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석 이민스토리] 캐나다 이민 갈 때 돈보다 중요한 건 '영어' > 이민정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이민정보

[주호석 이민스토리] 캐나다 이민 갈 때 돈보다 중요한 건 '영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4-06 13:07 조회8,821회 댓글0건

본문

주호석의 이민스토리(6)
 

 
2007년 미국 텍사스주에서 한국인 이민자 부부가 빗속에서 운전하다가 길을 잃고 헤매던 중 차가 강물 속에 잠겨버렸다. 911에 전화했지만 영어가 미숙해 설명 부족으로 목숨까지 잃게된 안타까운 사고였다. (내용과 연관없는 사진). [AP=연합뉴스]

2007년 미국 텍사스주에서 한국인 이민자 부부가 빗속에서 운전하다가 길을 잃고 헤매던 중 차가 강물 속에 잠겨버렸다. 911에 전화했지만 영어가 미숙해 설명 부족으로 목숨까지 잃게된 안타까운 사고였다. (내용과 연관없는 사진). [AP=연합뉴스]

 
지난 2007년 미국 텍사스주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미국에 이민 온 지 20여년 된 60세 전후의 한국인 이민자 부부가 빗속에 운전하다가 길을 잃고 헤매던 중 차가 강물 속에 잠겨버렸습니다. 폭풍우가 몰아치는 험한 날씨에다 혼란스러운 도로표지판 때문에 길을 잃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들은 차 안에 물이 차오르자 휴대폰으로 911에 전화를 걸어 구조요청을 했지만 끝내 구조되지 못하고 부부가 함께 물에 잠긴 차 안에서 숨졌습니다. 911에 전화를 했지만, 영어가 미숙해 충분한 상황설명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영어 미숙으로 목숨까지 잃게 된 안타까운 사고였습니다.
 
이 이야기는 영어를 잘하지 못해서 이민자가 겪게 된 극단적인 사례입니다. 그러나 그런 극단적인 사례가 아니더라도 이민자들이 영어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크고 작은 어려움과 불편함은 이루 헤아릴 수없이 많습니다. 
 
직업을 구하는 데 있어서 번번이 좌절하기도 하고 비즈니스를 하면서도 손해를 당하는 일이 자주 일어납니다. 자녀교육에서도 부모 역할을 제대로 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자녀와의 대화가 단절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심지어 돈 주고 커피나 패스트푸드를 사 먹으면서 영어 때문에 수모를 당하기도 합니다.
 
 

 

 
한인 이민자, 현지 기업 취업 드물어 

 
캐나다의 대부분 기업들은 직원을 채용할 때 영어로 인터뷰를 두세 번에 걸쳐 진행하므로, 영어 능력이 부족한 한인이민자들의 취직이 어렵다. [사진 freepik]

캐나다의 대부분 기업들은 직원을 채용할 때 영어로 인터뷰를 두세 번에 걸쳐 진행하므로, 영어 능력이 부족한 한인이민자들의 취직이 어렵다. [사진 freepik]

 
캐나다에서는 대부분의 직장에서 다양한 민족 출신의 이민자들이 일하고 있습니다. 특히 많은 이민자가 일하는 웨어하우스 잡 같은 육체노동을 하는 직장의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그런데 그런 직장에서 유럽계는 말할 것도 없고 아시안 중 필리핀계 중국계 인도계 직원들은 굉장히 많이 눈에 띄는데 유독 한국인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다시 말해 현지 기업에 취업하는 한인 이민자들이 극히 드물다는 얘기입니다.
 
왜 그럴까요. 바로 영어 때문입니다. 한인 이민자가 취업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 아니라 취직을 하고 싶어도 영어가 안되기 때문에 못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한인 이민자가 다른 민족 출신보다 영어 능력이 가장 뒤진다는 것과 마찬가지이기도 합니다.
 
제대로 규모를 갖춘 기업들의 경우 직원을 채용할 때 보통 두세 번에 걸쳐 인터뷰합니다. 물론 영어로 인터뷰하지요. 그런 기업에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언어소통이 안 되는 취업희망자를 직원으로 뽑아줄 리 만무합니다. 결국 영어가 안되면 현지기업에 취업할 수 있는 길이 원천적으로 막혀버리게 됩니다.
 
