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밴쿠버 한식문화는 진화하고 있다.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밴쿠버 | 메트로밴쿠버 한식문화는 진화하고 있다.

표영태 기자 입력18-06-15 14:41 수정 18-10-19 16:19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제2회 한식경연대회에서 심사위원의 시식 등 다양한 현장 모습

(사진을 클릭하면 고해상도의 큰 사진을 볼 수 있습니다.)  

 

제2회 한식경연대회 개최

다양한 민족들 관심 집중

VCC 한식과목 공식 개설

 

건강음식으로 한식이 세계적으로 유명세를 보이며, 메트로밴쿠버에도 많은 한식전문식당들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 하지만 세계화와 현지화에 맞춘 차별화된조리법 개발하거나 새로운 트랜드를 반영하기 위한 전문적인 재교육 등의 기회는 적었다. 

 

작년말 처음 한식경연대회를 주최했언 주밴쿠버총영사관이 지난 14일 밴쿠버커뮤니티칼리지(VCC) 다운타운 캠퍼스(250 W. Pender Street)에서 2018년도 한식경연대회(2018 Korean Culinary Competition in Vancouver)를 개최했다.

 

대회에는 총 13명이 VCC의 요리학과(culinary arts)의 학생들과 한식당의 요리사 등이 학생부와 일반부로 나뉘어 참가했다. 이들 참가자들은 한국의 전통요리인 불고기, 갈비, 너비아니, 육회, 각종 쌈과 전요리를 활용한 한식들을 선보였다.

 

이번 경연에서 학생부에서는 김원석 학생이 1등을, 이재상 학생이 2등, 그리고 라일리 타케오 후즈가 3등을 했다. 또 일반부에서는 이충우 불르바드 오이스터 앤 키친의 요리사가 1등을, 이어 이명훈 불루워터 카페 요리사와 차정규 페밀리테이블 요리가사 2등과 3등을 각각 차지했다.

 

140584adbb8ea17d598387dcd0e10e9a_1529102724_4552.jpg
본격적인 요리 경연에 앞서 한식 캐터링 비즈니스를 하는 우애경 한식전문요리사가 나와 참관객들과 함께 김밥 만들기 행사를 펼쳤다. 일본의 스시롤과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한국 음식인 김밥 만들기에 행사장을 찾은 많은 타민족 관람객들이 참여했다.

 

 

140584adbb8ea17d598387dcd0e10e9a_1529102799_622.jpg행사장에는 총영사관의 초청으로 서병길 불가리아 명예영사와 불가리아 사회 대표자들을 비롯해 신임 주밴쿠버 타일랜드 총영사를 비롯해 이탈리아 총영사관의 시몬나 피미아니 교육담당 영사 등이 참석했다. 또 이번 행사를 후원한 한국의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들도 자리를 함께 했다.

 

아울러 행사장을 찾은 관람객들에게 한국 전통 음식을 직접 맛볼 수 있도록 영사관측의 요청에 의해 우 요리사가 준비한 컵비빔밥이 무료로 제공됐다. 또 한국 식품홍보 부스에는 총영사관이 마련한 한국의 다양한 과자들과 식초음료, 그리고 식혜 등을 나누어주며 한국의 맛을 전파했다. 이외에도 한국의 장류인 고추장과 쌈장 등 다양한 전통 음식재료도 함께 선보였다. 그리고 정일품에서 수입해 온 전복 통조림도 전시돼, 참관객들의 눈길과 관심을 끌었다.

 

또 홍보 부스 옆에는 한국에서 요리사 유니폼을 수입해 판매하는 쉐프&코(CHEF & CO)의 패트리시아 왕 대표가 나와 다양한 색상의 유니폼을 전시 홍보하기도 했다.

 

140584adbb8ea17d598387dcd0e10e9a_1529102754_9659.jpg
심사위원으로 김건 총영사와 VCC 요리학과 콜린 길 요리학과장, 안성희 강사, 이사벨 수킥 강사를 비롯해, 한식당 담소의 에릭 리 대표이자 요리사 등 5명이 심사위원으로 나왔다. 심사위원들은 맛깔나게 요리된 다양한 음식들을 시식하며 평가를 매겼다. 

 

이들 심사위원들의 평가에 의해 참가 팀 중 1등을 한 팀은 800달러, 2등은 300달러, 그리고 3등은 100달러의 상금을 각각 수여됐다. 그리고 특별상을 받을 경우 한국에서 열리는 한식경연대회 참가를 위한 항공권과 숙박비 등의 지원도 받을 수 있다.

