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현미는 음인의 곡류입니다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건강의학 |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현미는 음인의 곡류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6-12-08 11:56 조회6,248회 댓글0건

본문

 

신체 각 장기가 조화롭게 상응할 때 건강 유지할 수 있어

몸에서 보내는 신호, 평소에 잘 관찰하는 것이 중요

 

 

 

뇌는 인체 각부 조직과 기관의 질서를 유지하고 내외 변화에 대해 적절히 통제하고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인체의 중심'이라 할 수 있다. 뇌를 국가로 치자면 元首 (원수)요 수뇌부로 보는 것이다. 반면에 동양의학에서는 예로부터 지금까지 오장육부를 생명 유지와 활동의 핵심으로 본다. 뇌와 오장 (간, 심, 비, 폐, 신), 어느 것이 더 중요하고 우위에 있을까?

어떻게 보면 질문 자체가 愚問 (우문)이다. 비교할 것을 가지고 비교해야지, 뇌나 오장 중에서 하나라도 중요하지 않거나 없어도 되는 것은 없다. 뇌가 죽으면 사람도 죽고 (물론 뇌가 죽어도 인공적으로 호흡을 하고 영양물질을 인체에 공급함으로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흔히 뇌사 상태라 부르는 경우다) 오장에서 어느 하나가 죽으면 바로 생명은 소멸한다. ‘뇌사’와 달리 ‘오장사’라고 하는 말은 없고 장기 하나가 죽으면 바로 생명이 소진된다. 그렇다고 해서 오장을 뇌의 우위에 둘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핵심은 뇌와 오장과의 상관관계다. 뇌와 오장은 상호 신호를 주고 받는다. (물론 오장 사이에서도 신호가 오고 간다.) 뇌는 오장의 기능을 조절하고 통제하며, 그에 따라 오장은 그 역할을 수행함으로 생명을 유지하고 생명활동을 한다. 오장이나 인체 각 부가 뇌의 신호와 통제를 잘 따른다면 인체는 원활히 제 기능을 수행해 ‘건강’이 유지되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뇌와 오장이 따로따로 놀 때다. 무슨 말인가 하면, 뇌에서 오장에게 그 역할 조절하는 신호를 보낼 때, 오장이 그 신호에 따라 움직이지 않고 나름대로 행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장이 비면 뇌에 신호를 보내고 뇌는 ‘당신은 허기져 있으니 음식을 받아들이라’라는 신호를 다시 보내고, 인체는 음식을 받아들인다. 위에 어느 정도 음식이 차면 뇌에서 소위 ‘stop’사인을 보내는데, 문제는 그 신호 (명령)를 무시하고 계속해서 음식이 들어오는 것이다.

 

간은 어떨까. 간의 여러 기능 중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 기능이 방어와 해독이다. 음식물을 통해 장내에 들어온 각종 독물질을 간으로 이송한 후 무독화하며 해독물질을 중화 배설케 한다. 그런데 간의 그러한 기능만 의지하여 계속해서 인체에 독소가 들어오고 쌓이면 간이 “나는 한계에 도달하고 있습니다!”라고 뇌에 신호를 보낸다. 뇌는 당연히 이를 감지하고 역시 한 두가지 혹은 여러가지 몸의 이상반응을 보임으로 (피로, 소화불량, 불쾌한 변, 피부 문제 등) ‘No more !’라고 사인을 보낸다. 그러면 당연히 독이 될만한 물질 (음식, 술, 담배, 약, 좋지 못한 음료 등등)을 절제하고 스트레스(stress)에 대항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 빨리 벗어나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독이 될수 있는 물질을 받아들이고 스트레스 영향권 내에 있으면 이것이 건강에서의 탈선, 질병인 것이다. 오장이 뇌의 조절신호를 무시한다고 할 수 있을까? 혹은 그 역으로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문제는 뇌와 몸 (오장육부)의 사인이 맞지 않는다는데 있다. 조금 더 정확히 말한다면 몸이 뇌의 신호를 무시하는데 있다. 몸이 이상 반응을 보이는 것은 적지 않는 경우 뇌의 신호를 따르지 않기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라 할것이다.    

