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질칼럼] 술(酒) 조심하세요!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건강의학 | [체질칼럼] 술(酒) 조심하세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6-04-11 14:26 조회2,672회 댓글0건

본문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술 많이 마시면 소뇌 위축시켜 평형 기능 상실

 

캐나다로 이민와서 공부좀 더 해 보겠다고 이 곳 college에서 고등학교 3년 과정을 이수하고 토플 시험을 거쳐 SFU에 지원을 했더니, 학교에서 마치 '애썼다!'는 듯이 '와서 공부하라'는 통지서를 보내주자 한참을 감격한 적이 있었다. 

 

그 후 SFU를 무던히도 오르락 내리락했는데, 그 때마다 떨쳐지지 않았던 질문 한가지가 있었다.

 

"아니,이 곳 사람들 자연을 사랑하고 보호한다고 하더니, 왜 이 좋은 산을 깎아 민둥산을 만들어 학교를 세우고 그것도 부족한 지 아파트까지 끊임없이 짓는 것일까?" 

 

불만이면 불만이고, 그런데 어디 하소연 할 데도 없고. 이른 아침 혹은 오후 느지막하게 수업이 끝나고 차 세워 놓은데까지 터덕터덕 걸으면서  웬 궁시렁이 그렇게 나오는 지. 그래도 우중충한 기운이 물러나는 여름이면 산 위에서 만끽할 수 있는 깨끗하고 향기로운 내음 그리고 천지로 수놓인 아름다운 숲으로 인해 불만이 가라앉곤 하였는데, 지금은 많이 익숙해졌지만, 벤쿠버의 SFU는 필자같은 이에게는 하나의 미스테리다. 지난 주, 지금은 모교가 된 이 학교에 들렀다가 내려오면서 간판 하나를 목격하고는 눈을 의심할 정도로 경악을 하고 말았다.

 

"Liquor store, opening soon!" (주점 개점박두!) 

 

내가 너무 순진한 것인 지, 과민한 것인 지 혹은 세상 돌아가는 것에 무지한 것인지, 아니면 시를 관리하는 시청 인사들이 돈에 환장을 한 것인지, 온 종일 머리를 굴리고 또 굴리다가 밤늦게 들어온 아들에게 물어보니 별 대수롭지 않다는 듯이 한마디 건네온다.

 

"아빠, 도서관 앞에도 bar가 있어요!" 아, 그렇구나! 도서관 바로 앞에서도 술을 팔고 있었지! 그러면 학교 옆의 'liquor store'쯤 하나 생긴다고해서 무슨 이야기 거리가 될꼬. 대학교, 도서관 앞의 bar 그리고 바로 옆의 'liquor store,' 그리고 구만리 인생길을 준비하는 이만 오천 명 가량의 젊은이들. 피곤한 젊은 청춘, 잠시 목이라도 축이면서 쉬어가라는 당국과 학교 관계자들의 배려일까.

 

 

이제마의 사상의학에 술(酒)에 관한 구절이 있다. 색(色), 재물(財) 그리고 권력(權)과 함께 이들에 대한 강한 경계다. 

 

그는 "주색재권은 인간사에 늘 따라붙어 뗄래야 뗄수 없다. 너무 없어도 인생의 낙이 없고 곤궁하지만 지나치면 뼈를 녹이고 살을 좀먹으며 패가망신을 부른다. 마땅히 경계해야 한다."라고 말한다.

 

이제마는 세상 돌아가는 것을 등한시한 체 방구석에 틀어박혀 책만 읽은 너무 고지식한 庶生(서생)에 불과한 것일까. 그는 정말 술 한 잔의 맛을 모르고 또 시대가 어찌 돌아가는 지를 잘못 읽은 것일까. 성경 한 쪽에 다음과 같은 질문이 있음을 지난 주에 알게 되었다.

 

"누구에게 禍(화: 재앙)가 있는가? 누구에게 깊은 비애가 있는가? 누가 분쟁을 일으키는가? 누구에게 온갖 불평이 쏟아져 나오는가? 누가 입지 않아도 될 상처를 입는가? 누구의 얼굴에 피멍이 드는가?" 답은 술을 입에 가져가는 자이다. 

 

그 입에 들어갈 때는 비단결 같이 곱고 달콤하고 부드러운 것이 후에는 뱀같이 물어뜯고 독사의 독같이 창자를 끊어내며 혼돈의 심연에 떨어뜨리는 술. 아파도 아픔을 감지 못하게하고 그러면서 또 한잔을 들이키게 하는 술. "그것이 술"이라고 적고 있다.

