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캐나다 세무설명회 지상 중계 3-대한민국의 양도소득세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밴쿠버 | 국세청 캐나다 세무설명회 지상 중계 3-대한민국의 양도소득세

표영태 기자 입력22-10-06 10:01 수정 22-10-06 10:13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양도소득세 개요


양도란 자산의 등기 · 등록에 관계없이 자산을 매도하거나 교환하는 등 유상으로 사실상 소유권이 이전되는 것을 의미 (부담부 증여 포함)


758783364_lbgOTDRB_0d199957ecfab44667461161d96567e5c6c34c19.png


예정신고·납부

▶ 토지, 건물 : 양도일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 신고·납부

    * 부담부증여의 경우 양도일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 주식 : 양도일이 속한 반기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 신고·납부


확정신고·납부

▶ 양도일이 속한 연도의 다음연도 5월1일부터 5월 31일까지 신고·납부

▶ 확정신고 대상자

   - 해당연도 누진세율 적용 자산에 대한 예정신고를 2회 이상한 자가

     이미 신고한 양도소득금액과 합산하여 신고하지 않은 경우 등


분납

▶ 예정 또는 확정신고 납부할 세액이 각각 1천만원 초과하는 경우

    납부기한이 지난 후 2개월 이내 분납 가능 

▶ 납부할 세액이 2천만원 이하 시 : 1천만원을 초과하는 금액

     * 예시) 납부할 세액 15백만원 : 5백만원 분납 가능

▶ 납부할 세액이 2천만원 초과 시 : 그 세액의 50% 이하의 금액

    * 예시) 납부할 세액 3천만원 : 15백만원 분납 가능 


양도소득세 계산 흐름도


758783364_ZWn2MCcx_f0c87a3410de7d3abd040e1b1f2973076277679d.png


양도소득 기본세율 및 다주택자 중과세율


758783364_D9RIqnXk_d76ea7e606d447a4f07d30ce65d546ee99613166.png


다주택자 중과세율 적용 한시적 배제


▶ ‘22.5.10.부터 ‘23.5.9.까지 양도 시 기본세율 및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



토지, 건물의 장기보유특별공제


758783364_0GBeQhLn_72b374d36f53ab36dabef6a2a3ab8ef4214083fa.png


3년 이상 보유한 1세대 1주택의 장기보유특별공제

758783364_3Co2FBUz_9124f4ca15ad7e274dc5e18b7bf1e94b05e06644.png


보유기간이 3년 이상(12%)이고 거주기간이 2년 이상 3년 미만(8%)인 경우 20% 적용



1세대1주택 비과세 특례제도


거주자의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 보유기간이 2년 이상일 것

▶ 취득 당시 조정대상지역에 있는 주택은 보유기간 중 거주기간이 2년 이상일 것

▶ 양도 당시 주택이 고가주택(실지거래가액 12억원 초과)에 해당하지 않을 것


758783364_KGAiq9dM_f50057a0d7886ec31e4653f50422e6b4dda62a4f.png


주거생활 안정목적에서 적용하는 일반적인 1세대1주택 비과세제도는 그 취지상 비거주자에게 적용되지 아니함(소득세법 제121조제2항)


