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50살 맞는 캐나다 국기 '메이플 리프'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캐나다 | 올해로 50살 맞는 캐나다 국기 '메이플 리프'

기자 입력15-02-17 06:05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r7_pch_flag_day.jpg


지난 15일(일)은 캐나다 국기의 날(National Flag of Canada Day)이었습니다. 동시에 캐나다 국기의 50번째 생일이기도 했습니다. 비록 국경일은 아니지만 국기에 대한 각별한 애착이 있는 캐나다인들에게는 특별한 날이었습니다.

캐나다 국기의 정식 명칭은 ‘메이플 리프(Maple Leaf, 또는 l’Unifolie)’로 국기 정 중앙에 자리한 단풍잎을 뜻합니다. 메이플 리프는 지난 1965년, 레스터 피어슨(Lester Pearson) 총리가 이끄는 자유당 연방 정부 아래 정식으로 캐나다 국기가 되었습니다.

그 이전까지 캐나다에서 국기로 사용했던 것은 영국 국기인 '유니온 잭(Union Jack 또는 Royal Union Flag)'과 유니온 잭이 왼쪽 상단에 자리한 '레드 엔자인(Canadian Red Ensign)'이었습니다. 유니온 잭은 1890년대부터 비공식적으로 캐나다에서 국기로 사용되었고, 1945년에 레드 엔자인이 공식 국기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1964년, 총리가 된지 두 해째를 맞은 피어슨 총리가 특별 위원회를 만들고 국기 교체에 대한 정식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총 3개의 최종 후보 중 죠지 스탠리(George Stanley)가 디자인한 캐나다 왕립사관학교(Royal Military College of Canada)의 상징 깃발이었던 메이플 리프가 선정된 것입니다. 이후 메이플 리프 심볼은 여러 캐나다 공공기관들의 심볼과 대표적인 정당들의 심볼에서도 다양한 모습으로 활용되기에 이르렀습니다.

현재 메이플 리프는 영국의 유니온 잭이나 미국의 성조기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패션 소품에도 장식되고 있습니다. 캐나다인이 외국을 여행할 때 착용하기도 하고, 캐나다를 방문한 외국인이 기념품으로 구입하기도 합니다. 올림픽 등에 출전하는 캐나다 국가대표 선수들의 유니폼에도 필수적으로 포함됩니다. 그리고 그 모습이 최근 가장 두드러졌던 때가 바로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이었습니다.

책 ‘우리의 국기: 메이플 리프에 대한 이야기(Our Flag: The Story of Canada's Maple Leaf)’의 공동저자 제인 일랜드(Jane Yealland)는 “메이플 리프는 50년이라는 시간동안 진정한 캐나다의 상징이되었다. 많은 캐나다인들이 단풍잎 심볼을 보며 심리적으로 강한 연계성을 느낀다”고 말했습니다.

또 그는 “세계적으로 국기의 모양이 그 나라의 이미지와 자연스럽게 결부되는 예는 드물다”며 “같은 영연방 국가인 호주나 뉴질랜드는 아직도 국기의 상징성 부족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이렇게 사랑을 받는 메이플 리프도 처음 소개되었던 1965년 당시에는 크게 환영받지 못했습니다. 스스로의 정체성을 영국과 관련짓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영국, 또는 유럽 출신 이민자 비율이 지금보다 높기도 했지만, 2차 세계대전에 ‘영국 시민으로서’ 참전한 군인들도 많았기 때문입니다.

토론토 대학(University of Toronto)의 정치학과 교수 넬슨 와이즈맨(Nelson Wiseman)은 “내가 18세였던 당시, 위니펙의 한 군부대를 찻은 피어슨 총리가 군인들의 야유를 받던 모습이 생각난다”며 “많은 사람들이 국기 교체에 동의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일이라 여겼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역사학자 릭 아크볼드(Rick Archbold)는 “연방정부가 국기의 날 기념 행사에 크게 신경쓰지 않는 것이 아쉽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국기 교체가 자유당 정부의 주도 하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현재의 보수당 정부가 외면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며 “캐나다만의 국기를 갖게된 것은 나라의 역사에서 무척 중요한 순간이었다”고 말했습니다.

