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을 내서라도 대학교를 다닌 경제 효과는?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교육 | 빚을 내서라도 대학교를 다닌 경제 효과는?

표영태 기자 입력18-09-13 09:11 수정 18-09-13 16:04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OECD 교육지표 2018

고등교육 순혜택 상승

16세 전 이민자 고소득

 

 

'OECD는 한 눈에 보는 교육 2018:OECD 교육지표(Education at a Glance 2018 OECD INDICATORS)' 보고서를 지난 11일 발표했다. 이 지표는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국제 비교자료이다. 

 

이 자료 중에 청년 청년노동연령대(15-29세)에 고용도, 교육도, 직업 훈련도 받지 않는 NEET(neither employed nor in education or training) 비율이 OECD 국가 평균으로 15-19세는 6%, 20-24세는 16%, 그리고  25-29세는 18%로 나타났다. 특히 18-24세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편이었다. 캐나다는 36개 대상 국가 중 10번째로 낮아 양호한 편이었다. 

 

외국인 출생자와 해당 국가 출생자와 연관 NEETs 데이터에서, OECD 국가 중 15-29세 인구 중 외국인 출생자의 NEETs 비율이 평균 18%로 자국 출생자가 13%에 비해 높게 나왔다. 하지만 캐나다의 경우는 외국 출생자나 자국 출생자나 큰 차이가 없이 12-13% 사이에 같이 머물렀다.

 

25-64세 인구 중 외국출생자 중 16세 이전에 왔느냐, 16세 이후에 왔느냐에 자국 출생자와 취업율 비교를 한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는 15세까지 이주 해 온 경우 자국 출쟁자의 취업비율 84%보다 1% 포인트 가량 상회했다. 하지만 16세 이후 온 경우는 80% 정도로 다소 낮아졌다. 이렇게 16세 이후 이주해 온 경우 취업비율이 자국 출생자보다 높은 국가는 포르투칼, 칠레, 이탈리아 등은 5개에 불과했다. 

 

교육에 따른 수입 혜택에 대한 분석에서, OECD 국가의 25-65세 성인이 고등학교 이후의 고등교육(tertiary degree)을 받게 되면 한국의 고등학교(upper secondary education) 교육을 받은 상대에 비해 54% 더 많이 받았고, 그렇지 못한 경우는 22%였다.  

 

캐나다의 경우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이후 단기 포스트세컨더리 교육을 받으면 21%, 학사 학위와 동등한 교육을 받으면 52%, 석박사 과정과 동등학 교육을 받으면 86%나 높아졌다. 

 

만약 빚을 내서라도 고등교육을 받게 되면 얼만큼 이득이 생기느냐에 대한 분석도 보고서에 포함됐다. 

캐나다의 경우, 2015년 기준으로 남성이 직접 대출이나 포기된 수입을 합쳐 총 5만 5000달러를 빚져 고등교육을 받는 경우 향후 취업으로 기대되는 소득이 31만 600달러로 결국 순 혜택이 25만 5600달러로 나왔다.

여성은 4만 900달러의 빚이 25만 200달러의 소득으로 돌아와 순 혜택이 20만 9300달러에 달했다.

 

한국의 경우 남성은 2만 7300달러 빚에 28만 8300달러로 26만 1000달러의 혜택이, 여성은 3만 1300달러 빚에 18만 2500달러 소득에 15만 1200달러의 순 혜택이 나온다는 분석이다.

 

2016년 기준으로 연령별 공식 교육기관 취학 비율에서 캐나다의 5-14세는 100%였다. 한국은 97%로 낮은 편이었다. 15-19세는 캐나다가 78%로 크게 낮아졌고, 한국은 87%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그런데 복지 선진국인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등도 78%와 76%로 낮은 편에 속했다. 20-24세의 경우 캐나다는 33%로 가장 낮은 편에 속했고, 한국은 50%로 상위권에 속했다. 25-29세로 가면 캐나다는 10%로 다소 낮은 국가에 속했고, 한국은 이 보다 낮은 9%로 갑자기 비율이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표영태 기자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7건 1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캐나다 오타와 수도권 최초, 칼튼대학교 한국어전공과정 설치
칼튼 대학교 전경(대학교 페이스북 사진)주캐나다대사관·국제교류재단·국립국제교육원 협업별도의 특별 재정지원 없이 2년 여만에 성과 창출주캐나다대한민국대사관(대사 장경룡)은 캐나다 수도 오타와소재 주요 종합대학인 칼튼대학교(Carleton Univ
09-10
세계한인 재외동포재단, 춘천교육대학교와 MOU 체결
재외동포재단과 춘천교육대학교는 내국민의 재외동포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8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재외동포재단 제공)한국국민 대상, 재외동포 이해교육 활성화초·중 과정 교과서 재외동포 수록 공동노력 재외동포재단(이사장 한우성
07-08
밴쿠버 알버타 대학교 한국 문화 축제 참석
정병원 주밴쿠버총영사는 지난 8일(금) 알버타 대학교가 개최한 한국어 말하기 대회 및 K-POP 경연대회 등 알버타 대학교 한국문화 축제행사에 참석했다고 13일 밝혔다. 정 총영사는 축사를 통해 한국 문화가 알버타를 포함한 캐나다 전역에서 환영받고 있는 것이 기쁘다고
11-15
밴쿠버 밴쿠버 대학교들 수난사
SFU페이스북 사진  에밀리카 15일까지 휴교 연장SFU 총기남성 신고 임시 폐쇄 메트로밴쿠버의 대표적인 공립대학교가 잇달아 불미스러운 일이 벌어져 휴교와 임시폐쇄를 하는 일을 겪었다. 북미의 유명 예술계 대학교인 에밀리카대학교(Em
10-09
밴쿠버 한국의 미국명문대 캠퍼스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지난 2월 28일 열린 한국뉴욕주립대학교와 클럽이민의 미국 대학입학 설명회 모습(클럽이민 사진 제공)  스토니브룩대학교·에프아이티 과정미국식 영어수업, 저렴한 생활비뉴욕주립대, 입학사정과 학위관리SAT, ACT 대체 공인영어점수 가능 &nbs
03-08
교육 대학교육비에 놀란 캐나다 부모들
12세이하 자녀 부모 73% 교육비 몰라저소득가정 절반 이상 "너무 놀랍다"초등학생 자녀들을 둔 부모들이 아이들을 대학교육까지 시키겠다고 캐나다 부모들이 생각하고 있지만 실제로 얼마나 비용이 들어가는 지를 알자 놀라 자빠졌다.입소스캐나다가 날리지퍼스트파이낸셜(Knowl
11-19
교육 빚을 내서라도 대학교를 다닌 경제 효과는?
OECD 교육지표 2018고등교육 순혜택 상승16세 전 이민자 고소득  'OECD는 한 눈에 보는 교육 2018:OECD 교육지표(Education at a Glance 2018 OECD INDICATORS)' 보고서를 지난 11일 발표했다. 이 지표
09-1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