 

술에 대해서 이제마 선생은 특히 태양인을 염두에 두고 있다. "태양인은 술을 조심하라." 이 때 술은 "외로워서 한 잔, 즐거워서 한 잔" 할 때의 술보다는, 술을 통한 자기도취요, 술을 통한 현실 도피를 의미한다. 태양인의 성정은 급박지심(急迫之心)이 강하여 마음먹은 바를 빨리 성취하고자 하는 조급함과 상황이 자기가 의도한 대로 진전이 되지 못하면 자기 감정을 억제하지 못하고 밖으로 노출시킴으로 남의 인격이나 체면을 고려하지 않는 인상을 사거나 해를 끼치게 된다. 

 

이런 까닭으로 상대방과 화합하지 못하고 독불장군이나 안하무인격으로 낙인찍히게 되고 그런 현실을 분개하여 술을 통해 현실을 잊고자 하는 것이다. 혹은 그와 반대로 매사가 자기 뜻대로 잘 풀릴 때도 자기 도취에 빠져 술을 찾는 식이다. 

 

문제는, 술과 함께 잠시 신세 타령을 하거나 상대방과 함께 기분을 고양시키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술로서 현실을 잊으려고 하는데서 따라붙는 나태함이다.

 

이제마 선생이 태양인을 향한 자기 극복의 첫 관건으로 근간(勤幹), 곧 부지런함을 역설한 것도 다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태양인이 현실이 자기 뜻대로 되지 않는다고해서 현실을 부정하거나 현실 밖으로 도피하려 하면서 나태함에 빠지지 않는 길은 몸을 부지런히 움직임에 있다. 생각에 머물지 말고 무엇이든 행동에 옮겨야 한다. 그러할 때 술에 대한 욕구를 조절할 수 있다.

 

태양인은 그 오장육부의 강약허실에서 간이 가장 허하다. 이 체질이 술을 끼고 살면 허한 간에 부담이 되어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다가 종시에는 뇌에 손상을 부를 수있다. 창의성이 두드러진 태양인이 급박한 자신의 성정을 극복하여 현실 도취나 현실 도피에 이르지 않게 하는 길은 부지런함에 있고, 마땅히 술을 경계해야 한다. 그러나 이제마와 성경이 경계한 술이 어찌 한 체질, 태양인에게만 해당되랴.

 

 

술에 관한 한, 필자에게 있어 어린 시절에 각인된 기억이나 인상이 그리 좋지 못하다.

 

1970년대 초반, 서울 외곽에 살던 어린 아이의 눈에, 종종 술에 취해서 이리저리 비틀거리고 담벽에 소피를 보기도 하고 인생에 무슨 한이 그렇게도 많은지 울다가 혹은 고성을 지르는 사람들이 (주로 나이 든 아저씨) 참 안스러워 보이기도 하면서도어린 마음에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 때는 한국의 아침 공기가 참 깨끗하고 상쾌하기 이를 데 없었다. 그런데 이른 아침 길거리를 걷다가 간혹, 밤 사이 게욱질된 것들을 보면 얼굴을 찌푸리며 바로 고개를 돌리고 말았는데, 아마도 그 때 술에 대한 나쁜 인상-거부감 같은 것을 갖게 된 것 같다.

 

"저 술이 뭐가 좋다고 마시는 것일까?" 필자는 대학교 때, 학교 정문 앞 많은 식당과 주류점 사이에서 밤만 되면 젊은 친구들이 여자고 남자고 술에 취해 휘청거리고 고성방가를 하며 불쾌한 것들을 흘리는 경우를 여러 번 본 적이 있다. 

 

술 한 두 잔으로 얼굴이 살짝 붉어지고 기분이 좀 앙양되어 좋은 말을 하는 정도라면 서로가 좋으련만, 자신도 가눌 수 없고 간혹 보고 듣기에 거북한 것들을 토해내며 보는 이로 하여금 민망하다 못해 역겹게 만드는 저 술은, 그야말로 커다란 의문이었다.

 

 "하루 한 잔 정도의 술은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의학적 보고를 가끔 접하기도 하지만, 그러한 보도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것은 못된다.  

 

최근에는 이를 통째로 뒤엎는 보고가 등장했다. "건강을 위한다면 한 잔, 한 모금도 들이키지 마라!" 진료실에서 환자로부터 하루 한 잔의 와인을 하고 있다는 말을 간혹 듣지만, 건강에 바람직한 경우로 보이는 경우는 드물고 실제적으로 하루 한 잔 정도의 술을 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 같다. 