그의 의견을 전해들은 셸리 글로버(Shelly Glover) 문화유산부 장관(Minister of Heritage)은 “메이플 리프는 자유당의 국기가 아니라 캐나다의 국기”라며 그의 의견에 반박했습니다. 글로버 장관은 “캐나다인들은 모두 메이플 리프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굳이 많은 예산을 투입한 기념 행사로 강조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습니다.[JTV]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2,711건 808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캐나다 캐나다 공항, 항구 내부감사 결과, 기밀정보와 보안 매우 취약 해
2014년에 보고 된 캐나다 공항, 항구 내부감사 보고서가 지난 달 말, 일반 대중들에게 처음으로 공개 됐다. 공개 된 보고서에 의하면, 캐나다 공항과 항구의 기밀정보 취급이 허술하고 제한 된 구역에 관계자가 아닌 사람이 허가없이 출입증을 들고 들
04-17
밴쿠버 로저스 아레나 비어 가든 오픈, 위험 상황 無
    플레이오프 진출한 캐넉스 경기, 맥주와 함께 즐겨   밴쿠버 캐넉스의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첫 경기가 있었던 지난 15일(수), 로저스 아레나에 비어 가든(Beer Garden)이 열렸다.    주류법
04-17
밴쿠버 로저스 아레나 비어 가든 오픈, 위험 상황 無
    플레이오프 진출한 캐넉스 경기, 맥주와 함께 즐겨   밴쿠버 캐넉스의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첫 경기가 있었던 지난 15일(수), 로저스 아레나에 비어 가든(Beer Garden)이 열렸다.    주류법
04-17
밴쿠버 리치몬드 방화 용의자, 사위로 밝혀져
지난 13일(월), 리치몬드의 코너브룩(Cornerbrook Crescent)에서 발생한 가정집 화재 방화 용의자가 사망자 사위로 밝혀졌다. 이 날 화재로 일레인 레즈노프(Elaine Leznoff, 66세) 씨가 사망하고, 그의 손자 캘빈 도산지-레즈노프
04-17
밴쿠버 리치몬드 방화 용의자, 사위로 밝혀져
지난 13일(월), 리치몬드의 코너브룩(Cornerbrook Crescent)에서 발생한 가정집 화재 방화 용의자가 사망자 사위로 밝혀졌다. 이 날 화재로 일레인 레즈노프(Elaine Leznoff, 66세) 씨가 사망하고, 그의 손자 캘빈 도산지-레즈노프
04-17
밴쿠버 "주민소환제도 악용" 주장 제기
  로딕 전 MLA "부패 정치인 퇴출위한 소환제도   BC 주민소환(BC Citizens Recall, BCCR)가 추진하고 있는 두 명의 MLA 소환 캠페인에 대한 선거청(Elections BC) 허가가 떨어진 가운데, 과거 소환
04-17
밴쿠버 "주민소환제도 악용" 주장 제기
  로딕 전 MLA "부패 정치인 퇴출위한 소환제도   BC 주민소환(BC Citizens Recall, BCCR)가 추진하고 있는 두 명의 MLA 소환 캠페인에 대한 선거청(Elections BC) 허가가 떨어진 가운데, 과거 소환
04-17
밴쿠버 아담 팔머, 새 밴쿠버 경찰서장 확정
아담 팔머(Adam Palmer) 신임 밴쿠버 경찰서장)   짐 추 현 서장, "밴쿠버 안전 책임질 능력 있다"   은퇴를 앞 둔 짐 추(Jim Chu) 밴쿠버 경찰서장(Chief Constable, Vancouver Po
04-17
밴쿠버 아담 팔머, 새 밴쿠버 경찰서장 확정
아담 팔머(Adam Palmer) 신임 밴쿠버 경찰서장)   짐 추 현 서장, "밴쿠버 안전 책임질 능력 있다"   은퇴를 앞 둔 짐 추(Jim Chu) 밴쿠버 경찰서장(Chief Constable, Vancouver Po
04-17
밴쿠버 16일(목), 스쿼미쉬 선박 터미널에서 대형 화재 발생
16(목)일 당일 스쿼미쉬 주민들이 소셜 미디어에 올린 현장 사진들     화재 재발 염려 소방선 현장에 머물러   지난 16일(목) 저녁, 스쿼미쉬의 선박 터미널(Nexen Beach Terminal)에서 대형 화재가 
04-17
밴쿠버 16일(목), 스쿼미쉬 선박 터미널에서 대형 화재 발생
16(목)일 당일 스쿼미쉬 주민들이 소셜 미디어에 올린 현장 사진들     화재 재발 염려 소방선 현장에 머물러   지난 16일(목) 저녁, 스쿼미쉬의 선박 터미널(Nexen Beach Terminal)에서 대형 화재가 
04-17
밴쿠버 아쿠아리움, 벙커유 누출 사고 영향 조사 위해 전문가 투입
  해양 오염 관심 높은 아쿠아리움, "정부와는 별개로 진행"   밴쿠버 아쿠아리움 소속 해양 전문가들이 지난 8일(수) 잉글리쉬 베이에서 발생한 선박용 벙커유 누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04-17
밴쿠버 아쿠아리움, 벙커유 누출 사고 영향 조사 위해 전문가 투입
