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1 (감정)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가입후 관리자의 승인을 받고 나서 글을 작성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이메일로 가입하신 이메일 주소를 알려 주시면 회원 등업을 해드리겠습니다.

info@joongang.ca

자유게시판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1 (감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0-07-06 15:36 조회762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1 (감정)

  

이 내용은 민동필 박사가 학생 또는 부모들로부터 받는 공부 방법, 두뇌의 발달, 사고력을 키우는 방법 그리고 공부 방법과 사회문제 등에 관한 질문들에 답을 하는 내용입니다. 이와 비슷한 주제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는 분들은 min@PonderEd.ca로 연락주세요.

  

  

- 상위권 대학의 교수들도 학생들의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키워주지 못한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대학의 기능은 무엇인가요? 

  

◆ 대학뿐 아니라 모든 교육의 현실은 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두뇌를 발달하도록 정보를 지식의 형태로 제공하거나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전부라고 볼 수 있어요. 

  

- 환경이란 어떤 것을 뜻하나요? 

  

◆ 예를 들면 도서관을 통해 학술지 등 필요한 참고문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가르치는 과목을 다양하게 해서 학생들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수업 이외의 모든 것들이죠. 

  

- 앞서 상위권 대학의 교수들도 사고 지향적 두뇌능력을 보여줄 수는 있어도 가르칠 수는 없다고 했잖아요? 왜 그런 건가요?

  

◆ 목표 지향적 두뇌기능뿐 아니라 천재들의 두뇌능력인 호기심을 바탕으로 답을 찾아가는 사고능력을 가르칠 수 있으려면 자신의 두뇌가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는 지 단계별로 관찰하고 서술할 수 있어야 해요. 하지만 천재를 비롯해 연구의 업적이 뛰어난 교수들의 경우라도 사고력을 담당하는 두뇌능력을 사용을 할 수 있지만 사고가 진행되어가는 과정을 뚜렷하게 설명할 수 없어요. 스스로 두뇌가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는 지 볼 수 없기 때문이죠. 

  

- 그 말은 민 박사님은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보셨다는 뜻인가요? 보셨다면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알려주실 수 있나요? 

  

◆ 예. 두뇌의 정보처리 과정을 보고 정리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저만이 유일하게 목표 지향적 두뇌기능이나 호기심을 기반으로 하는 사고력을 키울 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죠.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은 간단해요. 먼저 질문자는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인다고 생각하세요? 

  

- 5감을 통해서 아닐까요? 보고 듣고 맛보는 등이 우리가 정보를 받아들이는 방법일 것 같은데요. 

  

◆ 맞아요. 5감을 통해서 정보를 받아들이죠. 그러면 두뇌는 이렇게 받아들인 정보를 어떻게 처리할까요? 

  

- 글쎄요? 

  

◆ 감정이에요. 5감으로 들어온 정보는 감정이라는 두뇌영역을 통해 처리하죠. 예를 들면 성적이 올랐을 때의 성취감이나 기쁨, 어디선가 쓰레기 냄새가 나면 인상을 찌푸리며 싫어하는 것처럼 감정을 통해 정보를 처리하고 결정을 내리죠. 그래서 저는 감정이라는 두뇌영역을 인간의 여섯 번째 감각으로 불러요. 

  

- 그런 것 같네요. 분위기가 편안한지 불편한지 등의 감정으로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경우가 많네요. 감정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잖아요? 대부분 사람들이 이렇게 하지 않나요? 

  

◆ 그렇죠. 감정으로 정보를 해석하죠. 그런데 문제는 감정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경우 인과의 법칙을 논리적으로 찾아가는 두뇌능력은 오히려 작동하지 않는다는 거예요. 

  

- 왜 그런가요? 

  

◆ 생각해보세요. 내가 집에 들어섰는데 남자 친구 또는 여자 친구가 방에 향초를 켜놓고 침대에도 꽃을 뿌려놓고 잔잔한 음악과 함께 와인도 준비해서 기다리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두뇌는 5감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들을 어떻게 처리할까요? 

  

- 로맨틱하다고 보겠죠. 기분도 편안하면서 좋아질 것 같고요. 

  

◆ 그렇게 로맨틱하다고 결론이 나면 두뇌는 다음에 뭘 할까요? 

  

- 글쎄요. 와인도 마셔가면서 서로 사랑을 나누지 않겠어요? 

  

◆ 사랑을 나누는 것은 로맨틱하다는 감정적 처리를 바탕으로 결정이 내려진 상태에서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죠? 그 것을 생각이라고 할 수는 없겠죠? 

  

- 그런 것 같네요. 지금 그 말은 그러면 감정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경우 생각의 과정이 없다는 뜻인가요? 

  

◆ 맞아요. 5감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감정이라는 두뇌영역을 통해 결론으로 바로 보내기 때문에 두뇌가 생각을 하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는 거죠. 그래서 정보를 받아들여 처리할 때 ‘흑/백’으로 판단을 한다든가 ‘옳다/그르다’, ‘맞다/틀리다’, 또는 ‘해야 한다/하지 말아야한다’와 같이 판단을 이미 내려놓는 경우에는 두뇌의 사고력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공부에 있어서는 독이 되는 것이죠. 

  

- 저는 ‘옳다/그르다’와 같은 접근법이 갈등이나 싸움을 야기하기 때문에 하면 안 된다고 생각을 해 왔는데 사고력에도 적용된다는 것은 생각하지 못했던 것 같아요. 

  

◆ 앞서 이야기 했듯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키우는 공부를 하는 이유는 두뇌능력을 키워서 갈등이나 싸움 없이 내가 원하는 것을 성취하고자 하는 것이죠. 그러니까 두뇌의 발달 정도가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어요. 

