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동성애자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인가?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건강의학 |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동성애자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9-11 12:57 조회2,990회 댓글0건

본문

이민 와 만나게 되는 이해하기 어려운 사실들

------------------------------------------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는 경구가 있다. 처음 캐나다로 이민왔을 때 몇 가지 이해가 안되고 받아 들이기 어려운 것이 있었다.

 

‘너’와 ‘나’를 불문하고 상대방의 ‘이름’을 부른다. 한의원 건물 주인이 그 당시 70을 훨씬 넘긴 노신사였는데, Mr.라는 호칭을 쓰니 슬쩍 웃으면서 ‘이름’만 부르라고 한다.

 

“어, 어찌 감히 어른의 이름을…” 그 이후로 Mr.란 호칭이 필자의 입언저리에서 빠져 나가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흘렀다.  그런데 또 하나의 문제는 필자보다 십수년 이상 연배 차이가 나는 대학 학생들이 필자 이름을 부를 때 심기가 편치 못하였던 데에 있었다.

 

“Hey, Daniel” “Oh, my goodness! How dare..” 그 때의 속앓이란...  고쳐줄 수도 없고, 상대를 안할 수도 없고. 세월이 흘러흘러, 20여년이란 세월 속에 이제는 많이 자연스러워지기는 했지만, 그 사이에 ‘로마법’을 따르는 것이 난감할 때가 적지 않았다.

 

이름은 지극히 개인적인 것으로 치부하고. 하루는 UBC에 다니는 학생이 자기 집에서 살면서 부모에게 임대료를 낸다는 말을 한다.

 

“뭐라고!” 아니 어떤 부모가 자기 자식한테 렌트(rent)비를 받는다는 말인가! 그 때는 아무리 생각해도, 아무리 이해하려고 해도 이해가 되지 않았다.

 

세상 천지, 부모 자식간에 방값이 오고 간다니. 그런데 그것이 전부가 아니었다. 적지 않은 학생들이 부모로부터 학자금 지원을 받지 않고 대출을 받든지, 일을 하든지 스스로가 해결하는 것이었다.

 

이거 부모가 너무 야박한 것 아닌가. 그런데, 정말 세월이 약이라고, 20여년의 세월 속에서 그런 ‘로마법’이 조금은 익숙해지고, 지금은 자식이 부모에게 임대료를 주고, 학생 스스로가 그 부모의 도움을 기대하지 않고  학자금을 스스로 조달하는 것에 대해 별 의아함이 들지 않는다.  

 

또 무엇이 있을까. 아, 개를 빠뜨릴 수 없다. 한국에서는 길거리나 학교 운동장에서 개를 본 적이 있을까. 물론 있었겠지만 그런 경우는 드물었다.

 

그런데 이 ‘로마’에는 한마디로 ‘개 천지’다. 코퀴틀람과 버나비가 만나는 지점에는 SFU로 올라가는 잘 단장된 아름다운 몇 갈래 오솔길이 있다. 날이 좋을 때면 한 달에 몇 번을, 그 길을 따라 올라가면 마음이 시원해진다.

 

거기에는 해와 꽃, 산들거리는 바람 그리고 새가 있다. 그 길에서 세상 시름 다 지워지고 마음의 쉼 그리고 healing을 만끽한다. 그런데 그 시원한 마음을 늘 긴장시키고 불쾌하게 하는 ‘것’이 있으니 다름아니 '개'다. 아니, 천지 분간 못하는 개에게 죄를 씌울 것이 무엇인가.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개를 방치하는 ‘개주인들’. 몇 번을, 위험 천만을 감수해 왔는데, “당신들, 제발 개를 풀어 놓지 말아주세요!”라고 하소연하고 싶은 심정이 굴뚝같아도, 그 말이 입밖으로 나오지는 못하고. 한 번은 정말 야수처럼 짖어대면서 공격해 오는 집채 만한 개 두마리에 둘러쌓여 혼비백산한 적이 있었다.

 

그 때 그 주인 (여자 둘이었다) 하는 한마디 말. “Sorry.” 이것도 로마법인가. 악법도 법이라 하지만 만인이 산책할 수 있는 그 길에 개를 풀어 놓아도 된다는 법이 있다면 (사실은 개를 풀어 놓지 못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런 개보다 못한 법은 폐기해야 되는 것이 아닌가.

 

아, 최소한 이 오솔길에서만은 개없는 ‘로마’에서 살고 싶다. 그런데 어찌하랴. 로마에 살고 있는한, 이런저런 로마법에 익숙해야 하니. (그 뒤로 이 사랑스런 오솔길을 포기해 버렸다)

 

그런데 ‘로마’에 살면서 아무리 세월이 흘러도 이해되지도 않고 받아들일 수도 없는 로마법이 있는 것 같다. 벌써 10년이 흘렀을까.