  해양 오염 관심 높은 아쿠아리움, "정부와는 별개로 진행"   밴쿠버 아쿠아리움 소속 해양 전문가들이 지난 8일(수) 잉글리쉬 베이에서 발생한 선박용 벙커유 누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04-17
캐나다 바뀌는 방송 시청 패턴, 소비자 규모 커지는 네트플릭스
대중의 방송 시청 방식이 TV 케이블에서 온라인 스트리밍으로 계속해서 옮겨가고 있습니다.  지난 15일(수), 미국에 연고한 대표적인 스트리밍 서비스 네트플릭스(Netflix)가 올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가속화되고 있는 상승세를 자랑했습니다.
04-17
밴쿠버 오카나간 펜틱튼, 비둘기 학대 사진 시끌
비둘기의 사체 꼬리 부분 깃털 모두 뽑혀 BC주 남부 내륙 지역에 위치한 펜틱튼(Penticton) 주민들이 한 비둘기 사진을 두고 “동물 학대”라며 분노하고 있다.  문제의 사진은 지난 11일(토), 주민 게리 맥도겔(Gary M
04-16
밴쿠버 BC 선거청, 리차드 리 MLA 주민소환 운동 허가
버나비-노스 MLA 리차드 리 현재 메이플릿지-미션 지역을 대변하는 MLA 마크 달튼(Marc Dalton, 무소속)에 대한 주민소환 서명운동이 진행중이다. 이 서명운동을 진행 중인 시민단체 BC 주민소환(BC Citizens Recall, BCCR)이 버나
04-16
밴쿠버 포트 무디 제재소에서 화재, 인명 피해 無
15일(수) 당일 현장 모습 지난 15일(수) 오전, 포트 무디에 위치한 제재소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클라크 로드(Clark Rd.)에 있는 플라벨 밀(Flavelle Mill)에서 난 화재는 10시 반 경 발생해 정오 이전에&
04-16
밴쿠버 밴쿠버 교사, 학생들에게 일방적 의견 주입 논란
이슈의 발단이된 편지를 작성한 초등학교 모습 오일 누출 사건 두고 총리와 수상에게 보내는 편지  '정부는 더 잘 대처할 수 없었다' 내용 담아 지난 주 잉글리쉬 베이에서 발생한 벙커유 누출 사고 불똥이 엉뚱한 곳으로
04-16
밴쿠버 주민투표 시작 한 달, 유권자 참여율 15.1%
지역 별 투표율 차이 커, 한 자릿 수 기록한 곳도 대중교통 주민투표(Transit Referendum)가 시작된지 한 달이 지났다. 그리고 지난 15일(수), 투표가 
04-16
캐나다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시작, 주목할 캐나다 선수는?
  지난 15일(수) 경기를 시작으로 2015년 스탠리 컵(Stanley Cup) 플레이오프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날 경기에서는 캘거리 플레임(Calgary Flames)이 밴쿠버 캐럭스(Vancouver Canucks)를 상대로 2:1 승리를,
04-16
캐나다 에너지보드 '파이프라인 사고 지도' 발표, 그러나 아쉬운 점 많아
  지난 13일(월), 에너지보드(National Energy Board, NEB)가 ‘파이프라인 사고 지도(Interactive Pipeline Incident Map)’를 발표했습니다.  지난 8년 동안 캐나다에서 발생
04-16
캐나다 위험 수준 납과 지소 함유한 영양제, 리콜 조치
캐나다 보건청(Health Canada)이 두 가지 영양제에 대한 리콜 조치를 내렸다. 세인트 프란시스 허브 팜(St. Francis Herb Farm) 사 제품인 ‘버클랙스 V(Bulklax V)’와 ‘올 시즌 디톡스 키트(All Seasons Detox
04-15
밴쿠버 세번째 싱크홀, 포드무디 주민 원성 높아져
시의회, "출퇴근 시간, 주민들만 지날 수 있도록 조치"에버그린 라인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세번 째 싱크홀 사고로 주민 우려가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포트 무디 시의회가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싱크홀 사고로 클락 로드(Clark Rd.)의 남쪽 도로가 폐쇄되면서
04-15
밴쿠버 오일 누출 지역, 바닥 낚시 금지령 내려
캐나다 어업해양청(Fisheries and Oceans Canada)이 밴쿠버 시 버라드 인렛(Burrard Inlet) 부근에서 바닥 낚시(Ground Fishing) 금지령을 내렸다. 지난 주 잉글리쉬 베이에서 발생한 선박용 벙커유 누출 사고 때문이다.&n
04-15
밴쿠버 오일 누출 지역, 바닥 낚시 금지령 내려
캐나다 어업해양청(Fisheries and Oceans Canada)이 밴쿠버 시 버라드 인렛(Burrard Inlet) 부근에서 바닥 낚시(Ground Fishing) 금지령을 내렸다. 지난 주 잉글리쉬 베이에서 발생한 선박용 벙커유 누출 사고 때문이다.&n
04-1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