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이어 밴쿠버 한인들까지 능욕하는 일제 군국주의 잔당들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세계한인 | 위안부 이어 밴쿠버 한인들까지 능욕하는 일제 군국주의 잔당들

표영태 기자 입력21-02-23 11:08 수정 21-03-11 11:42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지난 12일부터 23일까지 4차례에 걸쳐 위안부를 매춘부라고 조롱하고 이런 주장을 한 하버드의 램지어와  조 필립스 연세대 교수와 , 조셉 이 한양대 교수를 존경해야 한다는 이메일이 밴쿠버 중앙일보로 날아 들었다.


램지어 위안부=매춘부 주장 담은 이메일 본지에 

110 년 전 통감부 외교고문 스티븐스 처단 상기 


최근 하버드 대학교의 한 교수가 위안부를 매춘부로 폄하하는 곡학아세의 주장을 내놓자 편협한 일제 잔당과 한국의 매국노 친일 잔당 한국인들이 준동을 하며 본지에 위안부를 비하하는 이메일이 속속 들어오고 있다.


본 기자는 지난 12일자로 the-justice004 <the-canopus@asahinet.jp>가 "■The world's widespread theory that comfort women are sex slaves was debunked.■Hey, NHK! Don't hide this news!"라는 제목으로 보낸 이메일을 받았다.


내용은 미국 하버드 대학교의 램지어라는 자가 위안부는 성노예가 아니라 매춘부라고 주장한 것을 일본의 국영방송인 NHK가 방송하지 않았다며, NHK에 항의 서신을 보냈다는 내용이다.


그리고 15일 2차로 온 이메일에는 같은 내용에 이메일 제목만 "NHK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라("Hey NHK!! Protect the freedom of speech!!■Hey NHK!! Broadcast the truth for us!!■Hey NHK!! Don't hide the truth of so called comfort women !)"로 바꿔서 다시 보내 왔다.


같은 이메일 발송자는 23일에 "We Japnese thanks and applause to courageous 3 professors with respect!!"라는 제목의 이메일을 보내왔다. 또 다른 이메일 주소인 canopus <the-canopus@mac.email.ne.jp>로 20일 같은 내용이 도착했다. 마치 인종 우월주의를 내세우며 세계 각국에서 테러를 저지르는 나치 잔당과 같은 일본 제국주의 잔당 세력들이 세계의 한인 언론들에 공격적으로 알리려는 조직적 운동 같았다.


이메일 내용은 바로 램지어의 망언에 동조해 옹호한 조 필립스 연세대 언더우드국제대학 교수와 조셉 이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부교수가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외교전문지 디플로맷에 ‘위안부와 학문의 자유에 대하여’(On ‘Comfort Women’ and Academic Freedom)라는 제목의 글을 공동으로 기고한 것을 인용해 이들 3명의 교수의 용기에 존경을 표해야 한다(We Japnese thanks and applause to courageous 3 professors with respect!!)고 망언을 쏟아냈다. 


이 이메일 발송자는 일제강점기가 한국을 발전시켰다는 친일 일제 잔재 세력인 뉴라이트의 주장과 친일 매국사관주의자들의 '반일종족주의'의 궤변을 담은 책자까지 인용 해 한국과 한국 위안부 문제를 농락했다. 


이와 유사한 일이 대한제국이 일본에 강점 되기 직전에도 일어났다. 


1908년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는 통감부의 외교 고문이자 일본의 충실한 앞잡이인 스티븐스를 미국으로 파견하여, 일본의 한국 지배를 정당화하고 미국인의 반일 감정을 무마시키려고 하였다. 스티븐스는 막대한 선전비를 뿌려 가며 세계의 기자들에게 일본의 한국 지배를 정당화하고 일제의 침략을 옹호하는 망언을 쏟아 부으며 일본의 침략을 정당화 했다.


