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유국 치킨게임 막내리나… OPEC, '원유시장 조정자' 복귀 주목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부동산 경제 | 산유국 치킨게임 막내리나… OPEC, '원유시장 조정자' 복귀 주목

온라인중앙일보 기자 입력16-09-29 10:11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NISI20160929_0012227657_web.jpg석유수출국기구(오펙)회원국 장관들이 28일(현지시간) 알제리 알제에서 유가 안정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날 회원국들은 감산에 전격 합의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다시 시장을 조정하는 역사적인 역할로 돌아왔다.” (누레딘 부테르파 알제리 에너지장관)

지난 2년 동안 저유가가 지속되는 가운데 산유국들이 벌여온 '치킨 게임'이 과연 막을 내릴 수 있을까. 블룸버그통신과 파이낸셜타임스(FT),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들은 28일(현지시간) OPEC 주요 회원국들이 이날 알제리의 수도 알제에서 6시간에 걸친 비공식 회담을 벌인 끝에 저유가 문제를 해소하기위한 원유 생산 감축 필요성에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14개 OPEC 회원국들은 하루 원유 생산량을 지난 달 기준 3320만 배럴에서 3250만∼3300만 배럴로 줄이는 방안을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하루 원유 생산량이 최대 75만 배럴 정도 줄어들게 된 것이다. OPEC이 실제로 원유 감산에 돌입하게 된다면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OPEC 회원국들은 산유량 감산을 위한 위원회를 발족해 회원국별 감산 목표치를 정한 뒤 오는 11월 30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는 정례회의 때 구체적인 실천 계획을 논의할 계획이다. 각 나라마다의 감축량과 그 시행시기를 결정하는 세부적인 협상 절차가 남아 있는 것이다. 

이번 ‘알제 합의’는 지난 2년 동안 수차례의 협상이 불발로 끝난 뒤 성사된 첫 결실이다. 산유국들은 그동안 여러 차례 산유량 동결 협상을 벌여왔으나 번번이 실패를 했었다. 

지난 수 주 동안 모스크바와 파리를 오가면서 산유국들 대표들을 만나 원유감산의 필요성을 설득해 온 부테르파 알제리 에너지장관은 WSJ과의 인터뷰에서 “OPEC은 이제 시장을 통제하는 역사적인 역할로 다시 돌아왔다”라고 말했다. 

◇ 산유량 감축 필요성 합의 소식에 세계시장 “희색”

세계 시장은 알제 합의의 소식을 반겼다. 국제유가가 껑충 뛰고, 채권 값은 내렸다. 에너지 관련주들이 일제히 오르면서 증시 상승세를 이끌고 있다. 

국제유가는 OPEC의 산유량 감축 필요성 합의 소식이 전해지면서 급등했다. 28일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2.38달러(5.3%) 오른 47.05달러에 마쳤다. 이는 지난 4월 이후 하루 최고 상승폭이다. 런던 ICE 선물시장의 브렌트유 선물은 전날보다 2.72달러 상승한 48.69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 '알제 합의' 실제 이행까지는 먼길

과연 이번 ‘알제 합의’는 원유시장을 안정시키는 새로운 전환점으로 작용할 수 있을까. 전문가들은 이번 알제 합의에는 구체적인 실천내용이 담겨 있지 않다면서 실질적 감산으로 이어지지까지는 많은 난관들을 남겨 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WSJ는 이번 알제 합의의 가장 큰 의미로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주요 산유국들이 다시 예전의 OPEC 틀을 중심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점을 집었다. 그동안 무한경쟁 시대를 접고 OPEC을 통한 시장가격 조정 시대로 복귀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OPEC의 리더인 사우디아라비아는 그동안 산유국들의 무한경쟁을 촉발한 장본인으로 미국의 셰일오일을 지목했다. 회원국들 간 산유량 조정을 통해 시장가격을 통제하던 OPEC의 기능이 셰일오일 등장 이후 무너졌다는 것이다.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등 OPEC 회원국들은 생산시설을 최대치로 끌어올리면서 시장 점유율 경쟁을 벌이기 시작했다. 저유가를 견디지 못하는 경쟁자들이 쓰러질 때까지 생산량을 늘리는 ‘치킨 게임’을 벌이기 시작한 것이다. 
 