 

지난 주, ‘과식’만 하면 가슴 쪽이 무겁고 아프며 변이 막혔었는데, 소식을 하면서 몸이 편하다는 소양인 (토양인) 환자를 진료한 적이 있다. 뇌에서의 신호 ‘enough’를 무시하고 계속해서 음식이 들어오면 심장이 큰 토양체질의 심장은 더 과항되어 심장 부위에 압박감을 초래한다. 대장이 작은 이 체질은 과식으로 인해 인체의 물이 더 고갈되어 대장의 수분이 부족하여 변비를 일으킨다. 소양인 체질이 심장(가슴) 부위에 압박감이 있거나 변이 막히면 ‘험증’에 속한다. 반드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심장으로 흐르는 혈관이 막히는 협심증, 심근경색 그리고 뇌의 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는 중풍에 까지 이를 수 있다. 소양인은 비위가 크기에 일반적으로 소화가 왕성하고 과식,폭식을 할 수 있는데, 과식, 폭식은 비위를 과항시키고 임계점에 오르면 심장에 무리가 가고 신장의 기능은 떨어진다. 필자의 한마디, “참 잘 하셨습니다!” 입과 배에서 ‘맛’과 ‘포만감’은 좀 덜 느끼더라도 건강편에서 소식이 과식보다 열 번, 아니 백 번 낫다.

 

지난 주 당뇨가 경계선에 있으면서 그 외 두어가지 건강문제가 있는 환자와 음식에 대해 논하다가 ‘현미’에 딱 걸린 적이 있었다. 누가 현미가 혈당 조절에 좋다고 하였을까? 100명의 당뇨병 환자가 있다고 할 때, 현미밥을 먹었더니 절반은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되고 나머지 반은 좋은 줄 모르고 혹은 더 좋지 않다고 하면 현미가 혈당 조절에 좋다고 할 수 있을까? 세상 이치가 그렇다. 절대적인 것은 없다는 것이. (종교로 들어가면 절대적인 것이 있고, 그렇게 말해도 옳다. 그러나 종교 이외 세상에는 절대적인 것이 없다. 이는 필자의 소견일 뿐만 아니라 소위 내노라하는 성인, 哲人(철인)들의 가르침이기도 하다.)

세상천지, 절대적인 것이 없는데, 현미가 모든 당뇨병 환자와 혈당 조절을 원하는 사람 모두에게 좋다고 하면 당연히 어불성설이다. 환자는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편이며 피가 탁함을 인식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미가 피를 맑게하는데 도움이 될까하여 해 오고 있다는 것이다. 체질은 금음인 (태양인).

사람의 뇌가 어떤 음식이 이롭고 해로운 것을 가려낼 수 있는 재주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뇌는 오장육부에 신호를 보낸다. 몸에 이롭지 않은 것이 들어오면 “여보세요, 이것은 맞지 않으니 stop!” 어떻게? 증상을 통해서. 그러기에 몸의 반응에 조금은 민감할 필요가 있다. 소화가 안되고, 변이 좋지 못하고 기분이 불쾌하고 피부가 나빠지며 소변이 잣거나 소대변에서 좋지 않은 냄새가 나는 등등이 보이면 소위 ‘병’으로 진단이 되지 않더라도 뇌가 보내는 사인이라고 인식하고 특히 음식에 조심해야 하는 것이다. 
영양소만 고려하면 현미가 백미보다 더 낫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세상의 모든 음식이 분석 가능한 영양소로만 평가되는 것은 아니다. 동서를 통해 명약이라 알려진 인삼도 사람에 따라 독과 같은 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것처럼현미도 누구에게나 좋은 곡류가 아니라는 것을 유념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필자는 환자에게 현미를 끊을 것을 권했다. 세상 천지 좋은 곡류, 대용할 곡류가 좀 많은가. “백미에 보리 조금, 팥 조금 그리고 메밀과 녹두를 적당히 넣어 잡숴 보세요. 콩은 말고요.” 금음인에게는 이 편이 훨씬 낫다. 그러면 피가맑아진다. 그러기에 현미보다 열 번 혹은 백 번 낫다고 할 것이다.