그가 워싱톤에 가는 길에 샌프란시코에 들려서 ‘한국의 국왕은 무능하고 관리는 백성을 학대하며 백성은 어리석어서 일본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 또는 “한국국민은 일본의 보호정치를 환영하고 있다”는 등의 망언을 일삼았다.


이와 같은 친일적 망언이 각 신문에 보도되자, 이에 분개한 한국교민대표 최유섭(崔有涉)·문양목(文讓穆)·정재관(鄭在寬)·이학현(李學鉉) 등은 3월 22일에 스티븐스에게 매국적 발언을 항의하면서 해명을 촉구하였다. 이에 그는 “한국에 이완용(李完用) 같은 충신이 있고 이토(伊藤博文) 같은 통감이 있으니 한국의 대단히 행복하다. 한국 국민은 우매하여 독립할 자격이 없다.그러므로 일본이 한국을 탈취하지 아니했더라면, 벌써 러시아에게 빼앗겼을 것이다”라고 망언을 되풀이 할 뿐이었다. 이에 격분한 한국 대표들은 앉았던 걸상을 들어 스티븐스를 구타하였다.


스티븐스가 일본 영사 소지 고이께와 함께 워싱턴으로 가기 위하여 훼리 빌딩의 선착장에 도착했을 때 전명운과 장인환 두 의사가 총격을 가했고, 이때 총상을 입은 스티븐스는 3월 25일에 죽었다.


스티븐스 사망 후 예일 대학교 교수 조지 트럼벌 래드는 '뉴욕 타임스'의 독자 기고란에 스티븐스의 암살이 비열하고 몹시 악랄하며 한국인들은 잔혹한 민족이라고 비난했다.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조화를 보내는 등 일본 편에 서 있었다. 당시나 지금이나 미국의 진짜 혈맹을 누구로 생각하는 지를 보여주는 단면이다.


거사 후 장인환 의사는 “내가 스티븐스를 쏜 것은 일본이 우리나라를 능욕하며 스티븐스가 일본을 도와 일하면서 한국을 망하게 하는 고로 총을 쏘고 나도 그와 같이 죽기를 원하여 한 일이다”라고 하여 죽음도 불사한 굳은 의지를 천명했다.


장인환은 살인죄로 기소되어 재판을 받았다. 부상을 당한 전명운은 증거 불충분으로 석방 되었다. 재판이 열리자 한인들의 여론이 들끓고 모금이 쇄도했다. 샌프란시스코의 공립협회와 대동보국회가 연합으로 후원회를 조직하였고 하와이에서도 후원회를 조직하였으며 멕시코, 중국, 일본 등지의 한인들도 후원금 모금에 동참하였다. 당시 모금된 후원금은 미화 7390달러에 달하여 3인의 유능한 미국 변호사를 선임하고 남가주대학(USC)에 유학 중이던 신흥우(귀국후 배재학교 교장역임)가 통역을 담당 하였다.