 

하루는 어떤 여성이 한국분 소개를 통해 본원을 방문했다. “늘 목이 딱딱(tight)하고 어깨가 아픕니다. 제 아내에게 안마를 받으면 조금 가벼움을 느낍니다.” 필자는 그 때 귀를 의심했다.

 

잘못 들었나. ‘wife라니’  체질은 목양인(태음인). 사람이 점잖하다. 말수가 많지 않다. 치료 방향과 건강 지침에 대한 설명을 비교적 잘 듣고 따른다. 아픈 사람 돌보는 의사에게는 참 좋은 환자다.

 

그리고 몇 차례 방문하면서 회복이 비교적 잘 되었다. 그런데 ‘wife’란 말, 무슨 뜻일까’ 환자를 소개한 한국인을 통해 들은 말, “동성연애자입니다.” “네?” 살면서 말로만 듣던 동성연애자와 그 때 처음 맞딱드렸다. 그런데 기괴할 줄 알았는데, 좀 이상할 줄 알았는데, 그도 사람. 아프니 치료가 필요한 사람, 건강에 대해 관심을 보이는 사람, 그리고 그의 삶을 잠시 들어보니, 세상 사람 누구나 동일하게 삶의 노고와 무거움을 갖고 있는 사람. 그런데 그녀에게 wife가 있다 하니, 이 무슨 (필자에게) 괴담이란 말인가.

 

로마에 오니, 로마법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동성간의 연애 그리고 결혼, 이것을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합법화한 로마법. ‘동성’간의 결혼을 합법화하여 ‘이성’간의 결혼과 동등한 법적, 사회적, 경제적 혜택을 부여한 로마법. 도데체 결혼이 무엇이길래, 同性간에도 동일하게 ‘결혼’이란 법, 윤리, 도덕 그리고 양심의 이치에 해당하는 인간 본질적인 順理(순리)를 가져다가 붙칠 수 있을까.

 

동성연애자들은, 그들이 동성연애자가 된 것은 ‘성적 도착’이 아니라, 태어날 때부터 이미 정해졌다는 논리를 펼친다. 그러므로 이는 병도 비정상도 아니며 자신들은 인간 사회의 정상적인 구성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정신과의학에서는 이를 엄연히 성심리적 장애의 한 가지로 규정하고 있고,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성도착의 한 가지 유형이라고 말한다. 도착이라는 말은 전도 (바뀐다는 뜻)되어 착오된다는 뜻으로 성도착의 경우는 성의 기능과 방법 및 대상이 도착되는 것인데, 이는 성 자체의 문제뿐만 아니라 인간 존재의 왜곡에까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동의정신의학)

 

정신분석의 대가, 프로이트는 “동성연애자들은 어디 하나 흠 잡을 데 없을 만큼 교양이 있고 보통 사람들보다 지적이고 도덕적이라 할 만큼 빼어난 남녀”라고 하였다. 그는 계속하여 “동성연애자들은 동성애를 옹호하는 사람의 학문적 이론을 들어 자기들은 인류의 특별한 변종이며, 다른 양성과 동일한 권리가 있는 ‘제 3의 성’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동성연애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그들은 ‘타고난’ 혹은 ‘선택된’ 자들이 아니요, 선택된 자들이기는 커녕 별종의 변태자와 마찬가지로 성적으로 열등한 자이며 적어도 (성적으로) 무능한 사람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하여, 동성애를 성도착이라 규정하였다. 

 

체질을 동성애와 결부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첫째는 필자는 그들을 진료한 경험이 지극히 적다.

 

다만 동성연애자들이 대개 지적이면서 내향적이며 감정분출에 소극적이고 도덕적인 사람들에 많다는 것과 필자의 그래도 적은 경험으로 볼 때 음인에게 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닌가 싶다.

 

프로이트같은 사람이 인간 정신 심리를 파들어 간 것처럼 동성애는 노이로제 (신경증)가 다른 모양으로 분출된 도착이다.

 

그러므로 이를 성심리적 장애로 본다면 이는 마땅히 정상 상태로 회귀되어야 한다. 그런데 오늘날과 같이 동성애를 인간 내면의 정상적 욕구 분출의 한 가지로 보고 합법화하고 이에 대한 원천적 거부감을 갖고 있는 이들을 오히려 차별하는 것은, 결국 그들을 병든 인간으로 머물게 하고 이사회를 ‘병든 사회’로 만드는 것이니, 프로이트와 같이 동성애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가진 정신과 의사들이 얼마만큼 있어야 할까. 세상에는 세월이 흘러도 변함없는 순리가 있다.

 

음식, 옷, 언어 (문화)도 바뀌고, 관습도 바뀌고 법도 바뀔 수 있지만, 자연 안의 순리 그리고 인간 안의 순리는 아무리 바꾸려 해도 바꿀 수 없고 바꾸어서는 안된다.