758783364_50QcdlKo_d6b0c2a9ee5619197c3a5c3034b38c8f10756f58.png


상생임대주택 : 1세대1주택 비과세 판단 시 거주기간의 제한 받지 않음


▶ 직전 임대차계약 대비 임대보증금 또는 임대료의 증가율이 5%를 

    초과하지 않는 상생임대차계약* 체결하고, 2년 이상 임대한 주택

    * ‘21.12.20.~’24.12.31. 기간 중 임대차계약 체결하고 계약금 지급

    * 주택 매수 후 신규로 체결한 임대차계약 및 주택 매수 시 매도인으로부터 

      승계받은 임대차계약 제외


▶ 직전 임대차계약이 존재하고, 직전 임대차계약에 따라 임대한 기간이

    1년 6개월 이상인 주택


▶ 임대개시일 당시 1주택을 소유한 1세대가 임대하는 주택→요건 삭제

    임대개시일 당시 기준시가 9억원 이하인 주택 →요건 삭제


상생임대주택


▶ 임대개시일 기준 다주택자는 상생임대주택 양도 시 필히 1주택자로 전환

    하여야 거주요건 2년 면제혜택 받을 수 있음


758783364_jIz6uQR8_13cb48a8281f2ac5fce3b02b5fc5675859db387e.png

4. 다주택자 중과제도


다주택자가 조정대상지역 내에 있는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 기본세율+20%p(2주택), 30%p(3주택 이상)

▶ 장기보유특별공제 배제

▶ 다주택자 중과세율 개정 이력


758783364_zUPjJEp5_155a3331e7c05539428ad95273652ba9110cb0ae.png


중과대상 : 양도일 현재 조정대상지역에 소재하는 양도 주택


 ▶ 다주택자 중과제도는 비거주자에게도 적용됨

 ▶ 주택수는 1세대를 기준으로 계산(인별 계산이 아님)

 ▶ 분양권, 조합원 입주권 양도는 중과대상이 아니나, 다른 주택의 양도 시

     주택수 계산에는 포함됨(*분양권은 ’21.1.1.이후 취득 분부터 주택 수에 포함)

 ▶ 취득 시 조정대상지역이였으나 

     양도 시 조정대상지역이 아닌 경우 중과대상이 아님 

 ▶ 양도주택을 조정대상지역 공고 전에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 지급한

     경우 중과대상이 아님

※ 다주택자가 조정대상지역 외의 지역에 소재하는 주택 양도 시 기본세율 적용


중과세에서 제외하는 주택


758783364_9pSisGVq_6435d712a0ede31f8a8fa81c2093bb4959470648.png



비거주자 양도소득세 원천징수 제도


758783364_PgtHOqjb_47f9378bc84df54690f759c32a5a3effbfe1e6c5.png



비거주자 등에 대한 확인서


재외국민 인감확인

「인감증명법 시행령」 제13조제3항에 따라 재외국민이 부동산 매도용 인감증명서를 발급받기 위해서 세무서장의 확인을 받도록 하는 제도

재외국민에게 국내부동산의 양도로 발생한 양도소득세 신고, 납부의 방법 및 절차 등을 사전안내하여 세금 미납부 등을 예방

「재외공관 공증법」에 따라 인증을 받은 경우 인감증명 제출로 갈음

   * 위임장이 첨부서면에 본인이 서명 또는 날인하였다는 뜻의 인증(’19.1.1.부터)

전국 세무서에서 발급 가능


부동산등 양도신고 확인서

’20.7.1.이후부터 재외국민, 외국인이 국내 토지, 건물을 양도하고 등기소에 소유권이전 등기를 신청할 때 세무서장이 발급한 “부동산등 양도신고 확인서”를 제출하도록 함

  * 매매, 대물변제, 교환, 현물출자, 부담부 증여 거래가 발급대상(증여, 공매, 상속은 아님)

발급신청 : 전국 모든 세무서 

  * 양도세 신고서, 매매계약서 사본, 필요경비 증명서류, 양도세 계산에 필요하나 서류 등 

    첨부하여 신청서와 함께 제출


발급받은 확인서 제출할 곳 : 소유권 이전등기 신청 시 등기관서의 장에게 제출


부동산 매각자금 확인서

재외동포 중 확인서 신청일 현재 부동산 처분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부동산 처분대금을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

  * 처분일 부터 5년이 경과한 부동산 처분대금은 예금 등 자금출처 확인서를 발급


외국인거주자 또는 비거주자 중 국내부동산 처분대금을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

  * 부동산 처분일 제한 없음(5년 경과한 경우도 가능)