  

- 그렇다면 교육이라는 것이 결국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힘을 키우는 과정이라는 뜻인가요? 

  

◆ 맞아요. 논리적 사고를 하는 훈련을 통해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있는 두뇌능력을 얻도록 하는 과정이죠. 

  

- 교육은 논리적 사고를 하는 훈련의 과정이라고요? 

  

◆ 예. 학교에서 공부를 하는 내용들에는 감정이 들어가 있지 않죠. 정보를 감정으로 보내 처리하게 하는 훈련이 아니라 두뇌의 영역 중 논리적 사고를 담당하는 부분으로 정보를 보내 처리하는 훈련을 하는 것이 교육이에요. 생각해 보세요. 수학이나 과학과 같은 과목을 배울 때 감정으로 정보를 처리했었는지요. 

  

 1152893572_zXbvtse5_a82a9332f4bd6d1fa5190956e3a32597222702b9.jpeg 

===================================================

민동필 박사는 미국 워싱턴주의 Washington State University에서 생화학/생물물리학 박사학위를 받고 뉴욕의 코넬대학 의과대학 (Weill Cornell Medical School)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쳤으며 콜럼비아 대학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있었다. 이후 캐나다로 이민 오면서 캐나다 국립 연구원에서 연구를 하며 동시에 혈우병 치료제에 관한 연구를 몬트리올에 위치한 콩코디아 대학의 겸임교수로 있으면서 진행했다. 이후 밴쿠버로 이주한 후 고기능 자폐아들의 교육을 위해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년간 진행해 왔고 그 결과 학생 및 일반인들이 할 수 있는 공부 방법으로 확장하여 최근 ‘사고의 전개과정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라는 새로운 공부 방법을 만들어 세상에 내어 놓았다. 새로운 공부 방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http://www.PonderEd.ca 에서 볼 수 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366건 13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46 윤회 댓글18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1011
6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행복이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816
644 민동필 박사의 무료 유튜브 생물학 강의 라이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887
643 권력을 휘두르는 모든 지식인들에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865
64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2 (칭찬과 벌을 통한 교육은 배우는 사람을 노…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785
641 Steven Academy 가을 학기 시간표 <2020. 8.1 ~ 12.19> StevenAcadem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 874
640 2020 예술인협회~ 베토벤 탄생 250주년 7.24(금) 5시 Zoom 좌담회 vka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962
열람중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1 (감정)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763
638 유튜브 강의: 목표 지향적 공부방법 예 1 - 뉴스의 활용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012
637 지도자의 자질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 976
63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3 - 가르치는 사람의 역할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879
635 평택 포레스트 하이츠 구매 문의 ‘뜨겁다’ 밴쿠버 중앙일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882
634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 감정적 두뇌와 논리적 두뇌의 차이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1287
633 '6.25 70주년 나라사랑 통일기원 기도회'의 건 밴쿠버 중앙일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917
63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2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854
631 시험성적을 올리는 공부방법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878
630 PonderEd 강의: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 2부 - 공부 방법의 개요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1207
629 인종을 차별하는 이들에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941
62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 공부에 미치는 영향 1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833
627 PonderEd 강의: 목표 지향적 두뇌기능 1부 - 배경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013
626 JTV 강의 - 자폐 아이들은 동물이 아니라 사람입니다!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060
625 온라인 수업이 어려운 이유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 1209
6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쉽지만 쉽지 않은 영재의 두뇌능력, 그 이유는?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846
623 당신은 신을 믿나요?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999
622 당신이 꼭 알아야 할 지식을 배우는 공부의 실체!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949
62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영재는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으로 이룰 수 있어!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899
620 유튜브 강의 - 사고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경계를 볼 수 있어야!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988
619 JTV 강의 - 아이가 천재적 사고력을 지닐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2부 (2/2)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1085
618 ♫[온라인 지도 가능] 기타 레슨 ♫ JBLHFam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879
617 JTV 강의 - 아이가 천재적 사고력을 지닐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1부 (1/2)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1203
616 위안부 관련 뉴스를 보고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909
615 5월 29일 학부모 간담회 취소합니다.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856
61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2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857
613 당신과 당신의 아이들이 받는 교육이 당신과 당신의 아이들을 노예로 만들고 있습니다!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868
612 흠.. 박다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910
61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1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870
6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2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813
609 죄의식의 뿌리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1051
608 JTV 강의 - 칭찬과 체벌 2부 (2/2)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1171
607 미움의 씨앗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1397
606 JTV 강의 - 칭찬과 체벌 1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1092
605 고기를 먹는 사람을 싫어하는 이들에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1012
6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1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915
603 I am looking for My Daughter(Jessica) Tig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1 1105
602 인생의 스승을 찾는 이들에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1 1017
601 무료 Taxation(임대/양도소득, 상속/증여소득, 개인/법인소득...등에 대한) Consulting Tig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950
600 승진에 목마른 이들에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853
59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사람과 집착 1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854
598 JTV 강의 - 자녀와의 의사소통 - 근거와 논리 (이유)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4 993
597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낸 이들에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2 910
596 JTV 강의 - 흑백의 이분법적 접근법이 자녀의 미래에 미치는 영향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1149
595 공부가 어려운 이유 – 이론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1000
59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과 선택의 차이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865
593 에세이 과제, 논문 첨삭/작성/레슨 jbjb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901
592 논문 컨설팅 안내 (4월 예약 할인 중) jbjb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932
591 학생 및 학부모를 위한 간담회 광고 (5월 29일)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6 960
590 재발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883
58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박사방 사건과 교육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875
588 JTV 자녀교육 강의 - 자녀의 미래를 위해 부모가 봐야하는 인간 사회의 실체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1156
587 IT업계 직업/전공 준비를 위한 온라인 세미나 (Software Engineer, UX Designer, B… Techwond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9 111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