 

태고적의 바람은 지금도 동일한 바람이요, 그 때의 물과 물고기는 지금 여전히 똑같은 물과 물고기다. 그리고 역시 태초의 사람은 지금 현재 한치도 다름없는 사람일 뿐이다.

 

누가 그 때의 꽃이 지금은 소나무로 변했다고 하는가. 이는 꽃과 소나무에 대한 동일한 모독이다. 하물며 천하를 주고도 살 수 없고 바꿀 수 없는 사람에 대해서랴.

 

 옛말에 ‘順天者는 興하고 逆天者는 亡한다’고 하였다. 한 남자와 한 여자의 만남 (결혼)을 통한 사랑과 종족 보존 그리고 가족의 구성은 인간과 우주 안에 내재되어 있는 절대적 順理의 법칙이다. 이 법칙에 위배하는 행태가 자행되고 도출될 수는 있지만 그러한 思潮(사조)가 뿌리를 깊게 내리면 내릴수록 그리고 짙어지면 짙어질수록 각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그리고 인류 전체의 미래가 어떨 지 지 눈에 선하다.

 

이러한 순리가 뿌리부터 흔들리는 시대, 그렇다면 우리는 어디에, 누구에게 실상을 고하고 그 뿌리를 보호해야 하나. 아, 한가지, 그대 法條文(법조문)을 다루는 자들이여, 소수자의 권리나 福利(복리)라는 조문을 순리에 기초해 사용하기를 바랄 뿐이로소이다.

 