발급 관서 : 부동산 소재지 또는 최종 주소지 관할 세무서



양도소득세 계산 사례


758783364_25NJoP8b_1da82cdb8ad95f7556ca8c2fa193591a6d5807f8.png


758783364_ePSzYRCV_15eceb9e09c1e6d781f645774502dce09b5d26d0.png


758783364_lGHvNBtb_06317bb465f168444597c7dd9b929f20b13daf29.png


정리=표영태 기자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791건 17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캐나다 캐나다, 한국 승용차 주요 수출 대상국 2위
지난해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와 야적장에 완성차들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작년 4분기 수출액 전년 동기 23.1% 증가캐나다 1500cc이상 휘발유 차량 위주 수입캐나다가 한국의 승용차 주요 수출 대상국가에서 미국에 이어 2번째로 많았으며, 주로 대형 승용차
01-30
캐나다 작년 11월까지 캐나다 방문 한국인 7만 여명
지난 22일 밴쿠버국제공항 입국장 모습. (표영태 기자)주요 유입국가 중 10위권에 턱걸이영국, 프랑스, 멕시코, 독일, 인도 순캐나다에 거주하지 않는 한인 방문객이 중국이나 일본 등 주요 동아시아 국가 중에 제일 많았다.연방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외국인 방문자 관련
01-24
캐나다 제일 과대 평가된 캐나다 관광 도시는?
게스타운 전경. 밴쿠버관광청 페이스북 사진영국도박사이트 킹카지노보너스 발표토론토, 몬트리올, 밴쿠버, 오타와 등한국에선 유일하게 서울 남대문시장이영국의 도박 사이트에서 세계 관광지 중에 과대평가된 관광지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한국의 남대문 시장과 밴쿠버의 개스타운이 뽑혔
01-24
부동산 경제 한인, 캐나다 모든 민족 중 주거비 고통 최악
연방통계청의 유색인종별 핵심거주빈곤 인구 비율 도표서아시아인 19.5%에 이어 18.7%로 높아캐나다 전체 7.7%, 유색인 11.3%와 비교캐나다 한인들이 그 어느 민족에 비해서도 소득에 비해 주거비 부담이 매우 큰 것으로 나왔다. 특히 밴쿠버에 이민을 온 경우라면
01-23
캐나다 임웅순 주캐나다대사, 상록회 설맞이 행사 참석
임웅순 주캐나다한국대사는 지난 21일(토) 오타와 상록회(회장 이연화)가 개최한 설맞이 행사에 참석하여, 우리 민족의 전통명절을 기리며 동포사회 화합을 도모하는 상록회에 감사를 표했다. 행사에는 상록회 회원 및 양자회 한인 입양가정 70여 명이 참석하여, 떡만두국을
01-23
캐나다 포브스 선정 캐나다 최고 주식 부자는 데비드 톰스 가족
고 이건희 삼성 회장 가족이 지난 2012년 영국 런던 올림픽파크의 아쿠아틱스 센터에서 열린 2012 런던올림픽 남자 자유형 400m 결승을 참관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이어 패티슨, 데비드 체리튼, 조셉 챠이, 앤소니 본 맨들한국, 1000위권 12명
01-19
캐나다 캐나다인이 제일 싫어하는 나라-러시아, 북한
Research Co.의 국가별 긍정 평가 변화 그래프한국 호감도는 57%로 일본 70%보다 낮아서부 유럽 국가 대체로 높고, 미국은 중간캐나다인이 제일 싫어하는 나라로 러시아와 북한이 뽑혔으며, 긍정 평가에서 한국은 서부 유럽국가나 일본보다 크게 낮은 비율로 6위를
01-17
캐나다 한국과 캐나다 문화교류의 시작 : 제임스 게일과 기산 김준근의 한국 풍경
