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1등의 책상] 저녁 5시30분, 그날 공부 목표 20개 세우고 지킨다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교육 | [전교1등의 책상] 저녁 5시30분, 그날 공부 목표 20개 세우고 지킨다

redbear300 기자 입력15-04-29 06:49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서울 대진고 2학년 장호근군

 

장호근군은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하루 계획표를 몇 페이지, 몇 문제 수준까지 꼼꼼하게 세운다. 장군은 “계획표가 꼼꼼하면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고 계획을 완료할 때마다 성취감도 느낄 수 있어서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몇 번 문제까지 풀기' 계획표 짜
긴장감 떨어지는 주간, 월간 목표는 안 세워
초교 때부터 매일 일정 짜고 공부 습관화


 

“정말 특별한 비법은 없는데…굳이 꼽자면 끈기인 것 같아요.” 서울 대진고 2학년 전교 1등인 장호근군은 “공부에 지름길은 없는 것 같다”며 “매일 목표한 공부량을 꾸준히 채워가면 언젠가는 노력한 만큼 결과(성적)로 돌아온다”고 말했다. 장군은 “공부는 습관”이라고 말했다. “아무리 몸이 아파도 단 30분만이라도 꼭 교과서와 문제집을 꺼내봐요. 어릴 때부터 그래와서 이제는 습관이 됐어요.” 끈기와 꾸준함은 결과로 이어졌다. 장군의 1학년 내신 성적은 전 과목 1등급이다. 모의고사도 국어·영어·수학을 합해 1~2문제만 틀렸다. 꾸준함, 말은 쉽지만 행동은 어렵다. 장군의 책상에서 비결을 찾아봤다. 

장군은 학교 자율학습관에서 주로 공부한다. 저녁 급식을 먹고 자율학습관으로 이동하기 전에 반드시 하는 일이 있다. 오후 자율학습 계획표를 짜는거다. 보통의 아이들이 ‘수학 1시간, 영어 1시간‘과 같은 식으로 두루뭉술 계획을 세우는 반면 장군은 몇 페이지, 몇 문제까지 구체적으로 계획표를 짠다. 예컨대 ‘생명과학 수능 기출문제집 42쪽 9번 ~ 45쪽 9번 문제 풀기’와 같은 식으로 분량을 정확하게 계획한다. 이렇게 매일 국어·영어·수학·과학을 균형 있게 배분해 공부한다. 이런 계획이 과목마다 3~4개씩, 총 20개 정도 매일 목표를 세우고 소화한다. 계획표를 적은 메모지를 책상 한편 눈에 잘 보이는 곳에 놓는다. 

 구체적인 계획표는 공부를 하는 동안 긴장감과 집중력 유지에도 큰 도움이 된다. “계획은 제 자신과의 약속이라고 생각해요. ‘이 정도면 됐겠지’ 싶다가도 계획표를 보면 느슨해질 틈이 없어요. 계획이 구체적이면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한지 가늠이 되니까 시간 낭비도 줄일 수 있죠.” 장군은 일일 계획은 구체적으로 짜지만 주·월 단위 계획처럼 긴 시간의 계획은 세우지 않는다. 계획의 완료 시점이 너무 멀면 느슨해지기 때문이다. 장군은 “매일매일 성실하게 계획한 공부를 소화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하루가 쌓여 일주일이 되고 일주일이 쌓여 한 달이 된다. 낙숫물에 바위가 뚫리듯이 꾸준하게 끊기지 않고 하는 것이 바로 장군의 공부비법이었다.

넓게 훑다가 고난이도 문제로 ‘역삼각형 공부’

긴 단위의 계획은 없지만 패턴은 있다. 중간·기말고사를 기준으로 해서 ‘2달→2주’ 싸이클이다. 장군은 “평소에 공부할 때와 시험 대비 기간에 집중해야 할 부분이 다르다”고 했다. 장군은 자신의 패턴을 역삼각형에 비유했다. “교과서와 문제집을 여러 차례 반복하면 중요한 개념과 내가 어려워하는 부분들이 찾아져요. 그러면 그것들만 묶어서 반복하고, 시험 직전 2주 전부터는 가장 어려운 문제만 모아서 다시 반복해요. 넓게 퍼진 것들을 한 점으로 모아가는 과정과 같아요.” 장군은 수학을 예로 들었다. 2개월 동안 수학 교재 4권과 학원 교재를 2~3차례 반복해 푼다. 각 단원에서 틀린 문제, 개념이 어려운 문제, 풀이 과정이 복잡한 문제를 체크해둔다. 그렇게 하면 대략 단원마다 10문제 정도가 된다. 중간·기말고사 즈음에 50~60문제가 쌓인다. 시험 대비 2주 동안 이렇게 모아둔 고난이도 문제만 집중해서 공부한다. 장군은 “내신 대비는 시험 직전 2주 반짝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평소에 꾸준하게 해야 한다”며 “평소엔 취약한 개념과 문제유형을 찾고 시험 직전에 이런 부분만 모아 집중적으로 공략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수학 오답노트는 따로 만들지는 않는다. 이렇게 수차례 반복하면 굳이 외우려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대부분의 문제 유형과 공략법이 파악된다.
 

