 유방암·전립선암 환자 대상벨링햄 치료로 개선 노력... 80%가 28일 이내 치료 받아BC주가 암 치료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해 미국 워싱턴주 벨링햄으로 환자들을 보내는 정책을 시행한 지 1년이 지났다. 이
06-28
캐나다 국민 10명중 7명 "국가 시스템 붕괴됐다"
입소스 여론조사, 젊은층 78% '가장 비관적'35%가 "캐나다인임이 덜 자랑스러워"... 국가 정체성 위기여론조사 전문가 "35년 만에 최악의 전망"캐나다의 국경일이 다가오고 있지만, 국민들의 분위기는 그리 축제 같지
06-28
캐나다 모기지 고정 금리 하락세 지속... 3년 만기 상품 '최고 인기'
2년 고정 6.08%, 5년 고정 5.04%로 내려가대출자들, 중앙은행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 여전모기지 고정 금리가 이번 주 또다시 내림세를 보였다. 전국 최저 수준의 무보험 2년 및 5년 고정금리는 각각 6.08%와 5.04%로 11bp와 10bp 하락했다.&nbs
06-28
캐나다 연방 치과보험, 18세 미만·장애인으로 확대… 2025년 전국민 대상 시행
연소득 9만 달러 이하 가구 대상... 신민주당과 합의 이행무보험자 중심 지원... 의료비 부담 완화 기대연방정부가 27일 연방 치과보험 프로그램의 대상을 18세 미만 아동과 장애인 세금공제 수혜자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로 약 120만 명이 추가로
06-28
캐나다 밴쿠버, 세계 살기 좋은 도시 순위 7위로 하락… 캘거리는 5위로 상승
밴쿠버-캘거리 주거비 격차, 순위 변동 주요 요인EIU 발표 '살기 좋은 도시' 순위, 밴쿠버 2계단 밀려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발표한 '2024년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순위에서 밴쿠버가 지난해 5위에서 7위로 하
06-28
밴쿠버 우중충한 6월 날씨에 레스토랑 패티오 영업 '직격탄'
작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비에 업계 "최악의 시즌" 토로패티오 영업 부진에 업주들 "겨울 버틸 수입 확보 비상"밴쿠버의 여름 테라스 영업 시즌이 예년보다 습하고 쌀쌀한 날씨로 인해 레스토랑과 바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로머스 버거
06-28
캐나다 자유당 8년 집권, 캐나다 경제 추락… 벼랑 끝 트뤼도
자료사진캐나다 국민, 정부 전반의 무능함에 등 돌려트뤼도 퇴진론, 자유당 위기 해결책 아니다연방 자유당의 지지율이 급락하면서 쥐스탱 트뤼도 총리 교체론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토론토-세인트폴스 지역구 보궐선거에서 자유당이 참패한 후 정치권에서는 트뤼도 총리 교
06-28
밴쿠버 BC 하이드로, 태양광 설치 최대 1만 달러 지원
가정용 패널·배터리에 각 5천 달러씩 리베이트7월부터 태양광 설비 지원 프로그램 시행BC 하이드로가 27일 주택용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 저장 시스템 설치에 대해 최대 1만 달러의 리베이트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7월부터 시행될
06-28
밴쿠버 60대 베이비부머 남성의 좌충우돌 '우버 첫 체험기'
손녀의 도움으로 앱 설치부터 목적지 도착까지11분간의 짧은 여정, 세대 간 기술 격차 극복의 첫걸음아날로그 세대의 우버(Uber) 체험담이 화제다. 60대 남성인 마르셀 스트리그버거 씨가 처음으로 차량 공유 서비스 우버를 이용한 경험을 공유해 눈길을 끌고 있다. 그의
06-2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