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는 영원하다? 금값 치솟는데 다이아값 하락, 왜 > 채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채널

기타 | 다이아는 영원하다? 금값 치솟는데 다이아값 하락, 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중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5-30 12:33 조회84회 댓글0건

본문

박경민 기자

박경민 기자

최근 다이아몬드 가격이 하락세를 그리며 ‘다이아몬드는 영원하다’는 말이 무색해지는 모양새다. 전 세계적인 원자재, 광물 가격 인플레이션이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달 온스당 2400달러를 돌파하며 고공행진 중인 금값과 대조적이다.

국제다이아몬드거래소(IDEX)에 따르면 30일 기준 다이아몬드 가격지수는 105.94로 1년 전(123.46)에 비해 약 14% 내렸다. 지난 2022년 3월 사상 최고치인 158.69(2021년=100)과 비교하면 30% 이상 하락한 수치다. 반면 중국에서의 수요 급증, 안전자산 선호 등의 영향으로 금값은 내려올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30일 기준 트로이 온스(T.oz)당 금 가격은 2333.8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약 20% 올랐다.

공급 측면에서 다이아몬드 가격을 끌어내린 건 ‘랩그로운(Laboratory Grown) 다이아몬드’의 등장이다. 랩 다이아몬드는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지는 다이아몬드로, 가격은 천연 다이아몬드의 5분의 1 수준이다. 하지만 성분·굴절률·경도 등 물리·화학적 특성이 천연 다이아몬드와 큰 차이가 없다. 중상급 기준 천연 다이아몬드는 1캐럿에 1500만원 수준이지만 랩 다이아몬드는 약 300만원 정도다. 또 천연 다이아몬드 채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 파괴, 노동 착취 등 윤리적 문제에서도 자유롭다.

랩 다이아몬드 전문 브랜드인 알로드는 “5월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 500% 늘었다”고 밝혔다. 랩 다이아몬드 시장 규모는 지난해 80억달러(11조원) 규모에서 2030년엔 499억달러(68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 종로구 KDT다이아몬드 실험실에서 랩그로운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지고 있다. 최선을 기자

서울 종로구 KDT다이아몬드 실험실에서 랩그로운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지고 있다. 최선을 기자

수요 측면에서는 중국인들의 다이아몬드 선호도가 낮아진 것이 가격 하락세를 이끌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다이아몬드 애널리스트인 폴 짐니스키의 추정을 인용해 “중국 본토, 홍콩·마카오·대만 등의 다이아몬드 시장이 2021년 137억 달러(약 19조원)에서 지난해 128억 달러(약 17조5000억원)로 2년 새 약 7% 감소했다”고 전했다. 프랑스 나틱시스은행 게리 응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사람들이 부를 보존하기 위해 금 투자를 늘리고 있고 대신 다이아몬드 구매를 줄이고 있다”면서 “금은 소비와 투자의 이중성을 지녔으며, 다이아몬드보다 재판매가 수월하고 가격도 투명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결혼반지를 포기하거나 결혼 자체를 포기하는 연인들이 늘어난 것이 다이아몬드 수요를 감소시켰다는 주장도 있다. 또 코로나19 시기 외부 활동에 제한을 받던 사람들이 명품이나 보석에 소비하다가 코로나19가 잦아든 이후 여가 활동에 집중하면서 다이아몬드 수요가 감소, 가격이 내려갔다는 해석도 나온다.

랩 다이아몬드 인기와 소비자 수요 감소 등의 여파로 세계적인 영국의 다이아몬드 회사 ‘드비어스(De Beers)’는 매각 위기에 놓여 있다. 이코노미스트 보도에 따르면 한때 전 세계 다이아몬드 생산량의 90%를 유통할 정도로 독점적 지위를 누리던 드비어스는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3분의 1 이상 감소하며 실적 부진을 피하지 못했다. 포브스는 “인공 다이아몬드가 인기를 끌 동안 천연 다이아몬드를 전문으로 하는 회사들은 전통적인 다이아몬드의 수요 악화, 공급 과잉으로 인한 가격 하락으로 흔들리고 있다”고 짚었다.

이아미 기자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채널 목록

Total 4,296건 2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