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현금’(Cash Surrender Value) or ‘보험금’(Death Benefit) ?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금융 |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현금’(Cash Surrender Value) or ‘보험금’(Death Benefit)…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11-16 14:48 조회6,770회 댓글0건

본문

지금은 사라졌지만 약 10여 년 전에는 48세 여성이 월 $240을 20년 동안만 내면 68세에 $106,000의 ‘해약환급금’(Cash Surrender Value)과 $200,000의 ‘완납보험금’(Paid Up Insurance)을 보장하는 홀 라이프(Whole Life) 상품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당시 여성들이 이 상품을 선호했던 이유는 20년간 낸 원금 $57,600($240x12개월x20년)에 비하여 20년 후에 보장되는 ‘해약환급금’과 ‘완납보험금’의 숫자가 너무 좋았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렇다고 가입자가 두 가지의 혜택을 모두 취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만약 68세에 사망하여 $200,000의 ‘보험금’이 지급되면 $106,000의 ‘해약환급금’은 소멸되고, 만약 68세에 생존하여 $106,000의 ‘해약환급금’을 찾으면 $200,000의 ‘보험금’은 소멸되고 계약이 종료됩니다. 즉 홀 라이프는 ‘해약환급금’과 ‘완납보험금’ 중 한 가지만 취하는 것이고 부분해약(Partial Surrender)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해약환급금’의 60%만 현금으로 받으면 추후 피보험자 사망시 ‘완납보험금’의 40%가 지급됩니다. 만약 ‘해약환급금’을 안 받으면 추후 피보험자 사망시 100%의 ‘완납보험금’이 수혜자(Beneficiary)에게 지급됩니다. 

 따라서 홀 라이프는 노후와 상속을 동시에 수립하는데 미흡하기 때문에 ‘보험금’(Death Benefit)에 대한 ‘순수보험료’(Cost of Insurance)만 생보사가 보장하고 생전(노후)에 사용할 ‘해약환급금’은 가입자가 스스로 축적하는 유니버살 라이프(Universal Life, 이하 유라)가 탄생한 것입니다. 즉 유라는 ‘보험금’에 대한 ‘순수보험료’만 생보사에 지불하고 ‘해약환급금’은 각 가입자가 별도로 투자하여 축적합니다. 그리고 그 축적된 ‘해약환급금’ 중에서 본인이 생전에 쓰고 남은 잔액도 본인 사망시 세금없이 ‘보험금’으로 수혜자에게 지급되기 때문에 유라를 사망에 대한 위험보장은 물론 노후와 상속계획을 한번에 설계할 수 있는 최고의 기능성 상품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캐나다의 유라는 한국과 달리 ‘보험금’에 대한 ‘순수보험료’가 100세까지 매년 동일한 레벨(Level)로 고정된 계약은 물론 매년 오르는 YRT(ART) 계약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각자가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잘 선택하여 가입하면 큰 효과를 보지만, 그저 유라가 좋다는 얘기에 막연히 가입하면 오히려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유라 가입시에 아래 사항을 먼저 자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본인 사후에 남길 ‘보험금’보다 본인 노후에 사용할 ‘현금’에 더 관심이 많은가?

2) 본인 노후에 쓸 ‘현금’보다 본인 사후에 남길 ‘보험금’에 더 관심이 많은가?

3) 두 가지 모두에 관심이 있는가?

 만약 가입의 목적이 1)번이라면 ‘순수보험료’가 매년 오르는 YRT(Yearly Renewable Term) 계약이 유리합니다. 왜냐하면 ‘순수보험료’를 초기에 덜 내므로 초기 일정기간 동안 더 많은 ‘해약환급금’을 축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만약 2)번이 주 목적이라면 ‘순수보험료’를 평생 동일한 레벨로 계약하는 것이 유리한데, 왜냐 하면 70세, 80세, 90세, 100세까지 살아도 ‘순수보험료’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험금’을 남길 확율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생명보험은 ‘보험금’을 청구할 기회가 평생 단 한 번이기 때문에 보험기간 동안의 ‘순수보험료’가 가입시에 확정됩니다. 즉 45세에 유라에 가입하면 55년간의 ‘순수보험료’가 계약서에 명시되는데, 그것이 본인의 목적과 다르게 명시되어 있다는 사실을 20년-30년 후에 발견한다면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당신이 가입한 유라는 ‘순수보험료’가 오릅니까, 아니면 평생 고정입니까?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136건 2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이민문호 확대를 환영하며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 5562
35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리얼터와 부동산 관리 전문사가 할 수 있는 업무에 대해서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5565
34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BC 주정부 이민 프로그램의 장점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8 5590
33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Subject Removal, 조건해지 마음대로 써도 되나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5599
32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EE 대기자 수 64,700여명으로 증가세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5617
31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2017년 부동산 결산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5656
30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골프스윙은 회전운동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5677
29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개방된 캐나다 이민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5 5700
28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태양인은 항상 숫컷이 되려고 하지 암컷이 되려고 하지 않는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5702
27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재 가입과 복원의 차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5738
26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밴쿠버 지역의 2017년 상업용 부동산 매매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5837
25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명랑골프는 좋은 매너로부터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5846
24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부동산과 우리 도시의 가까운 미래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5850
23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Owner/Operator LMIA 에 대하여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5866
22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올바른 티(Tee) 높이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5881
21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한국에서 가입한 생명보험 어떻게 할까? (4/4)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5921
20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주택 매매 시 집을 보여 주면서 집 주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들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5944
19 부동산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한국의 변액 유니버셜 보험과 다릅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5984
18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이민국에 이의제기 하는 방법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6027
17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어드레스 셋업할 때 공의 위치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6177
16 이민 [안세정 변호사의 이민법 안내] 범죄 기록이 있는데 캐나다 입국이나 체류가 가능한가요? 안세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6189
15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부모초청, 1월말까지 접수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5 6198
14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2018년 부동산 전망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6403
13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캐나다의 주택 소유권에 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6434
12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밴쿠버 웨스트 지역의 금년 2월 주택 시장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6516
11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누수로 인한 피해로부터 주택을 보호하려면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6564
10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고용한 리얼터에게 돈을 빌려 디파짓을 하려는데 - Quick Fix or Quick…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6594
9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돈이되는 미등기전매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6654
8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범죄기록 오역만 바로잡아도...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6727
열람중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현금’(Cash Surrender Value) or ‘보험금’(Deat…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6771
6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BC주의 주택 공시지가에 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6787
5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노동 허가서 발급 후 “국경에서 워크퍼밋 받기”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7548
4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법원경매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7782
3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주정부승인 받은 후 문제가 생겼을 때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3 8400
2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닭고기가 맞지 않습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8637
1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죠닝(Zoning)이란?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887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