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영어 포기자도 할 수 있는 영어 공인 시험 준비 방법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이민 |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영어 포기자도 할 수 있는 영어 공인 시험 준비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1-10-13 07:53 조회2,881회 댓글0건

본문

2585042270_vcLWpM4K_d29d876fa7ec2699ab4021a99bd572009b0e3b78.jpg

A person wearing a purple dress Description automatically generated

박혜영 대표, Victoria Immigration Services Ltd. 

«캐나다 정부 공인 이민 컨설턴트 (R511417)

«캐나다 전문 유학 컨설턴트 (CCG 700)

«영어 교수법 석사 

«알버타주 커뮤니티 통역사 

«알버타주 커미셔너 포 오스


요즘 다양한 캐나다 영주권 프로그램을 통해서 많은 분들이 이민을 신청하고 있습니다. 반면, 캐나다 거주를 10년 이상 하면서도 영주권 신청 조차도 못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안타까운 경우는 공인 영어 시험 점수가 준비되지 않아서, 영주권 신청을 못하시는 분들입니다. 또한, 몇 년째, 캐나다에서 경력을 쌓아도, 영주권 신청을 언제 할 수 있을지 예상을 하지 못하시는 분들도 대부분 공인 영어 점수가 없을 때가 많습니다. 

 

필자는 가끔씩 영어 공인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중, 한두 달 만에 원하는 점수를 받으셔야 하는 분들을 위해, 1:1 영어 개인 교습을 하고 있습니다. 영어 기본기가 있으신 분들은 필자의 집중 지도를 20시간 정도 받으시면, 바로 원하는 점수를 획득하셔서, 빠르게 이민 신청이나 학교 입학 신청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과 캐나다에서 공식적인 영어 공교육을 제외하고는 체계적인 영어 공부를 하지 않으셨던 분들은, 영어 공인 시험 문제 유형별 공략 방법을 알려 드려도, 단기간에 목표로 하는 영어 점수를 받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공인 영어 시험 결과 없이는, 캐나다 이민 신청을 할 수 없다는, 위중한 상황을 지켜보면서, 필자는 영어 포기자도 영어 공인 시험을 준비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생각의 전환만 있으면, 사람에 따라서, 불가능해 보였던 영어 점수 달성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오늘 칼럼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캐나다 내에서 영주권 신청을 위해 필요한 영어 공인 시험은 아이엘츠 제너럴(IELTS General)과 셀핍 제너럴(CELPIP General)입니다. 이 두 시험 모두 수험자의 영어 능력 측정을 하는데 공신력이 있으며, 각 모쥴 5점 이상의 점수를 받는다면, 기본적인 의사소통은 가능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두 시험 모두 해를 거듭할수록 문제의 난이도가 높아져서, 영어 포기자들이 몇 달안에, 목표로 하는 영어 점수를 달성하기에는 상당히 어렵습니다. 따라서, 오늘 칼럼에서는 수험자 성향에 기반해서 더 유리한 시험을 선택하는 방법, 영어 기본 실력 높이는 방법, 그리고 마지막으로 실전 연습하는 방법들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처음 공인 영어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아이엘츠와 셀핍 시험을 준비하실 때, 어떤 시험이 본인이 목표로 하는 점수를 얻는데 유리한지 고민을 반드시 하셔야 합니다. 우선 무료로 접근할 수 있는 기출문제 시험을 두 시험 모두 정해진 시간 내에 풀어본 후, 문제 풀이가 쉽다고 생각되는 시험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보통 어떤 시험을 준비할지 결정할 단계에서 인터넷이나 주변 사람들의 의견을 맹목적으로 신뢰해서, 기출문제 풀이를 통한 개인별 성향 분석을 하지 않는다면, 시험 준비하는 동안, 시간 낭비뿐만 아니라 공부 효율성이 오르지 않아, 막상 시험을 보게 되면, 낭패를 보기 쉽습니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의견도 들어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상 본인에게 어떤 시험이 더 유리한지, 기출문제 풀이를 통해 확인 과정이 동반되어야 합니다. 