한국과 캐나다 문화교류의 시작 : 제임스 게일과 기산 김준근의 한국 풍경  -1월 26일부터 3월31일까지, 문화원 전시실에서로얄온타리오박물관 소장품 展 <첫만남: 기산 풍속화에 그려진 화려한 한국> 전시 진행 - 해외문화홍보원(KOCIS,
01-16
캐나다 한-캐나다 수교 60주년 기념 리셉션 양국서 동시 진행
오타와 주캐나다 한국대사관에서 열린 수교 60주년 기념사진밴쿠버총영사관 문화인들과 1월 중 접촉 중한국 정부 캐나다 한인 수를 24만 명로 추정올해 한국과 캐나다가 수교를 맺은 지 60주년이 되는 해를 맞아 한국과 캐나다에서 기념 리셉션을 갖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01-12
이민 한인사회 캐나다 이민사회 속 발언권 점차 위축 위기
새 시민권자의 선서식 모습(IRCC 페이스북 사진)작년 10월 누계 새 한인 시민권자 2211명주요 유입국 순위에서 33위로 크게 낮아져코로나19 대유행으로 2020년과 2021년 2년간 캐나다 시민권 처리가 지체 됐는데, 작년에 다시 속도를 내며 크게 증가하는 모습을
01-12
캐나다 여권 파워 일본이 1위, 한국 공동 2위, 캐나다는?
2023년 헨리 여권지수 순위 10일 발표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과 공동 8위비행기를 타고 여권만 들고 갈 수 있는 나라 수에서 한국은 192개국, 캐나다는 185개국인 것으로 나타났다.IATA(국제 항공 운송 협회, International Air Transport
01-10
캐나다 캐나다한국대사관, 2023년 제 4기 SNS 명예기자단 모집
캐나다 거주자라면 누구가 참여 가능지원 마감 1월 29일, 활동 마감 11월주캐나다대한민국대사관(대사 임웅순)과 주캐나다한국문화원(이하 문화원, 원장 이성은)은 2023년 명예기자단을 모집한다.  명예기자단은 기자단 본인이 보유한 다양한 SNS를 통해 &nbs
01-10
밴쿠버 송강호·강동원·아이유 주연의 '브로커' 캐나다 개봉박두
캐나다 공식 개봉일 1월 13일2022년 제75회 칸 영화제의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으며, 배우 송강호가 이 작품으로 그해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던 영화 브로커가 캐나다에서 공식 상영된다.캐나다 배급사는 ELEVATION PICTURES이다.<브로커>는 합법적인
01-07
캐나다 캐나다 한국문화원, 2023설날 맞아 풍성한 문화체험행사 개최
해외문화홍보원(KOCIS, 원장 김장호), 주캐나다 대한민국대사관(대사 임웅순)과 주캐나다 한국문화원(KCC, 원장 이성은)은 한국의 명절 설날을 기념하기 위해 1.20일부터 1.23일까지 풍성한 한국문화체험행사를 개최한다. 설날은 추석과 더불어 한국의 가장 큰 연휴
01-07
밴쿠버 새해 국순당 막걸리 여섯번째 "국순당 밤 막걸리" 서부캐나다에 출시
주류 전문 수입및 공급사, (주)코비스(대표: 황 선양)는 국순당 막걸리 여섯번째로 시리즈로  "국순당 밤 막걸리"를 1월 1일부로 우선 서부 캐나다에 출시한다고 밝혔다.이번에 출시되는 국순당 밤 막걸리는 대한민국 쌀로 빚은 막걸리에 한국 토
01-04
밴쿠버 [새해 신년사] 주캐나다대사 임웅순
존경하는 캐나다 동포 여러분,2023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동포 여러분과 함께 이곳 캐나다에서 계묘년 첫걸음을 내딛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올 한해도 동포 여러분께서 늘 건강하시고 뜻하시는 일 모두 이루시기를 기원합니다.올해는 우리나라와 캐나다가 외교관계를 수립한
01-03
밴쿠버 한국인 캐나다서 마약 투약 한국 가면 바로 처벌 대상
