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밴쿠버 주택거래 30년래 최저 수준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부동산 경제 | 3월 밴쿠버 주택거래 30년래 최저 수준

표영태 기자 입력19-04-02 09:34 수정 19-04-03 23:58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메트로밴쿠버 한인사회의 중심지인 한인타운에는 한인들이 선호하는 아파트들이 40년 넘은 아파트에서 갓 지어지는 아파트까지 다양한 형태로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있다.(밴쿠버 중앙일보 DB)

 

 

10년 평균의 절반 수준

모든형태주택 가격 하락

적체 매물도 크게 증가


f057e0134440b6f8b01ed11614f1fbbf_1554224639_3432.png 

메트로밴쿠버의 주택시장이 뚜렷하게 침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주택 가격이 합리적인 수준으로 낮춰지지 않는 한 해결되지 않을 모양세다.

 

메트로밴쿠버부동산협회(Real Estate Board of Greater Vancouver. REBGV)가 2일 발표한 3월 주택거래 동향을 보면 총 1727건이 이루어져 작년 3월의 2517건보다 31.4%가 줄어들었다. 2월보다는 16.4%가 늘어났지만 지난 10년간 3월달 평균주택 거래량에 비해서는 거의 절반 수준인 46.3%나 낮은 수준이다. 이는 1986년 이후 3월로는 가장 적은 거래로 기록됐다.

 

REBGV의 애슬리 스미스 회장은 "주택 수요가 현재 경기 성장세나 낮은 실업률과 잘 맞지 않는 모양세"라며, "이런 현상은 지난 3년간 각 단위 정부가 새로운 세금을 도입하고 대출을 규제하면서 생긴 일"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이런 스미스 회장의 주장은 밴쿠버가 최근 소득 대비 주택가격을 비교해 전국 최고로 과도하게 주택가격이 형성됐다는 연구결과에 대해서는 전혀 인식을 하지 못한 채 대출만 받을 수 있으면 주택을 살 수 있다는 얘기다. 최근 세계적으로 중국의 부동산 투기자금이 압박을 받으며 세계 많은 도시들이 주택거래 정체와 가격 하락세를 보인다는 관련 기사와도 배치되는 얘기만 늘어놓았다.

 

스미스 회장은 부동산 정책으로 인해 주택 수요자가 구매를 연기할 뿐 구매는 이루어진다는 논리를 폈다. 하지만 주택 가격이 정상적인지에, 어떻게 하면 주택여유도 우려를 해결해 실 수요자들이 주택을 살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메트로밴쿠버의 주택시장이 붐을 이루던 지난 4-5년간 많은 한인 리얼터들이 비거주 중국계 부동산 구매자에게 높은 가격에 한인들이 소유한 주택들을 팔아 주었지만, 결국 이후 투기자들끼리 더 높은 주택가격으로 거래를 해 올려 놓으며 한인들은 자신이 판 주택이 다시는 살 수 없을 정도로 비싸지는 것을 목격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외곽지대로 내몰리듯 이사해야 했다. 

또 그 파장으로 밴쿠버나 버나비 그리고 심지어 코퀴틀람 등에서 더 이상 주택을 구매할 한인도, 팔 한인도 없어지면서, 한인 리얼터들 중 상당수가 작년말부터 올해까지 단 한 건도 중계를 하지 못하고 있다.

 

많은 한인 리얼터들은 실수요자들이 주택을 살 수 있는 정적한 가격대로 주택가격이 빨리 조정이 되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현재 밴쿠버의 Multiple Listing Service® (MLS®)에 올라온 주택매물 수는 1만 2774채로 작년에 비해 52.4%나 늘어났다. 3월에만 총 4949 건의 새 매물이 등록돼 3월 거래량보다 2.5배 가량 늘어나 2월에 비해 총 매물 건 수도 10.2%가 늘어났다.

 

3월 전체주택 매물 대비 거래 비율에서 13.5%로 10채가 매물로 나오면 1채가 조금 넘게 거래 되는 것으로 나왔다. 주택형태별로 보면 단독주택은 9.4%로 10채가 매물로 나오면 한 채가 겨우 팔리고, 타운하우는 15.9%로 1.5채가 그리고 아파트는 17.2%로 2채가 채 못 팔리는 상황이다. 

 

MLS® Home Price Index에 의한 메트로밴쿠버의 주택 가격은 101만 1200달러이다. 이는 작년 3월에 비해 7.7%가 하락한 수준이며 전달에 비해서도 0.5%가 떨어졌다.

단독주택은 143만 7100달러로 전년에 비해 10.5%, 전달에 비해 0.5%, 아파트는 5.9%와 0.5%, 그리고 다세대는 6%와 0.7% 각각 하락했다.