원래는 하바드대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영어를 잘하는 이승만을 통역으로 청하였다. 이승만은 현지에 와서 형편을 살펴보았으나 무슨 이유에선지 통역을 사양하고 다시 동부로 떠나 버렸다. 그가 통역을 거부한 표면적인 이유는 공부를 계속하기 위하여 샌프란시스코에 오래 있을 수 없으며 기독교인의 신분으로 살인범을 위한 재판에서 통역을 원치 않는다고 하였다. 그로 인해 이승만은 기회주의자라는 꼬리표를 달게 되었다. 해방 후에도 자신의 사익을 위해서 일제 앞잡이를 중용한 인간성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처럼 110여년 전에도 일제의 주구가 되어 한국을 폄하했던 미국인들이 2차세계대전 이후 나치와 같이 반인륜적 범죄를 저지른 일제를 소련의 확대를 견제하기 위해 면죄부를 준 것을 빌미로 다시금 진실을 왜곡하고 오히려 피해자들을 조롱하는 일까지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이런 내용을 일면식도 없는 본 기자에게까지 이메일로 지속적으로 보내는 등 자신감을 보이는 일은 일본과 미국의 문제 뿐만 아니라 한국 내에서도 기회주의자 이승만의 사리사욕으로 인해 반민특위를 무력화 시키면서 해방 후 단 한 번도 청산되지 않은 일제 앞잡이 매국노들이 정치, 사회, 검찰, 재개는 물론 학계까지 75년 넘게 장악하고 공공연하게 일제 강점기를 찬양하고 독립 운동가들을 테러리스트로 표현할 수 있는 매국노 문제가 전혀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표영태 기자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506건 2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세계한인 세계한인총연합회 창립 추진...10월 목표
캐나다연합회장 주점식 공동 주최 간담회김성곤 재외동포이사장 간담회 참석 통해 한국 시간으로 지난 2일(화), 전 세계 대륙별 총연합회 회장단이 김성곤 재외동포재단 이사장을 초청한 간담회에서, (가칭)사단법인 세계한인회총연합회(약칭:세계총연) 추진위원회를 결성하
03-03
캐나다 미 국적자 금융정보 미국 양도 법정 싸움 2라운드 돌입...한인에게도 영향
은행 개인정보 정부 취합 위헌성 다툼판결 내용 한국-캐나다간에도 적용 가능연방정부는 최근 시작된 연방 항소법원 제소에서 캐나다 경제에 엄청난 제재가 가해질 것이 두려워 미국 국적자의 은행 정보를 미 정부에 넘기지 않을 수 없었다고 진술했다. 양국의 밀접한 관계 상 미국
03-02
밴쿠버 밴쿠버 한인장학재단 김범석 신임이사장 선출
좌로부터 김수연 신임 총무이사, 이해수 재무이사, 봉부민 이사, 김범석 신임 이사장지난 20여년동안 밴쿠버 한인 사회에서 장학사업을 펼치고 있는 밴쿠버 한인 장학 재단이 2021년도 정기이사회에서 신임 이사장으로 김범석 씨가 선출되었다. 김범석 신임 이사장은
02-28
밴쿠버 캘거리 한인여성회, 한인에게 꼭 필요한 정보 세션 진행
주밴쿠버 총영사관의 나용욱 부총영사가 지난 2월 캘거리 한인여성회의 웹바이너 강연에 외부인사로 축사를 했다.인종차별에서 정부 재정지원책까지3월에도 다양한 주제 5차례 세션 많은 아시안계 캐나다인이 2020년 3월부터 아시안에 대한 인종혐오를 겪어왔지만,&nbs
02-25
세계한인 위안부 이어 밴쿠버 한인들까지 능욕하는 일제 군국주의 잔당들
지난 12일부터 23일까지 4차례에 걸쳐 위안부를 매춘부라고 조롱하고 이런 주장을 한 하버드의 램지어와  조 필립스 연세대 교수와 , 조셉 이 한양대 교수를 존경해야 한다는 이메일이 밴쿠버 중앙일보로 날아 들었다.램지어 위안부=매춘부 주장 담은 이메일 본지에&
02-23
밴쿠버 김정홍 도예가 한국전통도자기 한인 공립요양원 뉴비스타에 기증