설사 어떻게 해서 일자리를 구한다 해도 영어가 짧으면 일하는 내내 엄청난 스트레스에 시달리게 됩니다. 어렵게 취직했다가 버티지 못하고 그만두는 사람도 적지 않은데 대부분 영어 스트레스를 견뎌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비즈니스를 하더라도 영어 능력이 떨어지면 떨어질수록 돈을 벌기가 더 어렵습니다. 우선 비즈니스 범위가 좁아집니다. 즉 영어권 고객을 아우르는 비즈니스를 해야 업종선택 범위도 넓어지고 고객층도 두터워지는데 영어가 안되면 고작 한인을 상대로 하는 업종을 선택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그만큼 비즈니스가 영세할 수밖에 없고 수익을 내는 데도 한계가 있는 것이지요.
 
한인 이민사회에서 비즈니스로 성공한 사람들 대부분이 영어에 능통하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습니다. 비즈니스를 하려는 이민자에게 영어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잘 입증해주는 대목이지요. 
 
밴쿠버에서 대형 커피숍을 여러 개 운영해서 돈을 많이 번 한인 비즈니스우먼한테 이런 얘기를 들었습니다. “고객이 커피를 주문할 때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이것저것 묻기도 하고 일상의 대화를 나누게 되는데 그때 영어소통이 완벽하지 않으면 그 고객은 다시 찾아오지 않는다.”
 
밴쿠버의 경우 경제적으로 넉넉해 애써 취업이나 비즈니스를 하지 않아도 여유롭게 이민생활을 즐기는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 그러면 그런 이민자들의 경우 영어를 못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요. 
 
아닙니다. 영어는 꼭 취업이나 비즈니스를 위해서만 필요한 게 아닙니다. 부자 이민자의 경우 돈 버는 문제로 인한 어려움이나 불이익은 걱정할 필요가 없겠지만, 영어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겪어야 하는 크고 작은 불편함이나 스트레스는 이민 생활하는 내내 털어버릴 수가 없습니다.
 
 

 

 
영어 못하면 일상서도 낭패 

 
한인 이민사회에서 영어를 못하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어 스트레스를 받는다. [사진 Pixabay]

한인 이민사회에서 영어를 못하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어 스트레스를 받는다. [사진 Pixabay]

 
일단 집 밖을 나가면 영어 스트레스에 부닥치게 되어 있습니다. 레스토랑에 가서 음식을 주문할 때 웨이터나 웨이트리스들이 농담 섞어 말을 걸어옵니다. 은행에 가면 텔러들이 묻지도 않았는데 자꾸 말을 시킵니다. 몸이 아파 의사를 만나면 의사들이 정확한 진단을 위해 묻는 게 많은데 말이 나오지 않아 답답하기만 합니다. 의사가 환자가 모두 알아듣고 있다는 가정하에 의학전문용어를 써가며 얘기하면 무슨 진단을 했는지 제대로 알아듣지도 못하고 스트레스만 잔뜩 받은 채 집으로 돌아와야 합니다. 
 
또 가끔 은행이나 관공서에서 집으로 전화를 걸어 이것저것 묻기도 합니다. 제대로 알아듣지도 못한 채 전화를 끊고 나면 무지하게 중요한 일을 망친 것 아닌가 하는 걱정을 하게 됩니다. 그것 역시 적지 않은 스트레스입니다.
 
대개의 이민자 집안에서 그나마 영어소통이 되는 식구는 아이들입니다. 부모와 함께 이민 온 아이들은 학교생활을 하면서 몇 개월 지나면 영어로 의사소통하게 됩니다. 일단 아이가 영어에 귀가 트이고 말문이 열리게 되면 영어 못하는 부모들이 밖에 나가 일을 볼 때마다 아이를 데리고 가려 합니다. 그것도 한두 번으로 끝나면 괜찮습니다. 그러나 허구한 날 그런 일이 반복되면 아이가 짜증을 내기 시작하고 아이에 따라서는 부모를 무시하기도 합니다.
 