그 동안 주택가격 상승을 주도했던 아파트도 상승세가 꺾인 모양세다. 

 

주택 거래량에서도 아파트는 3월에 총 873건이 성상돼 작년 3월 1349건보다 35.3%가 감소했다. 다세대도 325건으로 27.1%가 줄었으며, 단독주택은 529건으로 26.7%가 줄었다. 결국 가격 뿐만 아니라 거래 건 수도 모든 주택형태에서 똑같이 나타나는 양상이다.

 

표영태 기자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2,803건 406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밴쿠버 전문가도 예측할 수 없는 가상현실의 미래
  에밀리카대 김우남 교수 브라운백 세미나AR, VR, MR, XR 이해와 발전 방향 예상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그리고 확장현실 등 현실같은 현실아닌 세상에 대한 기술이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면서, 이런 기술들이
04-18
세계한인 한국 청년 직원이 필요하십니까?
 5명 이상 매출 100만 달러 이상 기업한국청년 인턴에 500달러 이상 지급 한국의 청년실업 문제가 주요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박근혜 정부 때부터 한국 청년의 해외취업 독려가 재외동포재단의 주요 사업의 하나로 되면서 해외 한인기업과 공생을 모색하고
04-18
밴쿠버 금호환경, '캐나다 음식물쓰레기 맡겨주세요!'
지난 15일 스위프트 매니지먼트 본사에서 한국의 금호환경 이영희 회장(우)과 스위프트 커넥트의 산두 대표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 기계 캐나다 진출과 관련 기술 인력 등을 캐나다로 송출하는 업무에 대한 양해각서에 서명을 했다. 미생물로 무취·찌꺼기 처리테스트 기계
04-17
부동산 경제 BC주 3월 주택거래량 전년대비 23% 감소
  거래액은 27.1% 감소 BC부동산협회가 발표한 3월 주택거래 동향에 따르면, 총 5707건이 거래돼 작년 3월에 비해 23%나 감소했다. 평균 Multiple Listing Service® (MLS®) 거래액은 68만 7720달
04-17
밴쿠버 펜틱튼 연쇄 총격 범인은 전직 시 공무원
15일 오카나간 밸리 펜틱튼(Penticton)에서 발생한 연쇄 피격 사건의 범인은 은퇴한 시청 공무원으로 밝혀졌다. 경찰은 68세 남성인 존&
04-17
밴쿠버 성탄절 자녀 살해용의자 "자신도 목숨 끊으려 해"
2017년 성탄절 자신의 두 자녀를 살해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피고인이 범행을 저지른 후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했다는&nbs
04-17
이민 이민자 시간 지날수록 부(富)도 건강도 악화
 이민자 자산증가는 주택가치 상승건강한 이민자 효과도 3년내 최고 이민자들이 이민을 올 때 평균적으로 캐나다 출생자보다 더 부유하고 건강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런 이점이 점점 희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통계청이 16일과 17일 양일간 이
04-17
캐나다 BC주, 3월 연간소비자 물가 상승률 전국 최고
 전국 연간 소비자물가 1.9% 상승휘발유가 상승 4월 물가지수 압박  4월 들어 휘발유가격이 폭등하며 메트로밴쿠버에서 사상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지난 3월에는 낮은 휘발유가격으로 물가 상승율이 안정세를 보인 것으로
04-17
밴쿠버 노스로드 한인타운, 홍역에 노출
  환자, 인근 호텔, 식당, 쇼핑몰 이동 BC주에서 외국에서 1차 감염환자들이 확인된 후 최근 국내에서 2차 감염되는 환자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노스로드 한인타운 인근에 지난 주말 홍역환자가 머물며 주변을 돌아다녀 2차 감염 위험이 예상된다.
04-17
이민 "한국 부모님께 돈 부치셨나요?"
  동아시안 평균송금액 최고미국·영국 이민자도 송금 한국도 60년대부터 80년대까지의 고도성장시기에 해외에서 돈을 벌어 고국의 가족에게 송금하는 일이 다반사였는데, 현재 캐나다 한인들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통계청이 캐나
04-17
밴쿠버 가평전투 기념식, 랭리 가평석 설치 공원에서 최초 거행
 (사진설명)랭리타운쉽 데릭 더블데이 수목원에 설치된 가평석 옆 국기 게양대에 태극기와 캐나다 국기를 게양하며 가평전투 기념식이 시작됐다.(상)가평전투 기념식에 참석한 한국전 참전 캐나다 용사들이 가평전투 생각하며 전투에서 숨져간 전우를 추모했다.(하)&nbs
04-17
밴쿠버 성범죄 피아노 강사 재판 앞두고 사망
자신이 피아노를 가르치는 학생들에게 여러 차례 성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기다리고 있던 피고인이 숨졌다.코퀴틀람 경찰은&nb
04-16
밴쿠버 한적한 소도시서 집단 총격... 4명 사망