현미(찹쌀)가 유익한 체질은 소음인과 태음인이다. 소음인은 날 때부터 위를 작게 타고 난다. 그 크기도 작고 기능이 작다는 뜻이다. 그리고 위장이 냉하여 냉한 음식에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소음인이 과식하는 습관이 있고 여기에 차가운 속성의 음식을 가까이 하면 거의 틀림없이 위장 장애가 나타난다. 작고 무력한 위에 돌덩어리가 들어 앉은 것과 마찬가지지 얼마나 부담스럽겠는가. 심해지면 위하수로 진행되어 만성 위무력증으로 고생한다. 이러한 소음인에게 가장 적합한 곡류가 현미 (찹쌀)다.

반면에 태양인은 선천적으로 열을 안고 태어난다. 위장의 열로 인해 속성적으로 뜨거운 음식이 들어오면 부담스럽기가 그지 없다. 소화불량과 함께 가슴 쪽으로 상열감이 솟아오른다. 대개는 피부 쪽으로 문제가 생긴다. 아울러 대변이 좋지 못하고 대변 후 잔변감으로 불쾌한 경우도 적지 않다.

현미가, 약한 위장의 소화력을 돕는다는 면에서는 틀리지 않지만 날 때부터 위장을 크게 타고 나고 또한 위열을 지니고 있는 소양인과 태양인에는 더운 속성을 가지고 있는 현미가 맞지 않는다. 이러한 소양인과 태양인에는 곡류로보리와 팥이 최적이다.