 

a702893d5864731b792f800f513de8b4_1529104096_1072.jpg
VCC 요리학과 재학 중에 행사 자원봉사자로 진행을 도운 송민경 학생은 "VCC 요리학과 국제부에 많은 한국 학생들이 재학 중인데 뛰어난 요리 실력을 갖추고 있어 학교 졸업 후 취업이 잘 된다"며, "이런 대회가 있는 줄 몰라 경연에 올해 참가를 못했는데 내년에는 꼭 참가를 해 상을 받고 싶다"고 말했다. 이를 반영하듯 이번 대회 VCC 참가자 중 대부분이 한국 학생들로 한식을 현지화 하는데 많은 연구를 한 요리들을 내놓아 한식 세계화에 대한 가능성을 높였다.

 

bbf1f7f110e4a3ef8fbeb45404f72b4b_1529347068_4207.jpg
 또 같은 VCC 다운타운 캠퍼스에 있는 헤어디자인학과 한인학생들도 한식대회가 열리는데 자부심을 갖고 타민족 학생들과 찾아와 응원을 하기도 했다. 이들 헤어디자인학과 한인학생들도 요리학과 한국 학생들처럼 뛰어난 솜씨로 인해 졸업과 동시에 취업에 성공하고 있다.

 

이번 한식경연대회를 위해 한식진흥원과 캐나다의 수산물 전문유통기업인 오션캐나다 등도 후원을 했다. 특히 한식진흥원이 VCC의 관계자들을 식문화초청교육에 초청을 하고 향후 VCC 요리학과에 한식과목 개설을 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고 이에 따른 예산을 2만 달러 지원하기로 약속하면서 밴쿠버에 공식적으로 공립교육기관에서 한식 교육의 장이 열리게 됐다.

 

표영태 기자

 

-----------

 

2018년도 하반기 VCC에 한식과목 개설 

 

 

한식진흥원의 2018 해외 한식교육 수요조사를 통해 VCC의 숙박요식학과 데니스 인즈 학장과 요리학과의 이사벨 수킥 강사가 지난 6월 전주에서 열린 해외식문화초청교육에 참석했다. 

 

이를 통해 VCC에서 한식과목 개설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고, 이에 따라 진흥원은 초기 과목개설 개발비 2만 달러를 지원하기록 약속을 했다. 

 

이런 성과가 있기 전인 2012년부터 주밴쿠버총영사관은 한식진흥원의 한식교육 수요사업을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게재하여 꾸준히 알려왔다. 그러나 밴쿠버에서는 한식교육 수요에 대한 응답이 별로 없었다. 그러다 주밴쿠버총영사관이 작년 12월 한식요리경연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면서 현지인들의 한식에 대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변화의 조심이 보였다. 

 

그러다 올해 한식진흥원의 사업 협조요청에 따라 총영사관이 2월 한식관련 수요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때 

요식업과 조리학과 등이 발달한 밴쿠버의 대표적인 공립초급대학 전문교육기관인 VCC에서 '한식강좌 개설'에 관심을 보여서 한식강좌개설 사업 신청서를 주밴쿠버총영사관을 통하여, 한식진흥원에 제출하게 되었다. 

 

한식진흥원은 2011년부터 실시해 오고 있는 이 사업에는 7년 동안 미국 LA, 시애틀, 뉴욕과 시드니, 파리, 런던, 그리고 일본과 중국의 많은 도시들의 한식당의 요청으로 연 52개국 93개 도시 1만 4758명이 지원을 받았다. 

 

하지만 대부분인 한인사회 중심의 개별 식당이나 한식당 협회 차원에서 지원과 교육을 받아왔다. 그런데 이번에 밴쿠버에서는 캐나다의 공립대학인 VCC가 지원사업 신청을 해 지원과 교육을 받게 되면서, 한식지원사업 최초의 현지 사회 교육 기관과의 협력사업으로 자리잡게 됐다.

 

특히 밴쿠버가 환태평양시대 미대륙과 아시아를 잇는 핵심도시로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민족이 사는 도시라는 점을 감안할 경우 한식이 세계화를 하는데 있어 최적의 장소로 꼽히고 있다.

 

만약 VCC의 한식과목 개설로 주류 식당은 물론 호텔 등 서북미 최대 MICE(회의(Meeting)·포상관광(Incentives)·컨벤션(Convention)·전시회(Exhibition)) 중심지인 밴쿠버에서 한식이 자리를 잡을 경우 그 파급력이 커지고, 이를 교두보로 밴쿠버를 찾은 많은 한국 청년들과 한인 요리사들이 주류산업계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도 확대될 것으로 내다보인다.