 

무엇보다 술로 인한 유익은 그 폐단을 뛰어넘지 못한다. 첫째, 알코올은 소뇌를 위축시킨다. 소뇌의 주요 기능은 섬세한 운동과 평행 기능이다. 그래서 소뇌의 기능이 떨어지면 손이 떨리고 섬세한 운동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말을 하기 위해 음성을 내는 행위인 발음이 섬세한 운동의 대표적인데, 술에 취하면 발음이 꼬이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리고 당연히 보행에 지장을 준다. 

 

둘째,술은 뇌의 좌측과 우측을 연결하는 '뇌량'을 얇게 만든다. 뇌량은 마치 좌우뇌를 연결하는 다리같은 역할을 하는데, 다리가 실날같이 가늘게 되어 좌우 연결, 연락이 잘안되고 결과적으로 뇌의 전체적 통합 기능에 장애를 일으킨다. 

 

셋째, 술은 비타민 B1 부족증으로 인한 (치명적인) 기억장애를 남게 한다. 

 

넷째, 술은 알코올성 치매를 발생시킨다. (뇌미인)

 

술로 인한 폐단은 비단 뇌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필자는 지금까지 술을 먹고 운전하는 사람들을 적지 않게 보아왔다. "저러면 안되는데"하면서도 말리지 못했을때, 어떨때는 참담하기도 하고, 어떨때는 울분이 터져 나오기도 하고. 술은 사람을 넘어지게 하여 때로는 심각하게 다치게 한다. 그 뿐이랴, 음주 이후 그 기운에 취해 어리석은 짓으로 인해 타인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기거나 자신의 신세에 오점을 남기게 하기도 하고. 그 외 술로 인한 건강상, 가정상, 사회적 그리고 국가적인 폐단은 어떠한가. 어느 시대에 살든 술 마시고 술 취할 이유는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술을 너무 좋아하고 술에 너무 기대는 사람들이 있다. 몸이 상하고 마음이 상하고 인생이 상하고 남의인생에까지 심각하게 상처를 줄 정도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있다. 

 

무엇보다, 구만리 인생길에 놓은 청춘 남녀, 그리고 청소년에게도 술이 거침없이 찾아 가는 것을 보면말 그대로 뺨 맞아가면서라도 말리고 싶을 때가 있다.

 

밴쿠버 산 정상을 깎아 대학을 세웠으면 거기에는 깊은 뜻이 담겨있으리라. 자연을 훼손하면서까지 젊은 영혼들에게 면학의 좋은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 틀림없으리라. 세속을 떠나 좀 조용한 곳에서 새와 산과 하늘을 벗삼아 학문에 정진하라는 관계자들의 깊은 배려가 숨어 있으리라. 그런데, 그 곳에 술점을 허가한 것은 또 무슨 일이던가. 지금 우리는 술 권하는 시대에 살고 있는 것 같다. 

 

도시 도처에, 아니 세상 전체에 술이 물밀듯이 들어와 손짓하면서 나 모르면 바보라고 하는 듯하다.  

 

이러한 술 권하는시대에,  술 말리는 사람, 말이라도 술 좀 하지 말라고 하는 사람이 있을까. 캐나다 연방 수상, 그리고 BC 주 수상과 버나비 시장이, 이 시대가 술을 권하든 말든, 젊은 청춘들이 bar에서 혹은 기숙사에서 너 한 잔 나 한 잔 하면서 술에 취하든 말든, 술귀신에 걸려 거리를 헤메면서 고통의 피고름을 쏟든 말든, 그 인생이 술독이란 구렁텅이로 떨어져 구만리 인생 길을 준비하지 못해 허우적 거리든 말든, 니들 인생 니들 책임이라 하며 그저 높은 의자에 앉아 권력의 향연 놀음이나 할 때, 이제마와 같은 선각자나 불멸의 성경의 가르침으로 동서고금을 통한 술에 대한 양생의 경구를 부각시킬 그런 善人은 어디 있을까.

 

아, 구만리 길을 앞둔 젊은 청춘에게 고하고 싶다. 말만 들어도 생각만 해도 감개무량하고 피가 끓는 듯하는 젊은 청춘들. 그런데 젊은 청춘 앞에 놓인 그 구만리 길에는 무엇이 있을까. 그 길 마냥 좋을 수만은 없을 터, 험산준령을 넘어야 할 것을 생각하면 아득한 생각마저 든다. 