 

다음은 어휘와 영어 구문에 대한 기초 실력 다지기가 필요합니다. 요즘 셀핍(CELPIP) 기출문제를 풀어보면, 한국 기준으로 대학 영어 이상자만 이해할 수 있는 상당히 고급 수준의 어휘가 문제 초반부터 나옵니다. 또한, 영어 지문을 이해하고, 문제를 푸는 방법에 익숙하지 않는다는 문제점까지 동시에 직면하면서, 문제 풀이에 대한 방향감을 완전히 잃어버리게 됩니다. 따라서, 아이엘츠와 셀핍 기출문제 어휘가 우선순위가 아니라, 영어 지문 자체를 읽고 바로 이해할 수 있는 실력을 만들기 위해, 영어 기초, 기본 단어와 영문법 학습을 시작해야 합니다. 다행히, 한국에서는 책 분량이 부담되지 않는 우수한 영어 기초, 기본 어휘와 문법 교재가 많아서, 이들 책들을 구입해서 차라리 몇 달 공부하는 것이, 기출문제 풀이를 통해 실력 향상을 노리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입니다. 

 

영어 어휘가 중요한 것은 알지만, 외워도 금방 잊어버려서 동기 부여가 어렵습니다. 사실, 일부 소수 머리 좋은 신 분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거의 비슷한 기억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보통 사람들에게 ‘기적의 영단어 암기법’은 없습니다. 사람의 기억은 크게 단기와 장기 기억이 나누어지는데, 단기 기억이 아닌, 장기 기억 속에 저장될 수 있을 정도로 많이 연습하고 익숙해져야, 언제 어디서든 어휘의 뜻을 기억해 낼 수 있습니다. 즉, 단기 기억은 원래 몇 초밖에 지속되지 않기 때문에, 외우고 돌아서면 원래 잊어버리는 것은 당연합니다. 보통사람들이 외운 영어 단어를 쉽게 잊어버리는 것은 인간의 단기기억에서 몇 초 동안만 유지되도록 뇌신경학적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이라, 단순히 머리가 좋고 나쁘다의 문제가 절대 아닙니다. 

 

따라서, 단기 기억 속에 몇 초 동안 머무르는 새로운 어휘는 오로지 다양한 노력으로 장기기억으로 저장시켜야만 합니다.  최대한 새로운 어휘를 장기 기억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어휘를 오래 기억하게 하는 적극적이고 다양한 노력을 동반해야, 장기 기억 속에 남아 있습니다. 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어휘 공부법으로는 ‘기억을 증진시키는 가장 좋은 약은 반복, 반복하는 것이다 (“Repeat,” “Repeat,” that is the best medicine for memory.)’라는 격언 처럼 가능한 많이 새로운 어휘를 반복적으로 접하는 것이고, 새로운 어휘가 나오는 구문을 통째로 외워보면서, 어휘가 사용되는 상황을 새로운 어휘와 접목 시켜서 장기 기억으로 유도하거나, 그림 연상법 등과 같이 새로운 어휘를 오래 기억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등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입니다. 

 

캐나다는 공교육 기반 시설이 우수해서, 각 커뮤니티마다, 도서관들이 많습니다. 도서관에는 많은 책들이 있지만, 영어 포기자들에게는, 어휘수가 많지 않고, 몰입하기 쉬운 유아, 오디오가 있는 아동용 그림 동화책을 추천합니다. 이들 책이 좋은 것은, 책을 펼치는 순간 화려하고 재미있는 그림과 함께 하는 동화 내용에 완전히 빠져서 영어에 대한 부담감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오디오를 통해 정확한 발음과 억양에 노출되어, 말하기 실력을 늘릴 수 있고, 편안한 스토리를 여러 번, 읽고 듣게 되면, 읽기, 듣기 그리고 쓰기 실력까지 노력 없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녀가 있는 분들은 육아 시간에,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 주거나 같이 오디오를 들으면서 즐겁게 동화책을 이용한다면, 영어 실력 향상뿐만 아니라, 자녀 교육에도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각 시험별 실전 연습은 반드시 기출문제 풀이를 통해서 하셔야 합니다. 아이엘츠는 캠브리지 잉글리쉬 기출문제(Cambridge English – Authentic Examination Papers)를 통해 실전 연습을 하시면 되고, 셀핍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판매 중인 온라인 유료 기출문제를 구입하셔서 연습을 하시면 됩니다. 

