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수명 30년 넘긴 캐나다 원전, 계속 돌아가는 까닭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캐나다 | 설계수명 30년 넘긴 캐나다 원전, 계속 돌아가는 까닭

기자 입력15-02-13 04:3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htm_2015021022413650105011.jpg

캐나다 동부 끝자락에 위치한 포인트 레프로 원전 내부. [사진 공동취재단]



포인트 레프로 발전소 가보니

학교·직장 수시로 찾고 월 1회 초청 

미끄러져도 산재 … 600건 낱낱 공개 

소통 속 주민 80%가 계속 운전 찬성 

한국선 경제논리만 주장, 신뢰 추락


“정보를 사실 그대로 공개하고 감추지 않는다. 안전하다고 믿고 지역 발전에 보탬이 되기에 금전적인 보상을 따로 원하지 않는다”(실비아 험프리스, 캐나다 세인트 앤드류스 거주자)

“일자리가 늘었고, 경제가 활기를 띄면서 지역 부동산 값이 오히려 올랐다”(아드리안 포스터, 캐나다 클래링턴 시장)

캐나다의 주요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 거주자들의 말이다. 이들은 각각 한국의 월성 1호기와 같은 중수로형의 포인트 레프로(Point Lepreau) 원자력발전소, 달링턴(Darlington) 발전소 인근 지역에 산다. 포인트 레프로는 캐나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30년의 설계수명을 넘겨 2012년 11월부터 계속운전 중이다.

반면 포인트 레프로를 모델로 한 월성 1호기는 2012년 11월부터 2년 넘게 멈춰있다. 30년 설계수명 만료를 앞두고 2년 간 주요 부품을 바꾸는 등의 대규모 설비 개선 작업을 마쳤지만 정부가 연장운영 결정을 내리지 않고 있다.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커진 반핵 여론이 부담이다. 부산을 비롯한 월성원전 인근 지역여론도 부정적이다. 원자력은 공해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안전에 대한 100% 확신이 없는 한 국민 설득이 어렵다. 한국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2일 월성 1호기의 계속운전 승인 여부를 결정할 회의를 다시 연다. 원전 선진국인 캐나다와 미국을 찾아 해법을 찾아봤다. 

외부 모습. [사진 공동취재단]
 
지난 2일 캐나다의 토론토 북동쪽에 위치한 원자력발전소 포인트 레프로. 중앙관제실에서는 5명의 직원들이 여러 개의 화면을 통해 원자로와 터빈실 등의 상황을 살펴보고 있었다. 터빈실 안쪽에는 고압터빈 1기와 저압터빈 3기가 설치돼 있다. 한쪽에는 교체한 두 개의 옛 터빈이 놓여 있었다. 380개의 핵연료다발로 구성된 원자로에서 핵분열을 통해 만들어낸 에너지로 이 터빈을 돌려 전기를 만들어낸다. 중수로형은 엄청난 양의 물이 연료관 안의 냉각재, 이를 둘러싼 감속재, 가장 외곽의 원자로 콘트리트 안쪽까지 3중으로 둘러싸고 있다. 이 발전소는 인구 75만 명의 뉴 브런즈윅주가 소비하는 전력의 25%를 생산해낸다.

포인트 레프로 원전이 2012년 계속운전을 결정하는 데는 별 문제가 없었다. 이 발전소 반경 20㎞ 이내에는 주민 5000명이 거주한다. 캐슬린 두궤이 주민교류 담당자는 “지역 주민들이 바닷가재 등을 잡는 수산업을 주업으로 하고 있어 바다 근처의 오염물질 관리에 예민하다”며 “지속적으로 만나 원전 상황을 알려주고 교육하면서 신뢰를 쌓아 계속운전을 결정할 때도 큰 반대가 없었다”고 전했다. 당시 주민의 80%가 노후된 원전의 계속운전에 찬성했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는 거저 얻어진 게 아니다. 투명한 운영과 정보공개를 바탕으로 지역 및 시민사회와 꾸준히 소통해온 결과다. 원자력 발전소 임직원들은 학교·직장 등 각 대표자들을 수시로 만난다. 한 달에 한 번 지역대표 초청행사가 열린다. 인근 지역 시장들과는 한 해 2~3차례 만난다. 인터넷사이트에는 안전이나 설비 등 발전소와 관련된 거의 모든 정보를 수시로 올려 공개한다. 지역 소방서장이 주민 대표 성격으로 모든 내용을 보고받고 이 내용을 지역 주민들과 공유한다. 아주 사소한 것까지 투명하게 공개한다. 션 그렌빌 포인트 레프로 소장은 “계속운전을 앞두고 대규모 정비 과정에서 1년 반 동안 600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했는데 빙판에서 살짝 미끄러지거나 박스를 열다 베인 것까지 포함됐다”며 “매년 1만 개 정도의 각종 사안을 보고한다”고 했다.