장호근군의 하루 계획표



수학에서 마무리 ‘한 점’이 고난이도 문제라면 국어·영어는 교과서다. 여느 전교 1등처럼 장군도 “교과서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장군이 교과서를 활용하는 방법은 단권화다. 시험 직전에 교과서만 보면 충분할 수 있도록 교과서 안에 모든 정보를 담는다. 장군은 따로 노트를 쓰지 않고 교과서에 필기를 한다. 필기한 내용과 자습서를 비교해 수업 중엔 다루지 않았던 내용을 찾고 교과서에 옮겨 적는다. 교과서 지문을 다룬 문제를 푼 뒤에는 교과서의 해당 부분에 표시를 하고 핵심 개념이 문제에 어떻게 출제됐는지 유형을 적어 넣는다. 장군은 “문제로 출제됐던 부분을 표시해두면 교과서를 반복해 읽을 때 어떤 부분을 더 집중해 봐야 하는지 금방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수업 끝나자마자 3분 복습, 오래 기억돼

장군의 이런 계획성과 실천력은 어머니 김명숙(49·서울 공릉동)씨의 영향이 컸다. 김씨는 장군이 어릴 때부터 딱 2가지를 강조했다고 한다. 매일 계획 세우고 실천하기와 국어·영어·수학은 조금씩이라도 매일 하기다. 김씨는 “계획을 세우면 반드시 실천하도록 했다”며 “시간이 부족해 당일에 못 끝내면 다음 날 일찍 일어나서라도 마무리하도록 습관을 들였다”고 기억했다. 장군이 초등학교 때는 어머니 김씨가 하루 계획표를 짜줬다. 이때 꼭 아이의 동의를 구했다. 무조건 ‘해라’가 아니라 항상 계획한 분량이 적당한지를 물었다. “억지로 시키지 않고 아이한테 동의를 구했던 방법이 부담감을 줄이고 공부에 흥미를 갖게 해준 것 같아요.” 장군은 “어릴 때부터 매일 이렇게 하다 보니 이제는 완전히 습관이 됐다”며 “습관이 잡힌 덕에 공부량을 점점 늘려가는 것이 부담스럽지 않았다”고 말했다. 

 장군이 습관적으로 매일 하는 일은 계획표 세워 실천하기 외에도 한 가지가 더 있다. 매 수업이 끝날 때마다 쉬는 시간에 필기를 다시 읽어보고 수업을 리뷰해보는 거다. “많은 시간을 쏟을 필요는 없어요. 2~3분 정도면 충분해요. 한 번 더 읽어보는 것만으로도 기억에 오래 남아서 다음 수업 때 지난 수업 내용을 떠올리기도 쉬워요. 꾸준하게 하면 정말 큰 효과를 볼 수 있죠.”

 장군은 공부할 때 특히 개념 이해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과목마다 특성이 있다. 장군은 “국어·영어·생물·지구과학은 교과서를 반복해 읽는 것이 가장 좋고, 복잡한 수식과 공식이 많은 수학·물리·화학은 문제를 많이 풀어봐야 한다”고 말했다. 수학·물리·화학 문제를 풀 땐 원칙이 있다. 문제를 푸는 데만 그치지 않고 문제 검토를 꼼꼼하게 한다. “문제를 맞췄다고 그냥 넘어가면 안 돼요. 맞췄다면 정확하게 맞춘 건지, 혹 풀이 과정에 실수는 없었는지를 꼼꼼하게 확인해봐야 해요. 문제를 푸는 시간만큼 문제를 검토하는 데도 시간을 많이 쏟아요.”