권호동.gif

권호동 다니엘 한의원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1,837건 18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7 이민 [이민칼럼] 6월 중 이민부 동향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6620
136 건강의학 커피, 생강차, 구기자차 그리고 모과차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6632
135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고용한 리얼터에게 돈을 빌려 디파짓을 하려는데 - Quick Fix or Quick…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6659
134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돈이되는 미등기전매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6702
133 부동산 [주택관리] 각종 난방의 장단점, 과연 무엇일까 ?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6722
132 부동산 [조동욱 부동산 칼럼] 집 주인이 직접 지은 집 매매하기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6730
131 이민 [이민칼럼-이경봉] 말소된 영주권갱신과 절차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6753
130 금융 [김경태 박사의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인생설계} RESP의 오해와 실수들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6758
129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범죄기록 오역만 바로잡아도...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6792
128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현금’(Cash Surrender Value) or ‘보험금’(Deat…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6823
127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BC주의 주택 공시지가에 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6837
126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범죄경력과 캐나다이민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6843
125 건강의학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원플레인 스윙(One Plane Swing)?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6843
124 이민 [이민칼럼] Express Entry 정리 와 이민신청 가능한 방법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6846
123 이민 [이민 칼럼] LMIA심사와 고용주 조사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30 6853
122 이민 [이민칼럼] 캐나다 이민역사 150년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 6866
121 이민 [이민 칼럼] '장애자녀' 또는 '장애 부모' 초청 이민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3 6870
120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신청조건이 쉬운 서스캐처원 주정부이민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6878
119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한국의 암보험과 캐나다 중병보험의 차이점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6880
118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지붕 덮개 종류, 특성, 시공 및 보수(1)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6884
117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변경 실시될 시민권 요약, 그리고 캐나다 비자 사무실 유형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1 6884
116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미숫가루에 음양이 있습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6886
115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공소권 없음 결정 사소한 접촉사고 영주권 신청 장애?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6886
114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실내 벽 크랙 보수(Wall Crack Repair) 및 터치 업 페인팅(To…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6889
113 이민 [이민 칼럼] ​ 심각한 PR 카드 수속지체 현상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6917
112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2019년 부모, 조부모 초청 이민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6917
111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부동산의 해외자산 신고시 유의사항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6928
110 이민 [이민 칼럼] 취업비자 영주권 취득 쉬워져야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9 6946
109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맨(13) - 변기 물탱크 부품 교체 및 수리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6960
108 변호사 [캐나다 법률 여행] 비즈니스 거래할 때 검토해야 할 사항들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7007
107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맨 - 지붕 덮개 종류 별 특성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7021
106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브릿징 오픈 취업비자 (Bridging Open Work Permit)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7040
105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변경된 시민권 제도와 이민소식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6 7040
104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땀을 흘려야 할 사람, 흘리지 말아야 할 사람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7052
103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혈중알콜농도 0.08 미만 음주운전 기록과 Criminality 이슈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7054
102 건강의학 [체질칼럼]보리차를 마셔보세요!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 7055
101 이민 [이민 칼럼] LMIA 수속 지체 현상 개선되어야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2 7108
100 변호사 소액 소송, 어떻게 진행되나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6 7135
99 금융 [김순오 회계사의 세무 칼럼] 세무 감사 절차 및 대응 김순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7149
98 부동산 주택매도절차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7159
97 이민 [이민칼럼] 수월해진 영주권 포기 절차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7177
96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배우자에게 부동산 이전시 세법 규정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7187
95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화장실 변기 왁스실 링 교체 방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7191
94 이민 시민권 인터뷰 사례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7238
93 건강의학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공의 탄도와 방향 그리고 비거리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7273
92 이민 [이민칼럼] 새 시민권법 일부 발효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 7290
91 금융 [김순오 회계사의 세무칼럼] 법인 세무 김순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7330
90 금융 [김경태 박사의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인생설계] RRSP얼마나 알고 있나?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7340
89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2019년 Biometrics(바이오메트릭스- 생체인식) 정리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7342
88 역사 [한힘세설] 논어강독(論語講讀) 19 인仁이란 무엇인가?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7360
87 건강의학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골프공의 회전(Spin)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7392
86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생리적 변비, 병적 변비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7446
85 이민 [성공한 사람들] RNIP 시행 임박! 미리 준비 해야 할 때 !! 아이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7491
84 이민 [이민칼럼] 캐나다 이민의 기회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7501
83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한국에서 혼인신고, 캐나다에서 결혼식 언제 효력 발생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7507
82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지붕 뎦개 시리즈5 - 기와 지붕 및 깨진 기와 교체 방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7510
81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한국 거주자의 캐나다 부동산 취득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7577
80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고구마는 대장에 좋습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7584
79 이민 [이민칼럼] 자영업이민을 신청하려면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7590
78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노동 허가서 발급 후 “국경에서 워크퍼밋 받기”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7597
77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부동산 취득세(Transfer tax) 및 면제제도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7607
76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EE 및 BC PNP 선발점수 동반 상승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7676
75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캐나다의 저축성 생명보험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7765
74 변호사 이혼 소송, 정확하게 알고 진행해야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7798
73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입국 거절과 출국명령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30 7816
72 이민 [이민칼럼] 유효한 영주권 카드 소지와 연장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0 7834
71 이민 [이민 칼럼] 부모 초청이민 준비 시작해야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7853
70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법원경매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7870
69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밴쿠버의 빈집세에 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2 7880
68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한국의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7918
67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초청된 부모님의 노년 연금(Old Age Security)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7954
66 부동산 [주택관리]부엌 싱크대 배수관 막힘 보수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7955
65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캐나다 이민을 준비하는 첫 단계는?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7 7975
64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LMIA 면제 워크 퍼밋과 오픈 워크 퍼밋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7994
63 부동산 [이용욱의 부동산 칼럼] 밴쿠버 주택시장, '평균회귀의 법칙'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8050
62 변호사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범죄기록을 숨기고 이민절차가 이미 진행된 경우 대처방법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8061
61 이민 [이민칼럼] 연방 기술직 이민으로 한인이민 늘어날 듯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8133
60 금융 [부동산 세금이야기] 해외 임대소득 신고(Foreign rental income)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8135
59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집에 너무 가까이 나무를 심지 마세요!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8157
58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시민권, 영주권 포기와 한국국적 회복절차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8159
57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영주권 신청 거절사유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8225
56 부동산 한승탁-집) 취미로 텃밭을 돈 안들이고 기름지게 만드는 방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8325
55 이민 [이민 칼럼] EE 신청후 거절되는 경우도 많아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8372
54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해외 부동산 양도소득 신고(Foreign capital gain)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8386
53 부동산 밴쿠버가 토론토를 제치고 캐나다에서 가장 물가가 비싼 도시로 평가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8398
52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나는 우리 집 핸디 맨 - 부엌 씽크대 음식물 분쇄기 고장 해결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 8417
51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수퍼비자 ( Super Visa) 신청을 하려면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8440
50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주정부승인 받은 후 문제가 생겼을 때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3 8450
49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 맨 - 온수 탱크 (Hot Water Heating Tank) 안내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8521
48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나는 우리 집 핸디 맨 - 가스 벽난로 점화 방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8577
47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집 수정 펌프(Sump Pump) 설치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9 8602
46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겨울철 외부 수도 동파 방지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8684
45 건강의학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스윙궤도 이야기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8691
44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닭고기가 맞지 않습니다!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8713
43 변호사 BC주에도 이혼 위자료가 있나요?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2 8715
42 부동산 나는 우리 집 핸디맨 -안전하게 나무 자르는 방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8789
41 건강의학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공을 치는 순서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8804
40 부동산 [최재동의 부동산 칼럼] 죠닝(Zoning)이란?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8930
39 건강의학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샤프트(Shaft)의 강도에 대하여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8973
38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집 지하의 물 샘 및 흐름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5 899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