BC주 1월 31일부터 3년 간 개인용도 마약 소지 가능해도소지·국내반입 등 행위 한국 법률 상 10년 이하 징역 가능캐나다나 BC주가 한국에서 불법 마약으로 지정한 불법 약물에 대해 가장 관대하지만, 한국 국적자가 이를 믿고 마약에 손을 댄 경우 한국에서
01-01
캐나다 캐나다 식당 팁 10~14% 이하가 적당
픽사베이 (Pixabay)투고(to go) 때는 팁 안 내는 게 국룰커피숍, 패스트푸드, 카페테리아서도북미 서구 사회에서 식당에서 팁을 내는 것은 관례지만, 음식값 대비 너무 적정한 팁을 내는 것이나 투고처럼 서비스를 받지 않는 경우 팁을 내지 않는 것도 당연해 보인다
12-30
밴쿠버 2022년 캐나다서부 해외취업 성공수기 공모전 당선작 공개
최우수상 소현진, 우수상 안성구, 장려상 김지현각자의 취업 노하우와 경험담을 담아낸 수기들주밴쿠버총영사관은 2022년 캐나다서부 해외취업 성공수기 공모전 당선작 3편을 영사관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했다.밴쿠버총영사관은 지난 10월 12일부터 11월 13일까지 취업성공 수
12-29
캐나다 캐나다 올 한 해 가장 주목 받은 이슈는?
앵거스리드 보도자료 이미지앵거스리드, 인플레이션와 의료 문제 꼽아긴급조치법, 연방보수당 대표 경선 5개로올해 캐나다에서 어떤 이슈가 관심을 끌었는지에 대해 우선 높은 인플레이션과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혼란이 꼽혔다.중립적 조사기관인 앵거스리드연구소(Angus Rei
12-29
캐나다 캐나다인 실내 마스크 의무화 찬성 37%
방역당국은 22일 국회에서 열린 당정 협의회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와 관련, 일정 기준을 충족할 경우 권고로 변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마스크와 백신 여권 모두 찬성도 17% 코로나19에 대한 걱정 하는 지에 반반한국에서는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를
12-23
이민 이민자, 캐나다 가치에 더 우호적 인식
남아시아계 이민자들이 가장 모범적인권에 대한 가치를 제일 높게 평가이민자들이 캐나다의 주요 가치에 대해 우호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당.연방통계청이 22일 발표한 이민자의 캐나다 가치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캐나다 출생자보다 모든 면에서 더 높았다.인권에 관해서
12-22
밴쿠버 재향군인회 캐나다 서부지회 향군의 날 행사 겸 송년회
재향군인회 캐나다 서부지회가 지난 16일 오후 5시 30분에  재향군인의 날 행사와 송년회를 겸한 행사를 가졌다.이 자리에는 손상열 회장을 비롯해 정기동 부회장 등 재향군인회 회원과 6.25참전유공자회의 이우석 회장과 김태영 부회장, 해병대전우회의 김영필 회장
12-22
캐나다 한국-캐나다 실질적 방산군수협력 확대 기대
문재인 정부 때인 2021년 11월부터 올 2월까지 노스웨스트 준주의 옐로우나이프에서 한국의 소형무장헬기의 저온시험을 했었다.(한국 방위사업청 보도자료)한국-캐나다 방산군수협력 MOU 개정으로 협력대상·범위 확대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과 캐나다 국방부(국방
12-16
밴쿠버 서부캐나다서 제24회 재외동포문학상 수상자 3명 나와
견종호 밴쿠버총영사는 지난 14일(수) 오후 3시에 총영사관에서 제24회 재외동포문학상 수상자들에게 상패와 상금 전수식을 개최하였다.재외동포재단은 매년 재외동포의 문학활동을 지원, 장려하기 위해 재외동포 문학상을 시상하고 있으며 금년에는 총 43개국에서 802편의 작품
12-1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