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스 강의 손거울] 집이냐 창고냐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문화 | [그레이스 강의 손거울] 집이냐 창고냐

페이지 정보

작성자 그레이스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3-05 15:44 조회2,982회 댓글0건

본문

십여년 전인가 초가을 날 오후에 모처럼 외출을 한다고 긴 스커트에 가벼운 부츠를 신는 둥, 약간의 모양을 내고 나갔다.

 

그 스커트로 말하면 이민 오기도 한참 전에 질도 좋고 은은한 카키색에 베이지가 섞인 모직의 롱 스커트인데 뒤의 가운데 부분이  많이 트인 좀 멋스러운 스커트여서 이민 짐에 넣어 온 옷이었다. 

 

캐나다 생활이 그렇듯 정장할 일이 별로 없고 늘 청바지에 후드 티로 종결되는 이 곳에서 치렁치렁한 치마를 입을 일은 거의 없는게 사실이다. 

 

그 날따라 모양을 낸답시고 긴 타이트 스커트를 입고 차에서 내리는 순간, 무슨 청아한 '기타 음' 같은 소리가 나서 살펴보니 세상에, 치마의 뒷부분 가운데가 주욱 찢어진 것이었다. 

 

차에서 내리지도 못 하고 일도 못 보고 그대로 집으로 되돌아 올 수 밖에 없었다.

 

겉으로는 멀쩡해 보여도 모직천이 낡고 삭아서 섬유가 갈라져 버리는 것을 모른채 입고 나갔던 것이 첫째 원인이고 몇 십년 된 옷을 고이 간직하고 있었던 미련함이 둘째 원인으로써 하마터면 망신살이 뻗칠뻔 했던 일이 있었다. 

 

누구든지 이사를 하면 새로운 기분으로 가구를 배치하고 옷을 정리 하지만 과감하게 버리는 일에는 익숙치 않다 못해 두려움이 있는 것 같다. 

 

특히 이민을 와서 임시로 아이케아(IKEA)에서 가벼운 가구를 쓰다가 만약 주택으로 이사를 간다면 갑자기 아이케아 가구가 조잡하고 애들 소꼽장남감으로 느껴져서 무겁고 중후한 가구를 셋트로 들여 놓게 된다.

 

살림을 줄이기는 커녕 주택의 공간을 빈틈없이 신나게 채우다 보면 어느새 집은 짐으로 꽉차서 쓸고 닦을 물건만 늘어나게 된다는 것을 알았을 땐 이미 살림에 짓눌리기 시작할 때이다. 

 

한국 사람들이 먹는 것에 열광해서 한국은 한 집 건너 맛집인 세상에 집도 필요 이상으로 넓은 밴쿠버의 나무 집에서 겨울에는 집 전체 난방을 못 하고 추위에 떠는 일이 다반사이다. 가구가 많다고 집이 따뜻해 지는 것도 아닌데도 집을 채울 가구에 집착하는 면이 많다.

 

일단 이사를 하면 있는 가구가 다 필요없을 때도 있다. 오히려 분위기를 칙칙하게 하고 장소 활용에 좋지않은 가구는 버리던가 창고에 넣어두던가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은데 있는 가구 없는 가구 다 배치하고 새로운 집이다 해서 자투리 공간에 놓을  소품을 사들이다 보면 집은 그야말로 발디딜 틈이 없게 된다.

 

가구는 그렇다치고 의류는 어떤가? 워킹 클로짓(Walk in Closet)을 열어 보면 이민 올 때 한국에서 가져 온 옷가지들이 좀 있을 것이다.

 

입기도 그렇고 버리기는 감이 너무 좋고 어떤것은 기념으로 혹은 너무 아끼는 것이라서, 여러 이유로 몇 십년을 옷걸이에 걸어 놓은 옷들을 바라보는 것 만으로도 좋으면 그냥 둘 수 밖에.

 

나처럼 천이 삭아서 망신 당할 뻔한 계기로 오래 된 옷들을 다 버리고 홀쭉해진 옷장이 얼머나 가벼웠던지는 해 본 사람만이 알 것이다. 

