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코로나19 검사 10명 중 7명...BC주 절반도 안 돼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캐나다 | 캐나다 코로나19 검사 10명 중 7명...BC주 절반도 안 돼

표영태 기자 입력21-03-22 11:07 수정 21-03-26 10:23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BC주만 작년 겨울 이후 일일 확진자 수가 현상 유지를 하며 전국적으로 감소 추세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그래프1)


일일 확진자 수 ,타주 작년 말 이후 현저한 감소 추세

BC주 다양한 변이바이러스 확산 위험성 전국서 최고

BC주 외국인 입국자에 의한 감염은 현재까지 없는 편


BC주는 캐나다 전체적으로 작년 11월과 12월 2차 대유행 최고 정점 이후 급격하게 확진자 수가 감소하는 반면 BC주는 큰 변화가 보이지 않고 있었다. 그런데 코로나19 검사 비율은 전국 평균에 비해 크게 낮았다.


연방 공중보건청(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PHAC)이 22일 오전 발표한 코로나19 관련 발표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코로나19 검사 건 수는 총 2659만 2828회이다. 이는 인구 100만명 당 70%에 해당한다.


그런데 BC주는 총 누적 검사 건 수가 209만 3312회로 인구 100만명 당 40만 2107명이다. 즉 검사율이 40%에 불과해 전국 평균에 비해 30% 포인트나 낮은 수준이다.


특히 BC주의 상황이 더 안좋은 것은 작년 11월과 1월 사이에 전국적으로나 퀘벡, 온타리오, 알버타 등 주요 주들이 2차 대유행이 정점을 찍은 후 절반 이하로 크게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BC주는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이다. BC주는 2차 대유행이 아직도 진행 중이라고 봐야 할 정도다. 


지난 7일간 일일 확진자는 전국적으로 2만 3585명을 기록했는데, 온타리오주가 1만 768명으로 가장 많았고, 퀘벡주가 4747명, 알버타주가 3510명이었으며, BC주는 2873명을 기록했다. 


그러나 인구 10만 명 당 확진자 수에서 BC주는 56명으로 퀘벡주의 55명에 비해서는 높았다. 사스카추언주는 87명으로 가장 높았고, 알버타주가 79명, 온타리오주는 73명 등이었다. 전국적으로는 62명을 기록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총 누적 확진자 수를 봤을 때, 프레이저보건소가 인구 10만 명 당 2789명으로 BC주에서 유일하게 2000명 이상이 나온 지역이 됐다. 알버타주는 주의 모든 보건소 관할지역이 2000명 대 이상을 기록했다.


전국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수는 2만 2676명이 나왔는데, BC주는 1421명이었다. 퀘벡주는 1만 599명, 온타리오주는 7241명, 알버타주는 1963명을 각각 기록했다.


각 보건소별로 볼 때 프레이저 보건소는 765명으로 BC주에서 유일하게 5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온 보건소가 됐다. 프레이저 보건소보다 많은 사망자가 나온 전국의 보건소는 토론토 보건소의 2758명, 퀘벡주의 몬트리올 보건소의 4591명 등 4개 지역,  에드몬트 보건소의 999명 등 6곳에 불과했다.


인구 10만 명 당으로 전국적으로 60명이었고, BC주는 28명으로 퀘벡주의 124명, 마니토바주의 67명, 알버타주의 44명, 사스카추언주의 35명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최근 7일만 두고 볼 경우, BC주는 17명으로 알버타주와 같았고, 온타리오주는 88명, 퀘벡주는 59명 등이었다.


21일까지 보고된 변이바이러스 확진자 수는 5154명이었는데 이중 영국 변이바이러스 확진자가 4807명, 남아프리카 변이바이러스가 243명, 그리고 브라질 변이바이러스가 104명 등이었다.


지난 주말 3일간 발표가 없었던 BC주는 총 1200명으로 영국 변이바이러스가 1094명, 남아프리카 변이바이러스가 41명, 그리고 브라질 변이바이러스는 65명이었다. 전국의 브라질 변이바이러스 확진자의 60% 이상이 BC주에서 나왔다.


영국 변이바이러스 확진자 수에서도 알버타주와 온타리오주에 이어 3번째, 남아프리카 변이바이러스 확진자 수에서도 퀘벡주, 온타리오주에 이어 3번째 등 전국에서 가장 변이바이러스가 종류별로 가장 다양하게 확진자가 많이 나온 주가 됐다. 즉 모든 변이바이러스가 다발적으로 확산될 위험이 높다는 뜻이다.


BC주의 감염 경로에서 국내 감염자 접촉이 69.7%, 경로 불명이 28.9%, 해외여행 후 감염이 1.4% 등이었다. 외국 방문객 접촉이 없었다. 전국적으로는 경로 불명이 50.8%로 가장 높았고, 국내 감염자 접촉이 45.6%, 해외여행 후 감염이 1.9%, 그리고 외국 방문객 접촉이 0.8%였다. 


표영태 기자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180건 48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캐나다 한국 여권신장에 기여한 캐나다 여성...3번째 신디 럭(Cinde Lock) 박사
주한 캐나다 대사관은 지난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이해 한국 여권을 위해 기여한 캐나다 여성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 3번째 인물로 한국의 젊은 여성과 소녀들의 교육에 힘쓰고 있는 신디 럭(Cinde Lock) 박사를 소개했다.[신디 럭(Cinde Lock)
03-22
캐나다 캐나다 코로나19 검사 10명 중 7명...BC주 절반도 안 돼
BC주만 작년 겨울 이후 일일 확진자 수가 현상 유지를 하며 전국적으로 감소 추세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그래프1)일일 확진자 수 ,타주 작년 말 이후 현저한 감소 추세BC주 다양한 변이바이러스 확산 위험성 전국서 최고BC주 외국인 입국자에 의한 감염은 현재까지
03-22
캐나다 변이바이러스, 캐나다 일일 확진자 8% 증가
프레이저 보건소의 코로나19 검사 모습전국 4500건 변이바이러스 감염 보고점차 확진자 중 비중이 늘어나는 상태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혈전과 상관없다캐나다에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본격화되고 있지만, 변이바이러스로 인해 일일 확진자 수가 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연방 공
03-19
캐나다 코로나19로 1916년 이후 캐나다 인구 증가율 최저 기록
해외 이사 배송 전문기업 COSHIP 홈페이지 사진해외 이주자 수 전년 대비 절반으로 감소BC주 주간 순이동서 6년 연속 최다 기록코로나19로 인해 캐나다 인구 증가의 주요 기여자인 해외이주자들의 유입이 급감하면서 연간 인구 증가율이 1세기 만에 최저 수준에 머물렀다.
03-18
캐나다 애틀란타 총격 사건, 캐나다 한인도 안전하지 않다
캐나다서도 코로나19 관련 한인 증오범죄 급증지난 11일 몬트리올서 한인 스프레이 공격 받아주캐나다 한국 대사관 등 캐나다 한국공관들은 16일(화) 美 애틀란타 일대 한인 마사지 업소 등에서 총격이 발생, 한인을 포함한 총 8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며 캐나다 한인
03-1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