원자로를 구성하는 핵연료다발. [사진 공동취재단]
 재허가를 받는 과정에도 반대하는 주민이나 단체가 언제든지 시험 과정에 의견을 제시하고 참여할 수 있다. 포인트 레프로 주변 도시인 세인트 앤드류스의 스탠 촙니아니 시장은 “투명하게 전혀 감추지 않고 정직하게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이 주민들에게 신뢰를 줬다”고 했다. 이어 “원자력에 대한 불안함이 전혀 없기 때문에 풍력·수력·화력·조력과 같은 에너지원의 하나로 보고 있다. 예산 타당성을 살펴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추가로 원전이 들어서도 상관없다”고 말했다.

미국도 마찬가지다. 미국원자력에너지협회(NEI)에 따르면 원전에 대한 미국내 찬성 여론은 1983년 49%에서 지난해 65%로,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는 같은 기간 35%에서 61%로 늘었다. 노후 원전을 계속 가동하는데 찬성하는 비율도 85%에 달한다. 규제기관을 믿기 때문이다. 트레이시 메이슨 수석이사는 “1979년 펜실베니아 사고 이후로 반감이 커졌었지만 주민들과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했고,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에 대한 선호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각종 회의도 국가안보나 개인정보와 관련된 사안이 아니라면 원칙적으로 모두 공개한다.

한국은 그렇지 않다. 월성 1·2호기의 산업재해 보고건수는 2010~2014년 5년 간 2건 뿐이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이장협의회 등을 통해 주민들과 자주 만나고 홈페이지를 통해 200건의 정보를 공개하고 있지만 외국과 문화가 달라 공감을 얻어내기가 쉽지는 않다”고 했다. 하지만 정보와 소통의 양과 질 모두 원전 선진국들에 비해 한참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다. 더구나 한국의 원전은 개발시대 정부 주도로 지어져 주민들의 피해의식이 크다. 원전 주변에 거주하는 인구도 캐나다나 미국보다 훨씬 많다. 아무리 가능성이 적어도, 사고에 대한 불안감이 클 수 밖에 없는 이유다. 그럼에도 정부와 원전 운영사들은 국민 설득보다는 경제적 필요성이라는 명분에만 방점을 두어왔다. 이런 가운데 잇따라 터진 원전 비리는 국민 불신을 더 키웠다.