‘조율.’ 지난 주 유투브(Y-tube)에서 들은 노래다. 노래 제목이 참 고상하고 멋있다. 조율이라. 무엇을 피아노의 음정을? 그 정도의 조율에 ‘조율’이란 품격있는 말을 쓴다는 것이 그 낱말을 너무 가볍게 쓴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 어디에? 뇌와 오장의 조율이면 좀 어떨까. 뇌와 오장이 서로의 신호를 잘 이해하고 그대로 수행하면 피가 맑아지고 몸이 따뜻해지고 그러면 몸에 기력이 붙고 마음이 즐거워진다. ‘조율’이 그만큼 중요한 것이다. 세상 이치가 이렇다. 자연과 인간의 조율은 어떨까. 그런데 ‘조율’이란 노래 가사에 하늘이 등장한다. 하늘과 인간의 조율이라. 그 스케일이 너무 웅장하고 우주적이라 좀 더 깊이 숙고해야 할 것 같다. 그런데 한 가지가 떠오른다. 하늘과 인간의 조율을 옛날 어떤 성현이 ‘인, 의,예, 지’로 대변한 적이 있다. 하늘이 사람에게 부여한 것이 四端(사단), 곧 仁義禮智다. 사단에 대한 필자의 소견은 ‘정의와 자비’다. 그런데 사람 안에 내재되어 있는 '인의예지'가 지금 시대에 얼마만큼 실천되고 있을까. 그래서 그런 노래를 지은 것일까. 사람안에 깊이 자리잡고 있는 '인의예지'가 드러남이 약하기에 ‘하늘님’께 조율 좀 해달라고 기도하는 마음으로. 태평양 너머의 땅에 정의와 자비의 조율이 강물과 같이 흐를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1,837건 8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37 변호사 'Sorry', 법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을까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5740
1136 건강의학 [ 체질 칼럼] 남성도 갱년기가 있어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4222
1135 부동산 [부동산 칼럼] 밴쿠버 주택 가격 전망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30 3676
1134 부동산 [부동산 칼럼] "BC 부동산 취득세율 조정 필요"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30 3443
1133 부동산 난방기 에어 필터 교체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30 5918
1132 이민 [이민 칼럼] LMIA심사와 고용주 조사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30 6872
1131 부동산 정부의 부동산시장 건전성 강화 대책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4252
1130 건강의학 [체질 칼럼] 김소월과 이육사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4222
1129 부동산 [주택관리] 각종 난방의 장단점, 과연 무엇일까 ?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6738
1128 건강의학 [건강하게 삽시다] 천식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3121
1127 부동산 밴쿠버 주택시장 '찬바람'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3238
1126 변호사 BC주의 성인 연령 기준은 어떨까 ?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5694
1125 변호사 비용과 시간 절감되는 대안적 분쟁 해결방법, 무엇이 있을까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5915
1124 건강의학 [체질 칼럼] 노래가 잘 안되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4116
1123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3471
1122 부동산 [조동욱 부동산 칼럼] 밴쿠버 지역의 2/4분기 상업용 부동산 매매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3954
1121 부동산 [이용욱 부동산 칼럼] 밴쿠버 집값이 오르는 6가지 이유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4527
1120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나는 우리 집 핸디 맨 - 가스 벽난로 점화 방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8602
1119 이민 [최주찬 이민 칼럼] 주정부이민 선발점수 대폭하락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7 4743
1118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허리가 아파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4797
1117 부동산 [부동산 칼럼]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금리 동결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3867
1116 변호사 [법률 여행] 계약서 작성, 쉼표 하나라도 꼼꼼히 챙겨햐 하는 이유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5569
1115 금융 투자 자산관리와 연말 절세전략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4740
1114 부동산 [부동산 칼럼] 신규분양 아파트 매입시 점검할 사항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4255
1113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 맨 - 온수 탱크 (Hot Water Heating Tank) 안내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8537
1112 이민 [이민 칼럼] 영주권 갱신과 여행자 증명서 (Travel Document) 발급 애로사항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4 14751
1111 건강의학 커피, 하루에 한 잔만 하면 어떨까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9660
1110 변호사 [법률 여행] 고용 기준법 보호 받는 범위, 어디까지 ?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5343
1109 부동산 [부동산 칼럼] 떨어지는 낙엽처럼 '우수수'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3704
1108 부동산 [부동산 칼럼] BC주의 주택 시장 전망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4517
1107 부동산 세탁 건조기(Cloth Dryer) 닥트의 응축 수(Condensation) 문제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4045
1106 이민 [이민 칼럼] 부모 초청이민 준비 시작해야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7860
1105 부동산 마리화나(Marijuana Growing)를 재배했던 집 구매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4164
1104 변호사 이혼시 재산과 빚 분할에 관한 법률 상식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6076
1103 건강의학 “天心惡私也, 人心惡慾也” (천심오사야 인심오욕야)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3365
1102 건강의학 심장 부정맥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5315
1101 부동산 스트라타 보험 - 물이 넘쳐 아래층에 손실을 입힌 경우 수리비는 누가?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5968
1100 부동산 밴쿠버 주택시장, '두고 보자'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3208
1099 이민 시민권 인터뷰 사례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7268
1098 건강의학 責心責氣(책심책기) 마음과 행동을 책한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4100
1097 건강의학 심방세동(心房細動, Atrial Fibrillation)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4111
1096 변호사 가정에서 일어나는 학대 (domestic abuse)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 4580
1095 부동산 [부동산칼럼] 단독 주택시장 '바이어 마켓'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3589
1094 부동산 [주택관리]부엌 싱크대 배수관 막힘 보수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7979
1093 부동산 (한승탁-집) 전기 상식 및 판넬 브레이커 이름표(Panel Breaker Name Plate)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5633
1092 부동산 (조동욱-부동산) UBC 인근 지역의 개발 계획 확정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3897
1091 부동산 (이용욱-부동산) 10년 주기 '돌고 도는 부동산 시장'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4361
1090 부동산 (한승탁-집) 연소가스 누출 및 역류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4280
1089 금융 국민연금 일시 상환시 소득신고 김순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4288
1088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감자탕과 부대찌게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4588
1087 변호사 [문변과 함께 떠나는 법률 여행] 캐나다 법률, 살인 사건 어떻게 처벌할까 ?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5955