캐나다에 활동하는 한국 전통 도자기 장인 김정홍 도예가가 캐나다 최초의 한인 공립요양원이 위치한 뉴비스타에 오유순 무궁화재단 이사장을 통해 한국 전통 생활 도자기를 기부했다. 이번 기증은 지난 설날 뉴비스타 거주 한인 입주 노인들을 위해 떡국을 제공하기 위해 한국 전통
02-18
캐나다 민주평통 토론토 협의회 한인 양자 설날 행사
62가족 200여 명 온라인 초청, 온라인으로 2시간퀴즈, 한식 조리 실습, 노래 등 다양한 프로그램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토론토협의회(회장 김연수/이하 민주평통)와 캐나다한인양자회(회장 임승우/이하 양자회)가 공동 주최한 캐나다한인양자회 초청 설날행사가 지난 13일 오후
02-14
세계한인 한인사회 공공자산 '이사회 소유물'로 착각
남가주 한국학원 갈등 왜 안 풀리나조희영·제인 김 반대 주도전문성·비전보다 "우리끼리"2월 12일 현재 남가주 한국학원 이사회(이하 한국학원 이사회) 구성원은 박형만 이사장, 김덕순•박신화 이사, 당연직인 LA총영사관
02-12
교육 UBC 한인총학생회 입학설명회 개최
11학년 12학년 학생 및 학부모 대상온라인 줌 화상회의 통해 20일 열려5일~19일까지 참가자 신청 접수 중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이하 UBC)의 한인총학생회 (Korean Intercollegiate Student Society)는
02-07
밴쿠버 한인신협 2020년도 출자 배당금, 총 64만 달러 지역에 환원.
32년 이어지는 착한 배당스트랩·손소독제 무료증정 한인신협의 착한 배당이 눈길을 끈다.지난 29일 한인 신협에 따르면 2020년 결산 결과 총 64만 6134달러를 조합원에게 환원했다. 한인신협은 출자 예금(Share Deposit Acc
02-02
밴쿠버 연아 마틴 상원의원, 한인사회대표들과 연초 화상회의
넬리 신 하원의원과 공동 주최총영사관 한인회, 노인회 협력지난 16일 밴쿠버 한인사회의 대표 인사들이 연아 마틴 상원의원과 넬리 신 하원의원의 초대로 줌 화상회의 참석해 올 한 해 밴쿠버 한인사회의 방향성을 잡는 시간을 가졌다.마틴 상원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작년에 이어
01-21
밴쿠버 주밴쿠버총영사관, 서부 한인단체장 온라인 신년회 개최
12일부터 18일 사이 4일간 밴쿠버에서 리자이나까지주밴쿠버총영사관은 지난 12일(화), 14일(목), 15일(금), 18일(월) 등 4일에 걸쳐 각각 밴쿠버, 리자이나 및 사스카툰, 캘거리, 에드먼튼 지역 한인 단체장들과 온라인 신년회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01-19
밴쿠버 길잃은 한인 할머니 가족과 재회
버나비RCMP는 버나비 사우스지역에서 17일 밤에 길을 잃고 헤매던 할머니가 가족과 재회했다고 발표했다.경찰은 이날 오후 5시 45분에 신고를 받고 출동해 19번 에비뉴의 7300블록에서 길을 잃고 헤매고 있는 할머니를 발견했었다. 버나비RCMP는 도움을 준
01-18
밴쿠버 [새해 인터뷰] 한인신협 석광익 전무-한인신협 올해 활동계획과 경제전망은
밴쿠버 한인사회가 직접 참여해 성장발전시켜온 한인사회의 대표적인 금융자산인 밴쿠버한인신협이 작년 한 해 코로나19로 인해 역시 어려운 한 해를 보냈다. 특히 세계 정부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사상초유의 저금리 정책을 펴면서, 타 금융기관과
01-14
이민 코로나19에 새 한인시민권자도 급감
10월 누계 한인 1170명, 작년 40% 전국 새 시민권자 전년대비 절반 수준코로나19로 작년 한해 캐나다 전체적으로 새 시민권자 수가 급감했는데 시민권을 딴 한인 수도 작년에 비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연방이민부(IRCC)의 시민권 통계자료에