 

성인이 된 후 캐나다에 오신 분들은,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한 노력과 많은 시간을 영어 공부에 할애하지 않으면, 캐나다에 30년 혹은 40년을 살아도 영어를 잘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떤 공부든 왕도는 없으며, 기초가 없이는 중급 이상의 실력을 가지기가 어렵습니다. 오늘 칼럼은 영어 포기자도 기본으로 돌아가서 영어 공부를 하면, 충분히 목표로 하는 영어 공인 시험 점수를 받을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공부에 있어서의 문제는 시간의 부족이 아니라 노력의 부족이다(The problem of one’s Study is not lack of time but lack of effort.)라는 격언은 공부는 필수적으로 노력을 수반한다는 지극히 평범한 사실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노력을 하다 보면, 조금씩 나아지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목표에 도달할 수 있으니, 포기하지는 말고, 계속 앞으로 나아가시기 바랍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245건 3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5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사회가 원하는 영주권자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4034
44 변호사 [문변과 함께 떠나는 법률 여행] 캐나다 법률, 살인 사건 어떻게 처벌할까 ?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5907
43 부동산 [부동산 칼럼]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금리 동결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3832
42 변호사 [캐나다 법률 여행] 비즈니스 거래할 때 검토해야 할 사항들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6988
41 변호사 [캐나다 법률 여행] 차별을 참지 마세요 !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5162
40 변호사 [캐나다 법률 여행] B.C주에 있는 법원, 어떤 것일까 ?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5706
39 이민 [이민칼럼] 캐나다 이민역사 150년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 6842
38 금융 [ 채무 칼럼] 캐나다에서 가장 싸게 파산하는 방법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4417
37 변호사 캐나다 헌법, 어떻게 제정되었나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5960
36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외국인 노동자들의 명과 암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6 5280
35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영주권은 어떻게 받나?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10215
34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난민정책의 이모저모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4818
33 이민 [이민 칼럼] 개선되는 캐나다 이민정책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8 4240
32 금융 캐나다 국세청은 세금체납자의 세금을 감면해 줄까요? (2)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3816
31 금융 캐나다 국세청은 세금체납자의 세금을 감면해 줄까요? (1)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3539
30 금융 캐나다 새 정부예산안과 재정관리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1 4034
29 이민 [이민 칼럼] 6개월 유예된 캐나다 전자 여행 허가제도(eTA)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4045
28 이민 캐나다 난민정책이 이민자에 미치는 영향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2 5852
27 금융 2016년 새해 캐나다 경제 전망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5599
26 금융 캐나다에서 채무청산하는 방법 – 개인회생 (4)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8 5736
25 금융 캐나다에서 채무청산하는 방법 – 개인회생 (3)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4241
24 건강의학 ‘한국식’ 음식, ‘캐나다식’ 음식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4156
23 금융 캐나다에서 채무 청산하는 방법, 무엇이 있을까 ?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4713
22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새 정부의 난민정책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3766
21 금융 [SUNNIE JUNG과 함께 하는 채무 칼럼] 캐나다에서 신용카드 채무 청산 방법(2)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0 3749
20 금융 [SUNNIE JUNG과 함께 하는 채무 칼럼] 캐나다에서 신용카드 채무청산 방법 (1)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3 3654
19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영주권 포기절차 개정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6019
18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한국 거주자의 캐나다 부동산 취득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7555
17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사회가 이민과 외국인 노동자를 보는 두 가지 시선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4489
16 부동산 [부동산 칼럼] 캐나다의 주택 소유권에 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5061
15 이민 이민칼럼 - 노동허가서 발급과 캐나다 내 노동력 부족현상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3965
14 이민 [이민 칼럼] BC 주정부 North West 지역 파일럿 프로그램과 캐나다 내 주정부이민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4373
13 이민 [이민칼럼] 배우자 초청서류 신청 시 캐나다 안(Inside)과 밖(Outside)의 차이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6445
12 이민 [이민칼럼] 캐나다 무비자 방문 시 주의할 것 들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5801
11 금융 [ 남궁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캐나다를 떠난 후, 주택 양도소득은?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5623
10 이민 [이민칼럼] 한국–캐나다 FTA발효와 취업비자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5333
9 금융 [김순오 회계사의 세무 칼럼] 2014년도 캐나다 세법 변경 사항 김순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4275
8 금융 [김정아의 투자의 맥(脈)] 캐나다경제전망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0 3708
7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가 Express Entry 를 시행하는 이유 Q&A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4761
6 이민 [이민칼럼] 캐나다 사회에서 보는 강제결혼 풍습과 동성애자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4078
5 금융 [김정아의 투자의 맥(脈)] 캐나다 경제현황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3022
4 이민 [이민칼럼] 캐나다가 필요로 하는 이민자의 수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4403
3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입국 거절과 출국명령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30 7777
2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나무로 지은 캐나다 집 소음으로부터 완전히 자유 할 수 없어!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5222
1 금융 [김경태 박사의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인생설계] 캐나다인의 미국 해외자산 보고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496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