게일 마커스 전 미국원자력학회장은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하려면 시간이 걸린다”며 “원전이 안전하고 잘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원전 관리자들이 투명하게 공개하고 설명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인트 존·토론토(캐나다), 워싱턴(미국)=박유미 기자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517건 15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캐나다 경찰 '발렌타인데이 학살' 모의 3인조 계획저지…쇼핑몰서 최대한 죽이고 자살 시도
RCMP는 노바스코샤 핼리팩스의 한 쇼핑몰에서 발렌타인데이를 맞아 최대한의 인파를 살해한 뒤 자살하기로 모의한 3명의 계획을 저지했다고 14일 발표했다.용의자 한 명은 경찰이 체포하러 나타나자 스스로 총을 쏘아 자살을 시도해 중상을 입었고 미국인 여성 용의자는 핼리팩스
02-15
캐나다 랍 포드 전 토론토 시장 의료기록 불법 열람
3곳 병원에서 4건 발생의료관계자들이 랍포드 전 토론토 시장의 의료기록을 4번에 걸쳐 불법 열람한 것으로 최근 드러났다. 해당 불법 열람들은 무려 3곳의 병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랍 포드 전 시장의 건강상태는 그의 지난 9월 암진단 후 세간의 관심사가 됐다.
02-13
캐나다 설계수명 30년 넘긴 캐나다 원전, 계속 돌아가는 까닭
캐나다 동부 끝자락에 위치한 포인트 레프로 원전 내부. [사진 공동취재단] 포인트 레프로 발전소 가보니 학교·직장 수시로 찾고 월 1회 초청  미끄러져도 산재 … 600건 낱낱 공개  소통 속 주민 80%가 계속 운전 찬성  한국선
02-13
캐나다 도미노 피자, 직원 폭행 및 급여 미지급 혐의로 조사 중
논란속의 해당 지점대표적인 테이크아웃 피자 체인 중 하나인 도미노 피자(Domino’s Pizza)의 노스 밴쿠버 지점 한 곳이 급여 미지급 및 직원에 대한 폭행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웨스트 3 스트리트의 151번가에 자리한 지점으로 피해 사실을 주장
02-13
캐나다 고용담당 매니저들 86%, "퇴사시 행동 모습, 평판에 큰 영향"
일 그만둘 때 보이는 이상 행동, "평판 크게 해쳐"캐나다와 미국의 고용 담당자(Human Resources Manager) 6백 여명이 참여한 설문조사에서, 답변자 86%가 “직장을 그만둘 때 보이는 자세가 이후의 커리어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또 이들은 ‘직
02-10
캐나다 경찰 감시기관 IIO, 직장 내 따돌림 조사 중
BC 주의 경찰 감시기관 IIO(Independent Investigation Office)가 ‘직장 내 따돌림 및 괴롭힘’으로 공공업무청(Public Service Agency, PSA)의 조사를 받고 있다. BC 법무부 차관(Deputy Attorney G
02-10
캐나다 韓·캐나다, 경제·통상 협력 강화방안 논의
한국과 캐나다 외교당국이 오는 9일 경제통상분야 협력방안을 논의한다. 외교부 노광일 대변인은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조태열 외교부 제2차관은 9일 에드 패스트(Ed Fast) 캐나다 통상장관을 면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양측은 이번
02-05
캐나다 경찰 ‘알몸수색’, 실효성 논란
알몸 수색은 언제가 적합한지 또 얼마나 자주할 수 있는지 등 토론토 경찰을 괴롭혀온 문제였다. 2013년 구속건수의 1/3에 해당하는 알몸수색의 빈도수가 지나치다는 지적에 경찰서비스위원회는 빌 블레어 경찰청장에게 알몸 수색현황에 대해 조사토록 요청했다. 토론토
01-21
캐나다 대규모 벌목 사업 ‘수은중독 ‘가능성
1960년대 온주 원주민 보호구역 주변에서 발생한 수은 중독 사태와 같은 재앙이 현재 캐나다의 주요 수출 품목인 펄프 생산과 관련해 50여년만에 재발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19일 다수의 온주의 수산 생물학자들이 온타리오주 캐노라 지역 인근에 위치한 원주민 보호
01-19
캐나다 CIBC 보고서, 루니 약세는 제조업 성장의 ‘연료’
지속적인 루니의 약세가 국내 제조업 분야의 성장에 훌륭한 연료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15일 CIBC은행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달러당 미화 80-85센트선을 유지할 경우 제조업 공장들의 증설과 확장,고용창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01-19
캐나다 RCMP 대원 카지노에서 총격 받아 중상
CBC영상 캡쳐 RCMP 대원 2명이 17일 세인트앨버타 주 세인트앨버트 시의 한 카지노에서 총격을 받아 중상을 입었다.RCMP는 용의자의 위치가 확인돼 이제 위험은 없다고 발표했으나 이 용의자의 신분이나 그가 구속돼 있는지 여부는 밝히지 않았다.RCMP 부국
01-18
캐나다 보수당 연방 정부, 테러 위협 대비 안보 기관 권한 강화 계속 추진
CSIS 본부 건물 (이지연 기자)지난 해 10월, 캐나다 군인 두 사람을 사망케 한 극단화된 캐나다인 이슬람교도들의 ‘테러’ 사건 이 후, RCMP와 CSIS 등 캐나다 안보 기관들의 권한을 확대하려는 연방 정부의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보수당
01-16