01-07
밴쿠버 밴쿠버한인기독교협의회 노인회에 마스크 기증
최금란 노인회장, 문경돈 목사, 이광록 감사 (좌로부터)밴쿠버 한인기독교회협의회(회장 이흥수 목사)는 지난 2일 밴쿠버 노인회(회장 최금란) 사무실에서 마스크 기증식을 가졌다. 이날 기증된 마스크는 한국 식약처에서 허가를 받은 퓨어블루 KF94 대형마스크이다.
01-05
캐나다 한인 라이온스클럽 에드먼턴 한인회에 통큰 기부
좌로부터 라이온스클럽 이진순회원,김영숙재무,손영순회장,한인회 조용행회장,이재웅이사장,황병문신임제1부회장에드먼턴 라이온스 클럽 10만달러를한인사회 공존 위해 에드먼턴 한인회에서부 캐나다의 가장 모범적인 한인사회로 꼽히고 있는 알버타주의 에드먼튼의 한인 라이온스
12-31
세계한인 재외 한인 정치인 협의회, 가상 컨퍼런스 개최
 OKPC는 "잊을 수없는 2020, #OneOKPC"라는 주제로 사실상 12 월 2 일에 제 7 차 연례 컨퍼런스를 개최했습니다. 지난 7 월 호주 시드니에서 처음으로 예정된 모임은 글로벌 코로나 19 로 인해 일정이 변경되고 온라인으로 이
12-30
밴쿠버 [신년사] 밴쿠버 한인회장 정택운
안녕하세요.  한인동포 여러분!2021년 신축년 흰소띠해를맞아 밴쿠버한인동포 여러분들 각가정에 많은복이함께하고 사업도 번창하며 건강하시기를 기원드립니다.지난 경자년은 말그대로 전 세계적으로 다사다난했던  한해였던것같습니다. 우리 동포사회도 예외없이 &
12-29
밴쿠버 한인신협, KF94 마스크 3만 개 한인사회에 나눔
지난 23일 밴쿠버 한인신협 포트 코퀴틀람 지점에서 회원을 포함한 모든 방문 고객에게 한국산 KF94 마스크를 나누어주고 있다. 밴쿠버 한인신협은 한국 신협 중앙회에서 3만장의 KF94마스크를 후원 받아 22일부터 전 지점을 통해 배포하고 있다. 밴쿠버 한인신협은 내년
12-22
밴쿠버 한인 기업 스쿼미쉬 소재 퀘스트 대학 정식 소유
법원 프리마코오프 벤처스사 매입 승인캐나다 최대 규모 민간 교육 투자기업한인 기업 프리마코오프 벤처스(Primacorp Ventures Inc. 정문현 회장)사가 BC주 스쿼미쉬 소재 퀘스트 대학(Quest University)의 정식 소유주가 됐다. 법원이 파신 신청
12-17
밴쿠버 밴쿠버 총영사관, 한인 차세대 네트워크 행사 개최
주밴쿠버총영사관은 지난 12일(토) 오후 7시, 온라인으로 '2020 한인 차세대 네트워크 행사'를 개최하였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온라인(Zoom)으로 진행된 행사에는 BC주, 알버타주, 사스카추완주 등 관할지역 전역에서 240명이 넘는 한인 차
12-15
밴쿠버 뉴비스타 한인공립 요양원 '감사와 축복이 넘치는 곳'
뉴비스타 한인요양원에 기부된 물품을 전달하기 위해 오유순 무궁화재단 이사장이 뉴비스타 요양원을 방문했다. 한식 식사와 한국어로 서비스현재 20명 한인노인 입주 중BC주 최초의 한인공립요양원으로 이정표를 세운 뉴비스타 요양원 2층은 항상 기쁨과 감사의 축복의 땅
12-10
밴쿠버 로타리클럽 크리스마스 콘서트 오디션에 한인 4개팀 참가
오는 18일에 있을 로타리 지구 5040 크리스마스 콘서트를 위한 오디션이 지난 5일(토)일 열려 한인 4개 팀이 참여했다고 캠비로타리클럽 장민우 회장이 알려왔다. 장 회장은 "모두 20여개 팀이 참여했었다"며, "
12-10
캐나다 캐나다 출발 한인 코로나확진자 어디로 사라졌나?
2~3일에 한 명씩 한국 입국 밝혀져연방정부에 대부분 확진자 확인불가한국에서는 캐나다에서 온 코로나19 확진자가 이삼일에 한 명 꼴로 나오고 있는데 캐나다 연방정부 통계에는 전혀 나오고 있지 않아 연방정부의 신뢰성에 의문이 든다.한국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12-07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