 

그 길에 五慾七情(오욕칠정)이 도사리고 있다. 그래도 청춘은 청춘. 아무리 생각해도 청춘만큼 생명의 힘과 미래를 향한 희망이 넘치는 때가 또 없을 것 같은데 조금만 조심하고 조금만 더 정진하면 세상 천지가 다 그 청춘 안에 놓일 터, 맹자가 말했던가, 浩然之氣(호연지기)하라고 말하고 싶다.

 

khd.gif

 

권호동(다니엘 한의원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1,837건 11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37 시사 [주호석 칼럼] 전(前) 대통령 구속 유감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4159
836 부동산 [조동욱 부동산 칼럼] 세입자 보험(Tenant Insurance)을 가입할 필요가 있는가?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 4162
835 변호사 [마이클 골든 변호사의 알면 알수록 득이 되는 법 이야기] BC 헬멧법 이야기기 수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4163
834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캐나다 유학의 혜택과 의무사항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4164
833 부동산 [최재동 부동산 칼럼] 외국인 취득세 15% 일부 면제 예정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0 4164
832 건강의학 ‘한국식’ 음식, ‘캐나다식’ 음식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4165
831 역사 [한힘세설] 논어강독(論語講讀) 20. 논어는 무엇인가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4165
830 금융 [김경태 박사의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인생 설계] RRSP 이해와 투자자산관리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4168
829 금융 [김경태 박사의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인생설계] 노후 준비와 은퇴수입수단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4168
828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심장마비 (7)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4168
827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좋은 임팩이란? - 2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4172
826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 상품의 종류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 4174
825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라운드 시작전 워밍업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4174
824 부동산 [부동산 칼럼] 자유당의 부동산 관련 정책, 어떻게 변할까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 4175
823 건강의학 [체질 칼럼] 김소월과 이육사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4177
822 건강의학 [ 체질 칼럼] 남성도 갱년기가 있어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4178
821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정원 확대되는 부모 초청이민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4179
820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생명보험의 ‘보험료와 납부기간’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4180
819 부동산 [부동산 칼럼] 내년부터 50만달러 초과 주택, 다운페이먼트 금액 증가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8 4183
818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담낭을 제거한 후에도 상부복통이 있어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1 4183
817 부동산 외국인 바이어에 15% 부동산 취득세 신설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9 4184
816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생명보험 해약시 주의사항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4185
815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스트레칭의 생활화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4189
814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생명보험의 ‘보험료’와 ‘납부기간’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4195
813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커피와 두통은 관련성이 있을까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4196
812 역사 [한힘세설] 문화의 힘이 국력이다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4196
811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욕심이 화를 부릅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4197
810 건강의학 선천적인 DNA와 후천적 노력과 의지, 무엇이 더 중한가?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4198
809 부동산 [부동산 칼럼] 렌트용 세컨드 홈과 보험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4200
808 이민 [이민칼럼] 6개월간 익스프레스 엔트리 선발된 한인 327명에 불과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4201
807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냉 난방기 에어 필터 교체 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4205
806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쓸 돈’ or ‘남길 돈’ ? (상)-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4205
805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사면으로 간주되는 경우인지 불명확한 경우 처리방법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4206
804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AINP(알버타 주정부 이민 프로그램) 코로나 대응 기준 발표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4207
803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식도(食道, Esophagus - 2)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4207
802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워터해저드(Water Hazard)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4209
801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중도 해약을 전제로 가입하는 생명보험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4212
800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집을 매매하면서 밝혀야 할 사항들에 대한 고찰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4212
799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대장을 건강하게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4215
798 부동산 [부동산 칼럼] 신규분양 아파트 매입시 점검할 사항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4216
797 부동산 [부동산 칼럼] 환경을 위협하는 온실 가스 발생을 줄이기 위해 가정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일들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4219
796 부동산 물들어 올때 노 저어라 - 어떡하나, '사? 팔아?'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4221
795 부동산 정부의 부동산시장 건전성 강화 대책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4222
794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흡수장애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4227
793 변호사 배우자에게 학대받는 초청 이민, 참으면 안돼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2 4228
792 이민 <리앤리이민칼러> 변화되는 정책들과 이민서류의 급행 신청제도 여론조사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9 4228
791 이민 [성공한 사람들] 캐나다 이민, 자유당 재집권과 전망 아이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4230
790 시사 [주호석 칼럼] 머슴이 어떻게 압니까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9 4233