 

표영태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후원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2,585건 442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밴쿠버 UBC 의·치·약대 입학 하려면, 불굴의 의지가 필수
  서류 통과 후 합격은 인터뷰 점수가 좌우의약대 정부 지원금 필수, 치대는 대출만 캐나다의 우수한 인재인 한인 차세대들이 선호하는 약대, 의대, 치대를 가기 위해서는 좋은 성적과 더불어 다양한 사회 활동도 필요하다고 선배 한인차세대들이 입을
10-18
밴쿠버 보행자 사망사고 잇달아 발생
 13일 버나비, 18일 밴쿠버 우기철인 10월이 되면서 보행자 사망사고가 빈번하다고 BC주내 교통경찰 관계자가 경고한 가운데 연이어 보행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밴쿠버경찰(VPD)는 18일 오전 6시 사우스이스트 마린드라이브의 로스
10-18
밴쿠버 밴쿠버-켈로나, 캠룹스 시외버스 계속 다닌다
밴쿠버에서 켈로나와 캘룹스를 오가는 새로운 시외버스 노선이 생긴다. 그레이하운드가 기존에 다니던 기존 운행 편을 이달 말로 모
10-18
밴쿠버 UBC 전철 연장에 찬성하는 주민 얼마나 될까
메트로밴쿠버에서 진행되고 있는 스카이트레인 연장 계획에 대해 주민 대다수가 이를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사가
10-18
밴쿠버 [유학생 인턴의 밴쿠버 이야기] 가까운 곳에서 가볍게 즐기는 맥아더 글랜 아울렛
 한국과 비교했을 때 밴쿠버의 단점 중 하나는 바로 옷이다. 한국보다 비싼 가격에 질은 현저히 떨어지는 편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밴쿠버에 있는 옷 가게에서 마음에 드는 옷을 찾기란 어렵다. 그러다 보니 많은 유학생들이 비교적 질이 좋은 브랜드 제품을 많
10-18
밴쿠버 [유학생 인턴의 밴쿠버 이야기] 한번도 먹어보지 못한 피자를 경험할 수 있는 St…
 Steveston Pizza Company는 전세계적으로 여행객들에게 인기 있는 피자가게로 리치몬드에 부둣가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다운타운을 기준으로 개인차로는 약30분, 대중교통으로는 약1시간정도 소요가 된다. 리치몬드까지의 교통편이 좋은편이 아니지만 피
10-18
밴쿠버 한인의 정체성 교육은 그 삶의 바탕이 되는 문화교육에서
 예랑 한국문화아카데미 언어교육은 문화교육정체성 교육도 문화교육  이스라엘에는 검은 유대인이라 불리는 팔라샤라는 에티오피아 출신 유대인들이 있다. 이들은 3000년 전 이스라엘 왕 솔로몬과 아프리카 시바 여왕 사이에서 난 후손이라고
10-17
밴쿠버 시온합창단의 인종과 종교를 아우르는 인류애
  36주년 정기공연 9만 8천달러 기금마련이스라엘 장애인·시리안 난민 전달 예정 메트로밴쿠버에서 음악으로 선교활동을 펼치고 있는 합창단이 정기연주회로 모금한 기금을 해외의 필요한 단체에 직접 전달을 하며, 동시에 창단 최초로 해외 현지 연주
10-17
밴쿠버 한류문화도 관심과 후원 속에 진화한다
한중 다문화가정의 초등학생팀이 고난도의 더블링을 선보이며 댄스부문 1등상을 받았다. 13일 K-POP 콘테스트 개최해를 거듭할수록 기량 발전 강남스타일에서 BTS로 이어지는 한류문화가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밴쿠버에서도 공관의 꾸준한 지원
10-17
밴쿠버 BC 오락용 마리화나 온라인 구매자 신분 확인은 우편 배달부가
구매자연령확인 배달 시 가능오프라인매장은 캠룹스 하나마침내 세계에서 2번째로 비의료용 마리화나가 합법화된 나라가 된 17일, BC주는 오프라인 매장은 하나에 그쳤지만 온라인으로 판매를 개시했다.BC주정부는 오락용 마리화나가 합법화 되기 하루 전인 지난 16일 오후 3시
10-17
세계한인 해태제과, 캐나다 랍스터 들어간 빠새 '콘치츠 랍스터' 출시
  해태제과는 ‘빠새’ 3탄으로 캐나다산 랍스터가 들어간 ‘콘치즈 랍스터’를 출시했다고 17일 발표했다. 해태제과는 최고급으로 평가되는 캐나다산 랍스터의 함량을 크게 높인 진한 맛으로 시중의 제품과 확연히 차별화했다고 밝혔다. &nb
10-17
캐나다 새 기준에 따른 국가경쟁력 캐나다 12위
  한국 진보정부 때 경쟁력 높아져 세계의 빈부격차를 벌이고 부자기업과 나라를 대변하며, 왜곡된 경제시각을 보여주는 세계경제포럼(WEF)이 새로운 평가방식을 도입한 국가경쟁력 지수에서 모든 국가의 경쟁력이 들쑥날쑥 뒤바뀐 결과를 내 놓았다.&
10-17