오카나간 지역 소도시의 여러 곳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해 여러 명이 숨졌다. 범인은 사건 후 경찰에 자수해 현재 구금&
04-16
세계한인 해외에서 공증이 필요하면 화상으로
화상공증, 모바일앱 또는 PC 가능법무부에서는 공증사무소 방문없이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공증받을 수 있는 전자공증시스템을 운영중이라고 안내했다.법무부는 전자문서에 공증을 받을 수 있는 전자공증제도를 2010년부터 시행하고 있으나, 종전에는 전자공증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04-16
밴쿠버 차털이범이 훔친 컴퓨터에 공연용 음악도 함께 사라져
밴쿠버를 방문한 우간다 어린이 합창단이 탄 버스가 차털이범의 범행으로 소지품을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사우티(Sawuti) 아프리카&nbs
04-15
세계한인 제21회 재외동포문학상 작품 공모
 6월 14일까지 접수 중 재외동포재단은 2019년'제21회 재외동포문학상 공모전' 작품을 15일부터 6월 14일까지 접수 받는다. 재외동포재단이 전 세계 740만 재외동포들에게 한글 문학 창작활동을 장려하고, 한민족 재외동포 청소년들에게 모
04-15
세계한인 수출확대를 위해 글로벌 기업과 협력 성공사례 확산
  - 산업부 장관, 울산 자동차 부품 수출기업 한주금속 방문 -- 국가주력산업인 자동차 부품 분야의 수출 총력지원 강조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15일 울산 온산국가산업단지에 위치한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한주금속을 방문하여 현장
04-15
세계한인 재외공관 등 '수출지원 기구' 제안
 관세청, 수출지원 간담회 통해  김영문 관세청장은 15일 대전 유성호텔에서 7개 광역지자체의 경제통상 책임자들과 ‘수출지원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간담회는 ‘범정부 수출지원 대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관세청과 지자체가 상호
04-15
밴쿠버 재외국민 유권자연대 밴쿠버 발대식
2020 재외국민유권자연대 발대식이 지난 14일 오전 8시 30분에 한인타운에 위치한 이규젝큐티브 호텔에서 열렸다. 김형구 밴쿠버위원장은 경과보고를 통해 "2009년 이후 선거법 개정으로 재외국민이 19대 총선을 시작으로 2번의 총선과 2번의 대선에서 투표를
04-15
밴쿠버 일요일 교회서 장로가 피격... 왜?
일요일 교회에서 벌어진 다툼 후에 총이 발사돼 한 사람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경찰에 따르면 사고는 14일 오전 
04-15
밴쿠버 임시정부 수립 주역 재외 한인, 한반도 평화 정착 통일도 주도
 밴쿠버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식  밴쿠버 한인사회가 100년 전 일제에 조국을 빼앗긴 조국을 찾기 위해 상해에 임시정부를 세웠던 대한민국의 이제는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위해 새로운 한 세기를 준비하는 중요한 과제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
04-15
밴쿠버 한인회장 단독후보 정택운 씨 총회 인준
단독후보로 출마했던 정택운 밴쿠버한인회장 후보다 지난 13일 열린 총회에서 참석 유권회원들에 의해 한인회장으로 인준을 받았다.한인회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정동민)는 당초 한인회장 단독후보가 될 경우, 2주 이내에 총회에서 선출된 이사들이 투표로 인준을 하기로 했다. 하지
04-15
밴쿠버 BC주정부, 청소년 갱단가입 차단 총력
 써리 갱단 범죄에 대응 BC주정부가 주내에서 갱단 관련 사건이 끊이지 않고, 청소년들이 갱단의 삶을 동경하는 등 왜곡된 현상이 벌어지고 있어 이를 막기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BC주 마이크 팬워스 공공안전검찰부 장관은 "청소
04-12
밴쿠버 한국 성공 기회 높은 캐나다 비즈니스는?
마이크 대나허 주한 캐나다대사가 CKBA 초청으로 밴쿠버 다운타운에 위치한 터미널시티 클럽에서 한카FTA의 혜택 등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주한 加 대사, 한카FTA 양국 큰 기회 CKBA 초청, 마이크 대나허 대사 초청천연자원, 농수산품,
04-12
캐나다 한국의 뿌리를 놓지 못하는 재외한인들
 북미인 토지보유 증가, 대부분 증여․상속 작년말 외국인 보유 토지 전 국토의 0.2% 한국의 외국인 토지 소유 비율이 다소 증가하고 있는데, 가장 큰 이유가 바로 한국 가족으로부터 받은 토지를 계속 보유하기 때문이다. 한국 국토교통
04-12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