아이들이 장성해 결혼할 때가 되면 영어로 인한 마음고생을 또 하게 됩니다. 서양 사위나  서양 며느리를 보게 되는 경우입니다. 우선 사돈과 친하게 지내고 싶어도 말이 안 통하니 그렇게 할 수가 없습니다. 뭐든 살갑게 해주고 싶고 정을 주고받고 싶지만, 의사소통이 안 되니 마음만 답답할 뿐입니다. 사돈은 안 만나고 지내면 된다손 치더라도 사위나 며느리는 안 보고 남처럼 지낼 수도 없는 가까운 가족구성원입니다.
 
한인 이민사회에는 영어를 아예 포기한 채 살아가는 이민 1세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물론 하루에 영어 한마디 안 하고도 살아갈 수는 있습니다. 한인업소에 취직해서 일하고 한인 슈퍼에 가서 쇼핑하면 됩니다. 또 집에서 인터넷으로 한국방송을 시청하고 한인끼리 만나 한인 식당가서 식사하고 일요일엔 한인교회 가서 예배보거나 한인들끼리 모이는 각종 모임에 가입해 취미생활을 하면 크게 불편할 것도 없습니다. 몸은 캐나다 땅에 와있지만, 생활은 한국식 그대로 하는 것이지요.
 
 

 

 
‘한인 끼리’는 자녀 장래에 나쁜 영향 

 
이민 올 때 꼭 가지고 와야하는 필수품은 '영어 능력'. [중앙포토]

이민 올 때 꼭 가지고 와야하는 필수품은 '영어 능력'. [중앙포토]

 
하지만 그런 이민생활은 캐나다에 살면서도 캐나다의 문화나 생활풍습을 제대로 파악하고 즐기기 어려울 뿐 아니라 다양한 타민족 사람들과 어울리는 데도 한계가 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부모의 일상생활 범위가 한인끼리 그리고 한인사회에 국한될 경우 자녀들의 장래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이민 1세는 그렇다 치더라도 자녀들은 좀 더 넓은 세상, 흔히 말하는 주류사회에 진입하여 좋은 대우를 받으며 당당하고 떳떳하게 살아가야 하는데 부모가 좁은 한인사회에 사는 것으로 만족하게 되면 자식들도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가 좁아지기 때문입니다. 자식이 그렇게 좁은 세상에 살기를 바라는 부모는 없을 것입니다.
 
이민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필자는 이런 주장을 하고 싶습니다. 이민 올 때 꼭 가지고 와야 하는 유형 무형의 필수품 가운데 '영어 능력'을 프라이어리티 넘버 원으로 챙겨 오라는 것입니다. 물론 돈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돈이 있어도 영어를 못하면 언젠가 그 돈을 다 까먹고 빈털터리가 될 가능성이 크지만, 영어를 잘하면 돈 벌 기회가 많아질 뿐 아니라 이민생활이 훨씬 즐겁고 보람 있고 행복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호석 밴쿠버 중앙일보 편집위원 genman201@daum.net
 
 