NISI20160330_0011524614_web.jpg사우디아라비아가 국제유가 폭락으로 올해 지출예산을 감축하는 등 허리띠를 졸라매면서 전반적인 소비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사우디 중앙은행의 발표를 인용해 지난 2월 통화공급의 주요 척도인 총통화량(M3)이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해 급격한 소비축소를 시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사진은 사우디 수도 리야드 중심가 모습. (사진 출처=사우디네트워크) 

1995년부터 올해 5월까지 장장 21년간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장관을 역임했던 알리 알 나이미는 OPEC은 더 이상 카르텔이 아니며, 원유 생산량 감축의 시대는 끝났다고 말했다. 무한경쟁 시대를 선언한 것이다.

그러던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번 알제 합의를 계기로 태도의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에너지부 장관인 칼리드 알 팔리흐는 WSJ와의 인터뷰에서 “시장은 조심스러운 조정(a gentle adjustmen)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팔리흐 장관의 이런 태도는 사우디아라비아가 다시 OPEC를 통한 산유량 조정의 틀 속으로 복귀하려는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 “사실상 합의된 내용 없다”

그러나 이번 알제 합의는 너무나도 많은 약점들을 안고 있다. 우선 이란과 리비아, 나이지리아 등 굵직굵직한 산유국들이 참여를 하고 있지 않은데다 러시아 등 비 OPEC 산유국들과의 협상도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러시아는 지금 역대 최고 수준의 원유를 생산하고 있다. 그동안 러시아는 OPEC 회원국들과 원유 생산 감축을 위한 긴밀한 협의를 해 왔다. 

뉴욕 소재의 ‘인프라캡 MLP 펀드(Infracap MLP Fund)’의 포드폴리오 매니저인 제이 해트필드는 “어떻게 보면 그들이 합의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산유국들의 합의는 마치 달리는 차의 브레이크를 밟은 게 아니라 그저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었을 뿐”이라고 비유했다. 

UBS그룹 AG의 분석가인 지오바니 스타우노보는 “악마는 디테일에 숨어 있다. 만일 오는 11월에 (원유생산 감축이) 결정이 된다하더라도 그 시행은 2017년에나 이루어 질 것”이라고 말했다.

◇ “OPEC 생산량 감축 최대 수혜자는 셰일오일 업자”

OPEC 회원국들의 딜레마는 원유 생산량 감축이 미국 셰일오일 생산업자들을 이롭게 할 것이라는 점이다. 2014년 중반 배럴당 115달러까지 치솟았던 국제유가는 지난 2년 동안 곤두박질치기 시작했다. 한 때 30달러 선까지 떨어진 적도 있었다. 

사우디아라비아 등은 그동안 저유가를 방치했다. 미국의 셰일오일 업자들을 고사시키기 위한 전략이었다. 예상했던 대로 셰일오일을 생산하는 미국의 에너지 기업들은 줄도산을 하기 시작했다. 배럴당 30~40달러 정도하는 셰일오일의 생산 단가를 지탱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동 산유국들의 원유 생산 비용은 배럴당 10달러도 채 되지 않는다. 원유가격이 40달러를 밑돌아도 여전히 경제성이 있는 것이다.

이번 알제 합의가 실제로 원유 생산 감축으로 이어질 경우 고사위기에 몰려있던 미국의 셰일업자들은 크게 숨을 돌리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WSJ는 지난 2년 동안 생산량을 줄여왔던 셰일업자들이 최근 미국경기의 호조 덕에 점점 굴착 작업을 늘리고 있다고 전했다. 