학원은 그때그때 부족한 공부 위해 이용
 

장군은 학원에 대해선 유연하고 전략적인 태도를 보였다. 장군은 “학원을 부정적으로 볼 필요도 무조건 매달릴 필요도 없다고 생각한다”며 “학원은 그때그때 필요한 부분만 이용하면 된다”고 말했다. 장군은 영어 학원을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중학교 3학년 때는 고등학교 진학 전에 영어 실력을 쌓고 싶어서 수준 높은 텝스 공부를 했어요. 그리고 지금은 독해 공부를 더 하고 싶어서 일부러 고3 수능대비반에서 수업을 들어요. 이렇게 그때그때 필요한 부분을 찾아 학원을 이용하면 만족도도 높고 효과도 높은 것 같아요.” 단, 한 가지 원칙은 반드시 지킨다. 학원 수업 시간만큼 혼자 공부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한다. 장군은 평일엔 화요일에만 영어 학원을 가고 수학·국어 학원은 주말에 몰아서 다닌다. 자율학습 시간 확보를 위해 주말도 평일과 똑같이 6시에 일어난다. 학원 숙제는 학원을 다녀온 당일 밤에 가급적 마무리 한다. 다음 날 자율학습에 영향을 끼치지 않기 위해서다. 장군은 “아무리 좋은 학원을 다녀도 충분히 내 것으로 만들지 못하면 소용없다”며 “마무리가 중요한 내년(고3)에는 학원을 줄이고 자율학습 시간을 더 많이 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책상 위 교재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글=정현진 기자 Jeong.hyeonjin@joongang.co.kr 
사진=김경록 기자 kimkr8486@joongang.co.kr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2,367건 780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밴쿠버 트랜스링크, 보상 계획 발표
  당일 사용한 티켓 제출하면 새 티켓 받아             지난 5월 22일, 화재로 인한 엑스포 라인 서비스 중단으로 밴쿠버 다운타운으로 향하던 많은 사람들이 출근길 혼란과 불편을 겪은 바
06-02
밴쿠버 트랜스링크, 보상 계획 발표
  당일 사용한 티켓 제출하면 새 티켓 받아             지난 5월 22일, 화재로 인한 엑스포 라인 서비스 중단으로 밴쿠버 다운타운으로 향하던 많은 사람들이 출근길 혼란과 불편을 겪은 바
06-02
밴쿠버 다운타운, 자전거 주차공간 더 생길 예정
  벤쿠버 시 의회가 다운타운에 자전거 도로는 많지만 그에 걸맞는 자전거 주차공간이 부족하다며, 약 1천 개의 새 주차공간을 설치 할 예정이다.    이 안건을 제시한 조지 어플리크(Geo
06-01
밴쿠버 다운타운, 자전거 주차공간 더 생길 예정
  벤쿠버 시 의회가 다운타운에 자전거 도로는 많지만 그에 걸맞는 자전거 주차공간이 부족하다며, 약 1천 개의 새 주차공간을 설치 할 예정이다.    이 안건을 제시한 조지 어플리크(Geo
06-01
캐나다 앨버타 주, 맨톨향 담배 금지시킨다
지난 31일(일), 앨버타 주가 맨톨향(박하향) 담배(Menthol tobacco)를 9월 30일부터 판매 금지시키겠다고 발표했다. 보건복지부 장관 사라 호프맨((Sarah Hoffman)은 해당 담배의 향이 청소년 흡연을 부추기고 있다고 설명하며, 이 같은 결정
06-01
밴쿠버 여름 알리는 잔디 물주기, 규정 준수해야
  더위 예상 올 여름, 특히 주의해야   메트로 밴쿠버 지역에서 매년 여름 실시되는 ‘잔디 물주기 제한’ 규정이 돌아왔다. 지난 1일(월)부터 오는 9월 30일까지 유효하다. 비가 많이 오는 밴쿠버이지만, 여름
06-01
밴쿠버 여름 알리는 잔디 물주기, 규정 준수해야
  더위 예상 올 여름, 특히 주의해야   메트로 밴쿠버 지역에서 매년 여름 실시되는 ‘잔디 물주기 제한’ 규정이 돌아왔다. 지난 1일(월)부터 오는 9월 30일까지 유효하다. 비가 많이 오는 밴쿠버이지만, 여름
06-01
밴쿠버 99번 고속도로 사고, 싸이클러 포함 3명 사망 1명 부상
지난 5월 31일(일), 휘슬러에 인접한 펨버튼(Pemberton)을 지나는 99번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로 3명이 숨지고 1명이 중상을 입었다.   자동차가 중앙선을 침범해 두 대의 자전거를 친 사고로 싸이클러 2명과 차량 동승자
06-01
밴쿠버 99번 고속도로 사고, 싸이클러 포함 3명 사망 1명 부상
지난 5월 31일(일), 휘슬러에 인접한 펨버튼(Pemberton)을 지나는 99번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로 3명이 숨지고 1명이 중상을 입었다.   자동차가 중앙선을 침범해 두 대의 자전거를 친 사고로 싸이클러 2명과 차량 동승자
06-01
밴쿠버 대중교통 주민투표 결과, 6월 말에 발표될 듯
  "총선보다 적은 인력 배치로 개표 오래 걸려"              지난 5월 29일(금)에 0.5% 
06-01
밴쿠버 대중교통 주민투표 결과, 6월 말에 발표될 듯
  "총선보다 적은 인력 배치로 개표 오래 걸려"              지난 5월 29일(금)에 0.5% 
06-01