[출처: 중앙일보] 캐나다 이민 갈 때 돈보다 중요한 건 '영어'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민정보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22건 1 페이지
이민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2 BC PNP 이민 사상 최초 관광요식업종 선발 제외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10481
121 코로나 바이러스가 내 캐나다 이민에 미치는 영향들 성공한 사람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8 9646
120 성공한 사람들의 2월 이민뉴스 성공한 사람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8 8420
119 [이민] 캐나다 이민, 자유당 재집권과 전망 성공한사람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4308
118 연방EE이민 초청자 3600명으로 늘어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 6227
117 EE 이민 통과점수 다시 낮아져 450점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5836
116 연방이민 통과점수 454점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4866
115 연방EE이민 초청자 1월에만 11,150명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6 4835
114 연방 EE 이민 통과 점수 443점으로 낮아져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4173
113 이민부, 영주권 신청자 생체정보 수집 31일부터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4476
112 캐나다 절반 이상 이민자에 거부감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7 5898
111 경제이민 신청자 최소 정착비 조건 상향 조정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4994
110 캐나다 이민 오는 한인 작년에 비해 크게 증가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4783
109 연방 EE 이민 초청자 11월 누계 8만 2000명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4363
108 마니토바 유학생 이민 문호 확대 중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 4119
107 BC주정부이민 추가점수 직업군 조정 표영태 기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6262
106 내년 이민자 목표 33만 800명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4526
105 EE 이민 초청 최다인원 이어갈까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4472
104 EE 이민 초청인원 3750명, 통과점수 440점 유지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4731
103 이민 수속 완료 시점 사전 확인 가능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6483
102 클럽이민 몬트리올 이민 유학 설명회 개최 밴쿠버 중앙일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4534
101 EE이민 통과점수 연간 최저 타이 기록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 4225
100 옥빌, 캐나다 새 이민자 위한 최고 도시 선정...밴쿠버는?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1 7178
99 하반기 첫 EE 카테고리 이민 3750명 선발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 4922
98 하반기 연방 EE 카테고리 이민 쉬워질까?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4 4532
97 BC PNP 기술이민 시범 프로젝트 1년 연장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7 4552
96 한국 음주운전 경력 이민자, 영주권 박탈과 추방까지 당할 수 있다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8768
95 EE이민 통과점수 441점...연중 최저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4807
94 온주정착 새 이민자 증가세로 반전 토론토 중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3917
93 전문직출신 새 이민 토론토 중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4222
92 이민자, 캐나다 구성의 골격 중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8 3869
91 연방정부 취업 이민 정원 늘린다. 중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8 3516
90 [주호석 이민스토리] 캐나다 한인 이민자 실업률 8%, 타국출신보다 왜 높나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8109
89 [주호석 이민스토리] 이민생활 10년이 넘어도 왜 영어를 못할까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8604
88 "장애, 더 이상 캐나다 이민의 장애물 안돼" 중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4573
87 캐나다에서는 유색인종 새 이민자가 제일 안전하다?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4711
86 캐나다에선 새 이민자가 훨씬 더 안전하다?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2886
85 주정부이민프로그램의 점수 동향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3148
84 캐나다 이민 정원 연 40만명선 확대 필요 토론토 중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3951
83 연방 EE 이민 최대 인원에 11일 초청장 발송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3928
82 급행이민, 올해 정원 대폭 상향 토론토 중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9 3406
열람중 [주호석 이민스토리] 캐나다 이민 갈 때 돈보다 중요한 건 '영어'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8822
80 [주호석 이민스토리] 기러기 아빠의 배우자 초청 이민, 부부관계 유지 입증해야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5467
79 캐나다 이민 남들은 쉽다지만 한인에겐 어려워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5 4600
78 `2018 부모및 조부모 초청이민 신청자격자 추첨실시 중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730
77 加, 역이민자도 따뜻히 품어 줘 토론토 중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3242
76 이민자 ‘장기적 지원’ 필요 토론토 중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3110
75 이민자, 캐나다 구성의 골격” 토론토 중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3419
74 [주호석 이민스토리] 이민 희망국 1위 캐나다, 한인 역이민 생기는 이유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13785
73 [주호석 이민스토리] 절차 빨라진 캐나다 영주권, 한국인에겐 되레 걸림돌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8864
72 [주호석 이민스토리] 나이 많고 영어 못하면 캐나다 주정부로 이민 신청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12500
71 [주호석 이민스토리] 이혼에 가족 해체까지… 위험한 기러기 부부 생활 주호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6918
70 연방 EE이민 커트라인 446점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6 4266
69 2017년 BC 새 이민자 3만8000명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3339
68 이민자에 가장 부정적인 州 어디? 이광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3614
67 부모초청이민 "내 이름 포함됐나" 표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3202
66 이민국에 이의제기 하는 방법!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3413
65 "캐나다 이민 후 한국 연금 해지 말아야" 이광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14201
64 연방 EE 이민초청자 커트라인 상승 반전 표영태 기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2947
63 3월 연방 EE 이민초청자 커트라인 456점 상승! 표영태 기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327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