부동산 경제 "대마 키우던 집 안산다"
업계 "집값 얼마나 떨어질지 아직 평가 일러" 전국에서 대마 제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됐지만 주택시장에서는 여전히 탐탁지 않은 반응을 보이며 심지
10-17
캐나다 우편노조 파업 예고
이르면 22일부터 순환 파업 캐나다포스트 노조가 파업을 예고했다. 이르면 다음 주부터 소포와 우편배달 업무가 중단될 수 있다.
10-17
세계한인 2018 세계인구현황보고서 한국어판 발간
  출산연령 32.3세로 세계 평균 27.9세보다 높아  인구보건복지협회(회장 신언항)는 유엔인구기금(UNFPA)과 함께 ‘2018 세계인구현황보고서’ 한국어판을 발간한다.  이 자료에 따르면, 올해 세계 총인구는
10-17
캐나다 석유공사, 캐나다 블랙골드 생산원유 현지 시장판매 개시
 한국 최초 비전통방식 생산원유총 매장량 2억 6000만 배럴 규모 한국석유공사는 17일(한국시간)부터 캐나다 오일샌드 광구(블랙골드)에서 생산된 원유를 현지시장에 본격적으로 판매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공사는 지난 9월 2일부터 원유생산을
10-17
교육 스쿨버스 안전띠 규정 강화 검토
캐나다 교통부가 통학버스의 안전띠 실태를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고 필요성 여부도 다시 검토하기로 했다. 교통부 마크 가노(Ga
10-16
부동산 경제 새 북미경제협정 올해안 비준 어려워
캐나다와 미국 멕시코 간에 최근 타결된 미국멕시코캐나다경제협정 USMCA의 올해 안 인준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전망이 미국에서 나오고&
10-16
이민 연말까지 EE 카테고리 이민자 증가할 듯
  15일, 3900명 초청통과점수 440점 회귀 연말까지 새 영주권 취득자가 예년보다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연방이민부(Immigration, Refugees and Citizenship Canada, IRCC)는 15일 E
10-16
부동산 경제 BC주 주택가격 상승률 강보합세 유지
버나비코퀴틀람 아파트 25.7% 상승 16일 발표된 로얄르페이지(Royal LePage)의 주택가격서베이(House Price Survey)와 시장서베이전망(Market Survey Forecast)에 따르면, 3분기에 캐나다 거의 전 지역의 주택가격이 강보합
10-16
밴쿠버 버나비 84세 보행자 교통사고로 사망
한인 노인아파트 인근지역 버나비 RCMP는 지난 13일 오후 4시 버나비 캐나다웨이와 얼스터 스트리트에서 84세 보행자가 차에 치여 병원으로 후송됐지만 결국 병원에서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교통사고 현장은 한인 노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뉴비스타 시니어 아
10-16
캐나다 삼성전자, 몬트리올에 인공지능(AI) 센터를 오픈
지난 9월 미국 뉴욕 AI 연구센터 개소식. [삼성전자 제공]  세계 7개 중 캐나다에 2개 삼성전자가 캐나다 몬트리올에 인공지능(AI) 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퀘벡주 몬트리올에 AI 센터를 10월 중 열고 스마트폰, T
10-16
세계한인 한국 차세대 전자여권 국민의견 수렴
  외교부(장관 강경화)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는 2020년부터 발급할 예정인 차세대 전자여권의 디자인 시안을 공개했다.   차세대 여권 디자인은 2007년 외교부와 문체부가 공동 주관한 ‘여권 디자인
10-15
세계한인 '미스터 션샤인'의 후손을 찾습니다
  내년 3.1운동 및 임시정부 100주년훈장 미전수 독립유공자 찾기 캠페인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3.1운동과 임시정부 100주년이 되는 내년도에 '독립유공자 후손 찾기 캠페인' 사업을 활성화 한다고 밝혔다.  또 국가
10-15
밴쿠버 제10회 한카문학제 개최
 '소월, 한국인의 정서' 주제로 캐나다 한국문인협회(회장 나영표)는 지난 13일 오후 3시부터 버나비에 소재한 쉐볼트센터 스튜디오 극장에서 제10회 한카문학제를 개최했다. '소월, 한국인의 정서'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문학제는 알렉스 리스
10-1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