789 부동산 [조동욱 부동산 칼럼] 밴쿠버 빈 집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세요 ?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4234
788 역사 [한힘세설] 명심보감 4. 어버이 은혜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4239
787 부동산 [이용욱의 부동산 레이더] 단독주택 못지 않은 타운하우스 인기(2)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4240
786 건강의학 [이영희 원장의 임상일지] 틀니와 임플란트 (3) 이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3 4240
785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RNIP(2)- BC, AB, SK, MB주 6개 지역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 4240
784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주정부이민프로그램의 점수 동향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4241
783 부동산 [이용욱의 부동산 레이더] 단독주택 못지않은 타운하우스 인기(6)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4241
782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저축성’ 생명보험의 실상(하)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4241
781 금융 캐나다에서 채무청산하는 방법 – 개인회생 (3)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4243
780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연기 감지기의 고마움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4245
779 이민 [이민 칼럼] 개선되는 캐나다 이민정책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8 4245
778 이민 [이민 칼럼] 전자 여행 허가서 (Electronic Travel Authorization) 시행과 여파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6 4245
777 부동산 [이용욱 부동산 칼럼] "물량이 없다. 집값 오를 수 밖에"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4247
776 부동산 [부동산 칼럼] 타이밍은 계약의 기본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 4251
775 금융 좋은 빚도 있나요? 좋은 빚과 나쁜 빚 (2)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9 4257
774 부동산 (한승탁-집) 연소가스 누출 및 역류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4258
773 건강의학 [이영희 원장의 임상일지] 임플란트의 선택 이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4263
772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BC주의 렌트비 보조 프로그램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3 4264
771 건강의학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골프공에 대한 이야기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4264
770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캐나다내에 비지터신분 워크퍼밋 신청 가능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4264
769 부동산 외국인 특별 취득세 얼마를 더 납부해야 하나?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6 4267
768 부동산 [주택관리]지붕 표면 관리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9 4267
767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Misrepresentation(허위 진술)의 심각성과 그 결과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4269
766 금융 국민연금 일시 상환시 소득신고 김순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4270
765 부동산 [부동산 칼럼] 학군이 밴쿠버의 주택 시장에 미치는 영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4270
764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유콘 주정부 사업 이민 (Yukon PNP - Business )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4272
763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위암(Stomach Cancer, Gastric Cancer)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4272
762 금융 [김순오 회계사의 세무 칼럼] 세무 감사 김순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4273
761 시사 [김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비핵화와 종전선언 사이에서 말보단 행동을 외치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4273
760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캐나다 홀 라이프의 정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4274
759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한국에서 가입한 생명보험 어떻게 할까? (3/4)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6 4277
758 금융 [김순오 회계사의 세무 칼럼] 2014년도 캐나다 세법 변경 사항 김순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4278
757 부동산 [이용욱 부동산 칼럼] 숨은 보석, 타운하우스를 주목하라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0 4279
756 역사 [한힘세설] 한글로 읽는 맹자(6) - 반구제기(反求諸己), 자기에게 돌아가 구하라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4282
755 이민 [이민칼럼] 사면 신청과 고려사항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6 4283
754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생명보험 중개인의 올바른 선택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4284
753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밴쿠버 웨스트 지역의 금년 11월 주택 시장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4286
752 금융 김경태 박사의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인생설계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4287
751 부동산 겨울철 창문의 응축 수 및 곰팡이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8 4288
750 변호사 개인 인권 보호하는 무죄 추정 원칙, 어떤 것일까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4289
749 건강의학 [바른몸 by MK] 당신이 정말 궁금해할 필라테스 (다이어트 편) 이민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4289
748 부동산 [이용욱 부동산칼럼] 숨은 보석, 타운하우스를 주목하라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4290
747 부동산 [주택관리 길라잡이] - 소음 방지 및 보수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4299
746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코로나기간 캐나다 이민국 동향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4301
745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명품 스타인 웨이를 꿈꾼다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4302
744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2018년 12월 밴쿠버 웨스트 지역의 주택 시장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4302
743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PGWP 만료 후 새로운 획기적인 오픈 워크 퍼밋 연장 정책과 영주권…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4303
742 부동산 [부동산 칼럼] 역세권 아파트 동향-에버그린 종착역 코퀴틀람 타운쎈터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4305
741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골프피트니스 그리고 스쿼트(Squat)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4306
740 변호사 [마이클 골든 변호사의 알면 알수록 득이 되는 법 이야기] 교통사고 관련 정보 모으기 마이클 골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4313
739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 YRT 조건의 문제점 -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4314
738 건강의학 [체질칼럼] 半身浴(반신욕):위는 차게 아래는 따뜻하게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5 431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