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적 사고 또는 그리스적 사고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문화 | 히브리적 사고 또는 그리스적 사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Danie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7-19 13:53 조회3,993회 댓글0건

본문

 

 

우리의 구원자이시며 주님이신 예슈아(예수님)께서 죽음에서 다시 살아나셨고 그리고 그의 제자들이 좋은 소식 (복음은 좋은 소식을 의미)을 전할 당시에 그들은 매우 다양한 세상에 살고 있었다. 그들의 종교 생활과 삶의 기본 틀은 성경적이었고 그 시대 초기 유대교의 분파이었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들이 전능자에게 헌신된 삶을 사는 사람들이라고 확신한 듯 하다. 지금 그들은 예슈아가 진정으로 누구신지 깨닫고, 하나님 아버지에 대한 그들의 헌신과 봉사가 또한 그의 아들에 대한 헌신과 봉사임을 알게 되었다.

 

그들은 2세기 이상 로마와 그리스문명이 많은 영향을 주는 세상에 살고 있었다. 그들이 좋은 소식을 전할 당시에 그들은 첫 번째 샤부오트 (오순절)날 예루살렘에 있던 유대인들과 이방인 개종자들의 무리에게 복음을 전했고 (사도행전 2:11) 그리고 세계 각처에서 온 사람들에게도 복음을 전했다. 브리트 하다샤 (신약성경)가 쓰여질 당시에 성경 저자들은 그들의 개성과 교육 수준과 살아온 배경에 따라 쓰게 되었다. 이것은 우리가 성령님의 감동을 받은 성경 저자들과 그들의 사고 방식을 잘 알게 되면 우리가 성경 말씀을 훨씬 더 잘 이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신약성경은 그리스어로 쓰여졌고, 가장 최근까지 그들의 문명이 로마와 그리스의 유산에 크게 영향을 받은 유럽인들에 의해 대부분 해석되었다. 이것은 거의 2,000년 동안 그리스적 사고 방식으로 성경이 해석되었을 뿐만아니라 너무나 자주 성경 저자들의 히브리적, 유대적 사고 방식의 이해를 희생시킨 대가로 이루어진 것이다. 우리 대부분은 이것을 잘 알고 있고 당연히 성경을 보다 정확하게 읽도록 해야 하겠다.

 

중요한 것은 히브리적 사고와 그리스적 사고 사이에 때때로 그릇된 이분법을 적용해서 아기를 목욕물과 함께 내다 버리는 것(핵심까지 버림을 의미)처럼 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다. 요하난 1:1 (요한복음)이 한 예인데 "말씀"이라고 한 것에는 히브리적 사고 뿐만 아니라 그리스적 사고를 이끌 만한 복합적인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다음 편에서 이 사고에 대해 좀 더 고찰하도록 하겠다. 지금으로서는 성령님께서 신약성경의 저자들이 히브리어로 쓰도록 감동하실 수 있었지만 주님의 복음은 온 세상을 위한 것이기에 그 당시 대부분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언어, 즉 그리스어로 쓰여진 것이다. 주님을 찬양합니다.

 

 Chosen People Ministries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140건 2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0 문화 [서동임의 포르테 피아노] 음악회 안가고 어떻게 연주하고 가르치나? 서동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 2688
39 문화 [그레이스 강의 손거울] 아는 게 병, 모르는게 약 그레이스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5 2644
38 문화 [그레이스 강의 손거울] 집, 그리고 빵 그레이스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5 2637
37 문화 [그레이스 강의 손거울] 음식은 다 맛있다 그레이스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5 2623
36 문화 [문학가 산책] 가을이란다 유병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2619
35 문화 청년 철학 산책 - 서문 유진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2605
34 문화 [그레이스 강의 손거울] '동생을 팝니다' 그레이스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5 2575
33 문화 [그레이스 강의 손거울] 무너지지 않는 장벽 그레이스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5 2574
32 문화 [한힘의 세상 사는 이야기] 헌혈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552
31 문화 12월의 단상 정용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549
30 문화 [문학가 산책] 또 한번의 구월 김순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2548
29 문화 [그레이스 강의 손거울] 아름다운 거리 그레이스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5 2547
28 문화 [그레이스 강의 손거울] 별난 생일파티 그레이스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5 2526
27 문화 [그레이스 강의 손거울] 진화하는 삶 그레이스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5 2493
26 문화 [문예정원] 가을을 위하여 강은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3 2473
25 문화 [문예정원] 만산홍엽(滿山紅葉) 정목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2418
24 문화 101회 문학사랑 신인작품상 신인작품상에 당선-전재민 전재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2413
23 문화 해와 달과 별의 서시 / 추석 박은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409
22 문화 산행사고로 사망한분의 입관식에 다녀와서 전재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2376
21 문화 [문예정원] 가을의 상형문자 이상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2246
20 문화 <시인마을> 아이오나 비치에서. 전재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222
19 문화 골프 도(道)? 오강남 박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2091
18 문화 영혼이란 무엇인가, 있기는 한 것인가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8 2041
17 문화 [늘산 칼럼] 교회가 얼마나 성경에서 멀어졌는가? 늘산 박병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6 2023
16 문화 「축소지향의 일본인」을 다시 읽으며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792
15 문화 상식의 허실 1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1711
14 문화 원석과 조각상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580
13 문화 보릿고개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1579
12 문화 완구 없는 역사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557
11 문화 백면 지식인의 망언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556
10 문화 우주를 향한 질문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539
9 문화 나들이 옷의 비극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1537
8 문화 겨울과 참새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1506
7 문화 [오강남 박사의 길벗 교양강좌 지상중계] 코로나 이후 종교는 어떻게 변화하게 될까?-1 오강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1340
6 문화 [오강남 박사의 길벗 교양강좌 지상중계] 코로나 이후 종교는 어떻게 변화하게 될까?-2 오강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 1306
5 문화 영혼에 대해 묻는 이에게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959
4 문화 오유순 회고록을 읽고 나서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3 829
3 문화 사랑한다고 말하면 사랑하는 것인가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774
2 문화 문학과 나의 삶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722
1 문화 외로움이란 무엇인가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9 52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