 

인간이 쉴 새없이 집착하고 욕심을 내다가 조절이 안 되는 탐욕으로 치닫는 일은 이처럼 작은데서 부터 출발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여자들의 그릇 욕심은 한이 없어서 예쁜 그릇만 보면 '에잇 집에 있는 그릇도 다 못 쓰고 죽을텐데' 하고 돌아서지만 밤새 눈에 삼삼해서 그 다음날에 다시가서 저지르고야 마는 그릇 욕심은 사고, 쟁이고, 모셔 두었다가 제대로 써 보지도 못하고 쓰레기통으로 직행 할 수도 있다. 

 

우스갯 말로 시어머니가 죽으면 며느리가 투덜거리면서 아낌없이 다 버린다는 말이 있다. 

 

절대 며느리 취향이 아니니까 가져다 쓰지도 않을 것을. 나의 모토는 small, simple, slow이다. 복잡한 세상에서 내가 쉬고 편안함을 느껴야하는  집까지 정신없는 물건 보관소 내지는 창고로 만들고 싶은 생각은 추호도 없다.

 

꽃도 못 키우는 나는 화분도 한 두개 면 족하고 의자도 두개, 식탁등 생활에 필요한 것만 갖추고 불필요한 것은 드이고 싶지 않다.

 

짐이 정말 삶에 짐이 되는 아이러니를 범하고 싶지않은 마음도 있고. 식탁위 등도 간단한 펜던트 등이면 수시로 닦기도 좋으련만 샹들리에 스타일에이나 전구가 여러개 들어가는 화려한 등에는 지금도  먼지가 소복히 쌓여서 식탁 밑이 어두 침침 할 수도 있다는 것을 나는 알고 있다.

 

 

그레이스강 (컬럼니스트)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1,837건 19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7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지하실 배수 및 지대가 낮은 지역의 배수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9016
36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영주권은 자동으로 없어지지 않아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9142
35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한국 부동산의 상속과 세금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9205
34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소양인, 커피보다는 보리차가 낫습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9379
33 부동산 집에서 갑자기 물이 많이 샐 때...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1 9457
32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배추김치를 먹으면 속이 불편합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9464
31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범죄기록과 사면신청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9610
30 건강의학 커피, 하루에 한 잔만 하면 어떨까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9610
29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배우자초청이민시 가장 흔한 결격사유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9759
28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맨(11) - 차고 문 고장 해결 및 비밀 번호 입력 방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9839
27 이민 [ 이민 칼럼 ] 배우자 초청이민 시 주의할 점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9983
26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재산세(Property tax) 및 재산세 감면과 연기제도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10056
25 건강의학 내가 만약 소음인 체질이라면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9 10091
24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영주권은 어떻게 받나?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10220
23 부동산 렌트를 하면서 점검해야 할 사항들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0299
22 부동산 전기 접지(Grounding)와 전선 연결( Wiring)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0387
21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위장이 약한 사람, 대장이 약한 사람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10407
20 부동산 취미로 만든 텃밭을 돈 안들이고 기름지게 만드는 방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0463
19 이민 [이민칼럼-이경봉] 유효기간만료된 영주권카드소지자의 캐나다입국방법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10551
18 부동산 [이용욱 부동산 칼럼] “리얼터가 사는 법”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9 10558
17 부동산 전기 차단기(Circuit Breaker) 리셋(Reset) 방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 10601
16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보리와 현미로 함께 밥 짓지 마세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3 10943
15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시민권 신청과 유의사항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10991
14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자녀에게 부동산 이전시 세금 규정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11221
13 금융 [세무칼럼]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11740
12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잔디밭의 잡풀 제거 방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11790
11 이민 [이민칼럼] 캐나다 입국심사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9 12143
10 이민 [아이린 김 이민 어드바이스] BC 주정부 외곽지역 사업이민 시범제도 아이린 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12229
9 금융 [김순오 회계사의 세무칼럼] RRSP 활용 방법 김순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12959
8 변호사 합의 이혼, 어떤 경우에 할 수 있나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13243
7 건강의학 [캐나다 간호사 되는 법] 1. 복잡하고 까다로운 서류심사 통과하려면 박정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3435
6 부동산 [주택관리]집에서 가스 새면 건강에 나빠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14248
5 이민 [이민 칼럼] 영주권 갱신과 여행자 증명서 (Travel Document) 발급 애로사항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4 14674
4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주거주지 양도소득 비과세(1)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14980
3 건강의학 방광염에 대한 모든 것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19114
2 금융 [김순오 회계사의 세무칼럼] 해외 자산및 소득 신고 김순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22833
1 건강의학 복부에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지네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32889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