밴쿠버 캐나다에서 가장 살기좋은 도시, 노스밴 9위 - 밴쿠버 46위
  온타리오와 퀘벡의 중소도시 높은 평가, BC주는 이민자 정착하기 좋은 지역              머니센스(Money Sense)
06-01
밴쿠버 캐나다에서 가장 살기좋은 도시, 노스밴 9위 - 밴쿠버 46위
  온타리오와 퀘벡의 중소도시 높은 평가, BC주는 이민자 정착하기 좋은 지역              머니센스(Money Sense)
06-01
밴쿠버 여론조사, 답변자 3/4이 '빈 집 세금에 동의'
  젊은 층 동의 비율 높아, 내 집 소유자 입장은 다소 갈려   날로 높아지는 밴쿠버 집 값에 대한 정치권의 적극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1일(월) 발표된 여론조사 결과에서 답변자 3/4이 ‘빈 집에 대한 세금
06-01
캐나다 캐나다 ‘친 이민 국가’ 명성 퇴색
가족초청 이민을 규제하고 시민권 취득 조건을 강화한 연방보수당정부의 정책에 따라 캐나다가 이민자에 인색해 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유럽 민간 연구단체인 이주정책그룹(MPG)이 27일 발표한 ‘2015 이주자통합정책지수(MIPEX)’
06-01
밴쿠버 핀 도넬리 연방하원의원, 한인 사회와 간담회 가져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핀 의원(좌측 첫번째)과 돈 의원(좌측 두번째)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올해 말에 예정된 연방 총선을 앞두고 한인 사회를 향한 정치인들이 발걸음이 늘고 있다. 핀 도넬리(Fin Donnelly, 뉴 웨스트민스터-코퀴틀람-포트 무
05-29
밴쿠버 핀 도넬리 연방하원의원, 한인 사회와 간담회 가져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핀 의원(좌측 첫번째)과 돈 의원(좌측 두번째)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올해 말에 예정된 연방 총선을 앞두고 한인 사회를 향한 정치인들이 발걸음이 늘고 있다. 핀 도넬리(Fin Donnelly, 뉴 웨스트민스터-코퀴틀람-포트 무
05-29
밴쿠버 '캐나다 데이 폭탄 테러' 공판 마무리 단계
  형사 측 변호사, "동정심에 흔들리지 말라" 당부              지난 2013년, ‘캐나다 데이 테러
05-29
밴쿠버 엘 니뇨로 무더운 올 여름, 캠프파이어 주의해야
예년보다 무더운 여름을 앞두고 BC 주 곳곳에서 산불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 캠핑 시즌이 시작되었으나, BC주 전체에 캠프파이어 금지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현재 이 금지령은 철회된 상태이다. 이럴 때 일수록 요구되는 것이 바로 철저한 준비다
05-29
밴쿠버 엘 니뇨로 무더운 올 여름, 캠프파이어 주의해야
예년보다 무더운 여름을 앞두고 BC 주 곳곳에서 산불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 캠핑 시즌이 시작되었으나, BC주 전체에 캠프파이어 금지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현재 이 금지령은 철회된 상태이다. 이럴 때 일수록 요구되는 것이 바로 철저한 준비다
05-29
밴쿠버 교통 세금 주민투표 마무리, 양 진영 모두 "긍정적"
  "투표 기간 너무 길었다" VS "정부 결정에 맡겼어야 했다"   지난 29일(금), 0.5%의 교통체증 개선 소비세 시행 여부를 결정 짓는 대중교통 주민투표(Transit Refere
05-29
밴쿠버 교통 세금 주민투표 마무리, 양 진영 모두 "긍정적"
  "투표 기간 너무 길었다" VS "정부 결정에 맡겼어야 했다"   지난 29일(금), 0.5%의 교통체증 개선 소비세 시행 여부를 결정 짓는 대중교통 주민투표(Transit Refere
05-29
밴쿠버 레이크 보건부 장관, '담배 약국 판매 금지 계획 없어'
  BC 주의회가 올 봄 시즌을 마무리짓고 있는 가운데, 테리 레이크(Terry Lake) 보건부 장관(Health Minister)이 “약국에서의 담배 판매를 금지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BC 주는 캐나다에서 유일하게 약
05-29
캐나다 앨버타 주, 추가 교육 예산 1억 3백만 달러 편성
(사진= 앨버타 주 청사) 앨버타 주의 새 주지사로 선출된 레이첼 노슬리(Rachel Notley, NDP)가 주 교육예산으로 1억 3백만 달러를 추가 투입했다.    이번에 편성된 예산은 지난 정부에서 삭
05-28
밴쿠버 야외 활동 늘어나는 봄, 부상 신고도 UP !
  "준비 운동 철저히 하고 무리하게 운동 운동 하지 말아야"   맑고 따뜻해진 날씨에 하이킹 등 야외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운동하면서 발생하는 부상도 증가하는 등 교민들의 요구되고 있
05-2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