WSJ는 OPEC 회원국들의 산유량 감축 합의가 없었더라도 내년부터 셰일오일 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던 상황이었다면서, 거기에 OPEC 회원국들이 실제로 원유 생산량을 감축할 경우 셰일오일의 생산도 다시 기지개를 켤 것으로 전망했다. [뉴시스]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2,599건 628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캐나다 자동차 보험, 향후 5년 동안 42% 인상 예상
부제: ICBC, '최악의 상황 대비' 설명     향후 5년간 BC주 운전자들은 42%의 자동차 보험료 인상이라는 악몽을 경험하게 될 지 모른다.   ICBC가 BC공공요금 위원회(BCUC,
11-24
밴쿠버 밴쿠버공항 마약소지 적발 아이돌
  사진=차주혁 SNS   마약류를 소지하고 밴쿠버 공항으로 입국하다 적발된 아이돌 출신 연예인이 차주혁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한 언론매체는 24일 서울경찰청 국제범죄수사대는 아이돌 그룹 남녀공학 출신 차
11-24
밴쿠버 밴쿠버공항 마약소지 적발 아이돌
  사진=차주혁 SNS   마약류를 소지하고 밴쿠버 공항으로 입국하다 적발된 아이돌 출신 연예인이 차주혁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한 언론매체는 24일 서울경찰청 국제범죄수사대는 아이돌 그룹 남녀공학 출신 차
11-24
교육 돌로 도구를 만들다
  지금으로부터 약 70만 년 전 어느 원시인이 쓴 일기다. 물론 상상이지, 문자가 없던 시긴데…….   “오늘 따라 천둥, 번개를 동반한 비가 억수같이 오고 있다. 주위는 깜깜 절벽이고 지옥이 따로 없었다
11-23
교육 자녀가 원하는 것을 알아서 해 주는 부모 그리고 자녀교육
많은 부모들이 자녀가 원하는 것을 말하기도 전에 해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끔은 당연히 사랑하는 내 자식의 생각을 알아서, 혹은 자녀들에게 부모가 항상 그들을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때로는 자녀들이 공부를 하는 동안 시간을 허비하지 않도록 등 여러 가지의
11-23
교육 추론방식
연일 한국으로부터 들려오는 소식들은 소위 막장 드라마의 내용이라고 해도 심하다 싶을 정도의 충격적인 이야기들 뿐입니다. 먼 밴쿠버에서 소식을 접하는 이민자 또는 교민분들이 느끼는 허무함과 당황스러움이 이루어 말하기 힘들 정도인데, 한국에 거주하는 국민들이 느끼는 분노는
11-23
교육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69
"시험에 아주 유용한 암기문장 시리즈 - 15" CELPIP Listening Test: 주어진 상황의 원인, 주인공들이 원하는 포인트 잘 파악해야,   셀핍(celpip)의 Listening 시험에서는 Part 1-3 까
11-23
캐나다 국립고궁박물관-캐나다 도서기록 보관소 협약체결
LAC 복원센터 / 전문 인적 교류, 공동연구 활동 등 협력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연수)과 캐나다 도서관․기록보관소(LAC, Library and Archives Canada, 소장 기 베르티욤(Guy Berthiau
11-23
캐나다 블랙핑크, 빌보드 캐나다 '핫100' 진입
YG01/YG Entertainment   국내 걸그룹 최초로 블랙핑크가 빌보드 캐나다 차트에 진입했다.   빌보드 캐나다의 기사 (http://www.billboard.com/articles/columns/k-town/7
11-23
캐나다 루니의 위기, 내년 70센트까지 하락
JP 모간, "미 대선 여파로 루니 가치 계속 떨어질 것"   국제 유가 폭락의 여파로 약세를 보이고 있는 캐나다 루니화의 미 달러 대비 가 치가 트럼프 당선 이후 추가 하락을 해 왔다. 그리고 이런 상황은 내년까지 이어 질 것이라
11-23
캐나다 직장 생활 "이게 최선입니까?"
    직장인들이 자신의 능력 껏 일을 다하고 있지 못하다고 인정한다는 조사 보고서가 나왔다.   최신 ADP Canada Sentiment Survey의 직장인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49%의 직장인이 직
11-23
밴쿠버 밴쿠버 새해 맞이 행사