1086 부동산 [이용욱 부동산 칼럼] 10년 주기 '돌고 도는 부동산 시장'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3772
1085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나는 우리 집 핸디 맨 - 집의 구조 및 기기에 의한 소음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4339
1084 부동산 [최재동 부동산 칼럼] B.C주 주거용 부동산 2017년 전망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4671
1083 이민 [최주찬 이민 칼럼] 새 시민권법 연내 처리될 가능성 높아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 5292
1082 변호사 [문변과 함께 떠나는 법률 여행] BC주 부동산 취득세,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4968
1081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식도암(Esophageal cancer)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3416
열람중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현미는 음인의 곡류입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6249
1079 부동산 [조동욱 부동산 칼럼] 부동산 임대, 알아야 할 사항 들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 4439
1078 부동산 [이용욱 부동산 칼럼] 시장은 살아 있다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 3683
1077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나는 우리 집 핸디 맨 - 부엌 씽크대 음식물 분쇄기 고장 해결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 8452
1076 이민 [이민 칼럼] LMIA, 노동허가서의 미래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4167
1075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사회가 원하는 영주권자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4070
1074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한의학이 과학입니까?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4443
1073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위장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4192
1072 부동산 [이용욱 부동산 칼럼] 연말 연시를 주택매매 기회로 !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3653
1071 부동산 [최재동 부동산 칼럼] 부동산 경기, 지난 10년 BC주 평균 값 근접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4205
1070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나는 우리 집 핸디 맨 - 겨울철 외부 수도 동파 방지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5762
1069 이민 [이민 칼럼] 이민자 위한 제도 변경, 현실화 되고 있어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4468
1068 금융 [김경태 박사의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인생 설계] 2017년 캐나다 경제 전망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4089
1067 금융 [박형수 기자의 '학창 시절'] 지능지수보다 역경지수를 높여라 박경홍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3540
1066 부동산 [조동욱 부동산 칼럼] 3/4 분기 밴쿠버 상업용 부동산 매매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5237
1065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나는 우리 집 핸디 맨 - 부엌 오븐 배기 팬의 오해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4179
1064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나는 우리 집 핸디 맨 - 실내 카펫 주름 펴기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5993
1063 부동산 [최재동 부동산 칼럼] 부동산 한해를 돌아보며,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925
1062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시작과 끝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4418
1061 이민 [이민 칼럼] 부모,배우자 초청서류 양식과 접수방법 변경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0 4378
1060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식도(食道, Esophagus - 1)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3436
1059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낚지 볶음이 아니라 낚지 무침이네요 !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3822
1058 부동산 [이용욱 부동산 칼럼]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3317
1057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나는 우리 집 핸디 맨 - 정화조 관리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5431
1056 부동산 [조동욱 부동산 칼럼] 동절기, 가정 에너지 절약 방법들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4091
1055 이민 [이민 칼럼] 취업비자 영주권 취득 쉬워져야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9 6972
1054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세종대왕을 기리며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4568
1053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식도(食道, Esophagus - 2)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4260
1052 부동산 [최재동 부동산 칼럼] 리스팅 체크 리스트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3 3682
1051 부동산 [이용욱 부동산 칼럼] "정치냐? 정책이냐?"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3 4179
1050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나는 우리 집 핸디 맨 - 정화조(Septic Tank) 관리 (2)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3 4991
1049 이민 [이민 칼럼] 전자 여행 허가서 (Electronic Travel Authorization) 시행과 여파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6 4292
1048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위암(Stomach Cancer, Gastric Cancer)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4309
1047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위장이 약하다고해서 꼭 소음인은 아닙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5473
1046 부동산 [이용욱 부동산 칼럼] "문제는 금리다"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0 3568
1045 부동산 [조동욱 부동산 칼럼] 재산세 납부 연기 프로그램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0 4673
1044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욕조 샤워 수도 계통 문제 대처(1)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0 4081
1043 금융 [김경태 박사의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인생 설계] 안전한 자산증식과 상속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3 3726
1042 이민 [이민 칼럼] 새 이민부 장관에 거는 기대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3 5087
1041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소식(小食)하세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4103
1040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소화성 궤양(1)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3858
1039 부동산 [최재동 부동산 칼럼] 커머셜 부동산의 가치 평가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6595
1038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샤워기 수도 카트리지 교체 방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579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