캐나다 삼성전자 의 블랙베리 인수설, 양쪽 모두 부인
삼성전자가 블랙베리를 인수한다는 소문이 퍼졌으나 삼성과 블랙베리 모두 부인하면서 근거없는 낭설이 되었다.14일, AFP통신은 블랙베리가 삼성전자의 인수추진 보도를 부인하고 나섰다고 보도했다.이날 블랙베리는 "일부 언론의 삼성전자의 블랙베리 인수 추진기사를 알고 있다"면
01-14
캐나다 루니 하락 여파, 수입 상품 가격 상승 - 소비자 울상
계속되는 국제 유가 하락 영향으로 캐나다 루니 가치도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 여파로 캐나다 소비자들이 수입 상품을 구입하는데 더 많은 돈을 지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몬트리올 은행(BMO)의 경제전문가 더글라스 포터(Douglas Porte
01-14
캐나다 급전대출 고이율, 저소득층들 가난의굴레 ‘쳇바퀴’
국내 시중 은행들이 저소득층 가정을 외면함에 따라 대다수의 저소득층들이 소액급전전문대출 업체(Payday loan)로 발길을 돌리고 있어 더욱 심각한 가정부채의 늪으로 빠져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2일 스타지의 조사 발표에 따르면 광역토론토 내 저소득층 가정이 밀
01-13
캐나다 개인정보 유출 연간 300건, 심각성 ‘위험수위’
최근 연방정부가 지난해 11월 베네수엘라에서 발생한 여권 운송 택배트럭 강탈사건을 포함해서 300건의 국내인들의 개인정보 유출이 있었다고 보고했다. 당시  강탈당한 트럭에는 61건의 비자승인서류들과 여권들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연방 이민성은 지난 7일 이와
01-13
캐나다 배럴당 80불 이하는 캐나다 경제 ‘위험신호’
올해  유가와 경제 예측세계 경제를 뒤흔들고 있는 유가하락이 6개월간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올 한 해 동안 국제 유가가 배럴 당 100달러 대를 회복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관련 국내 경제 전문가들이 국제 유가에
01-13
캐나다 IS, 캐나다의 정보 요원, 경찰,군인 민간인을 살해하라
IS(수니파 원리주의 무장단체)가 전세계의 추종자들에게 봉기를 촉구하며 미국, 프랑스, 호주, 캐나다를 대상으로 추가 테러를 선동했다.11일 CNN에 따르면 뉴욕시 경찰국이 입수한 정보에는 IS 대변인 아부 무함마드 알아드나니가 10일 배포한 영상 메세지를 통해 이슬람
01-12
캐나다 12월 캐나다 소매업계 호황, 미국 원정 쇼핑은 감소
루니 가치 하락과 가스 값 하락 영향캐나다 소매업계 위원회(Retail Council of Canada)가 “올해 크리스마스 쇼핑 시즌,  활발한 쇼핑으로 소매업계가 호황을 맞았다. 반면, 미국 원정 쇼핑은 지난 해 같은 시기와 비교해 크게 줄었다”고
12-31
캐나다 소니, 1월2일부터 캐나다에서도 '인터뷰' 개봉
북한 최고 지도자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 위원장 암살 기도를 소재로 한 영화 '인터뷰'가 이번 주말 캐나다 영화관들에서도 개봉돼 캐나다 국민들도 이 영화를 볼 수 있게 됐다.소니 픽처스는 30일(현지시간) '인터뷰가 내년 2일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주을 비롯해 앨버타
12-31
캐나다 기내 수하물 요금이 여행가방 체크인 요금보다 합리적?
올 가을, 에어 캐나다(Air Canada)와 웨스트젯(WestJet) 항공사가 저가 서비스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여행 가방 운반비를 부과하기 시작한 바 있습니다. 여행 가방이 1개를 넘을 때에만 부과하던 요금을 1개 가방만을 체크인하는 소비자들에게도 적용하기
12-29
캐나다 2014년 캐나다인의 인기 검색어는?
故 로빈 윌리암스와 월드컵, 짐 고메시 등구글 캐나다(Google Canada)가 2014년 한 해 동안 캐나다인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검색어를 발표했다. 그 결과, 올 여름에 사망한 미국 영화배우 로빈 윌리암스(Robin Williams)가 1위에 올랐으며, 올 6월
12-24
캐나다 산유국 캐나다, 유가 하락에도 웃음짓는 이유
(이지연 기자)국제 유가 하락세로 인해 미국을 제외한 대표적인 산유국들이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중에는 캐나다도 있습니다. 그러나 캐나다의 경제계와 언론은 오히려 '유가 하락과 루니 가치의 동반 하락으로 인해 캐나다가 얻을 수 있는 것들'에 더욱 치중하며 긍
12-23
캐나다 국제 유가 ‘추락’에 정유사들 ‘비상’
비상경영 체제 돌입 국제 유가의 날개 없는 추락에 국내 메이저 정유기업들이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하고 있다.18일 국내 3대 정유회사인 펜 웨스트 패트롤름(Penn West Petroleum Ltd.)와 허스키 에너지(Husky Energy Inc.), MEG 에너지(M
12-20
캐나다 보수당 연방 정부에 대한 주민 여론 여전히 부정적
(이지연 기자)연방 총선을 10개월 여 앞둔 시점에서, 스티븐 하퍼(Stephen Harper) 총리가 이끄는 보수당 연방 정부에 대한 캐나다인들의 실망과 불만을 드러내는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나노스 리서치(Nanos Research) 사가 올 11
12-19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