    밴쿠버 새해맞이 행사 소사이티(The Vancouver New Year's Eve Celebration Society)는 올해 행사를 콩코드 패시픽 후원으로 12월 31일 오후 6:30 p.m.부터 오전 12:10 a.
11-23
밴쿠버 밴쿠버 새해 맞이 행사
    밴쿠버 새해맞이 행사 소사이티(The Vancouver New Year's Eve Celebration Society)는 올해 행사를 콩코드 패시픽 후원으로 12월 31일 오후 6:30 p.m.부터 오전 12:10 a.
11-23
밴쿠버 버나비, 재개발에 주민 마찰
철거되는 저가 콘도들, 갈곳 잃은 주민들, "우리는 새로운 노숙자들"   한국의 용산참사와 같이 재개발에 따라 현 거주자들이 살 곳을 잃고 불안에 떠 는 일이 버나비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메트로타운 등 네 개
11-23
밴쿠버 버나비, 재개발에 주민 마찰
철거되는 저가 콘도들, 갈곳 잃은 주민들, "우리는 새로운 노숙자들"   한국의 용산참사와 같이 재개발에 따라 현 거주자들이 살 곳을 잃고 불안에 떠 는 일이 버나비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메트로타운 등 네 개
11-23
밴쿠버 밴쿠버, 캐나다포스트 재개발 주민 의견 수렴
밴쿠버 시에 제출된 다운타운 349 웨스트 조지아 조감도       대규모 주상복합 프로젝트 제안에 주민들 의견 엇갈려   밴쿠버 다운타운에 위치한 캐나다 포스트의 밴쿠버 지사가 리치몬드의 YV
11-23
밴쿠버 밴쿠버, 캐나다포스트 재개발 주민 의견 수렴
밴쿠버 시에 제출된 다운타운 349 웨스트 조지아 조감도       대규모 주상복합 프로젝트 제안에 주민들 의견 엇갈려   밴쿠버 다운타운에 위치한 캐나다 포스트의 밴쿠버 지사가 리치몬드의 YV
11-23
캐나다 블랙 프라이데이, 공격적 마케팅이 부르는 소비자 폭력성
할인 프로모션 접한 소비자들, 일상 생활에서도 공격성 강해져   이번 주, 밴쿠버는 물론 북미 지역 의 쇼핑몰들이 블랙 프라이데이를 맞아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하 고 있다. 그리고 이 시기는 쇼핑 현 장에서 많은 다툼과 나아가 폭력 사태가
11-23
캐나다 수술 대기시간 더 악화
        프레이저 연구소 보고서   캐나다 환자들의 수술대기시간 문제가 점 점 더 악화되며 캐나다 의료시스템의 상징처럼 이미지가 굳어진다는 조사보고서가 나왔다.  
11-23
밴쿠버 트랜스링크 향후 10년 20억 투자
    재원 마련 위해 재산세 인상, 유류비 인상   메트로밴쿠버의 교통시스템을 향상 시키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자를 할 예정인 가 운데 이를 위해 세금과 교통비 인상도 뒤 따를 예정이다.  
11-23
밴쿠버 트랜스링크 향후 10년 20억 투자
    재원 마련 위해 재산세 인상, 유류비 인상   메트로밴쿠버의 교통시스템을 향상 시키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자를 할 예정인 가 운데 이를 위해 세금과 교통비 인상도 뒤 따를 예정이다.  
11-23
캐나다 우기철 교통사고 조심
경찰, "보행자에게 우선 통행권있어도 바로 건너지 말아야...운전자 눈에 안띄일 수 있어"   밴쿠버의 본격적인 우기철이 시작된 이 후 예년과 같이 교통사고가 증가세에 있 어 경찰이 운전자들의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특히 지난 5일
11-22
캐나다 한국 식품, 생활용기 호조, 산업재 부진
캐나다 서부에서 한국으로부터 수입을 고려하는데 필요한 참고 자료가 나와 한인 무역인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KOTRA는 2017 해외시장 진출 호·부진 품목 보고서를 발표했다. KOTRA에서는 매년 말 해외
11-22
캐나다 tvN 드라마 '도깨비'퀘벡 촬영 장면 공개
tvN 도깨비 페이스북 공식페이지   캐나다관광청이 지원한 공유와 김고은 주연의 드라마 '도깨비'의 캐나다 현지 촬영 사진이 공개 됐다.            &nb
11-22
캐나다 한국, 목조 고층건축물 추진
UBC에 지어지고 있는 목조 고층 건축물 Brock Commons의 공사현장 모습   한국에서도 UBC에 지어지고 있는 Brock Commons와 같은 목조 고층 건축물이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11-22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